반응형


1부에서 이어집니다.




대전 67km, 유구 8km


낡은 이정표만이 고갯길을 굳건히 지키고 있습니다. 물론 차동터널의 개통과 직선화 공사로 인해 이정표상의 거리보다 최소 2~3km 이상은 단축되었으리라 생각됩니다. 



보통 이렇게 구길이 된 고갯길엔 타이어자국이 많습니다만..


그렇습니다. 보통 이렇게 구길이 된 고개에는 늦은 밤 와인딩을 즐기는 사람들이 열심히 비비고 다닙니다만, 그렇게 높지도 험하지도 않은 고갯길인지라 그들의 놀이터가 되진 않았네요.


뭐 여튼 타이어자국이 보입니다만, 아스팔트 포장공사시 생긴 자국이 아닐까 싶습니다.



잘 올라가다가 차선을 막는 아카시아 나뭇가지..


차가 많다면 나뭇가지가 차선 안쪽으로 자라지도 않았을테고 전반적으로 관리가 안된다는 이야기겠죠.



선형개량공사로 한참 전 구길이 된 갓길에 잘 보이진 않습니다만, 누군가가 차를 세워뒀습니다.



구길에서 바라본 새로 개통된 국도 32호선 터널(차동터널)과 그 위에 보이는 고속도로.


같은 목적지. 대전을 향해 가는 길이 각기 다른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습니다.



차도 사람도 없는 한적한 고갯길.  


덩쿨은 도로를 침범한지 오래고, 아카시아 나무 역시 차도 안쪽으로 자란지 오래입니다.



또 오십시오. 예산군입니다.


한쪽으론 예산사과, 한쪽으론 덕산온천을 홍보하고 있습니다. 이제 더이상 차가 다니지 않는 도로에 저런 이정표가 무슨 의미가 있을까요.



그새 고개 정상에 도착했습니다. 360m 수준의 언덕입니다.


차동이란 지명은 옛날 불왕골에 살던 효성이 지극한 차서방이 병든 어머님의 약값을 구하기 위해 산에서 나무를 하다 자던 중 꿈속에 하얀 할아버지가 계시한 산삼을 캐서 늙고 병든 어머님께 달여 드려 병을 낫게 했다는 데서 유래했다고 한다.


그러합니다. 차서방이 산삼을 구해왔던 그 산의 고갯길을 차동고개라 부른다고 하는군요. 이 주변 마을에 차씨가 많이 거주하는지는 모르는 일이지만, 여튼 차서방의 효심이 수백년 혹은 수천년이 흐른 지금의 세월까지 지명으로 굳어져 기억되고 있습니다.




휴게소는 이미 철거되었습니다.


고속도로의 개통 이후 폐업한 휴게소는 약 5년간 방치되어 있다가 최근에 와서 철거작업을 진행한걸로 확인됩니다. 이 길을 지나갈적마다 호두과자를 사먹었던 그 휴게소는 현재 건축폐기물 더미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게 되었습니다.



주유소 역시 철거되었습니다만, 주유소 사무실은 남아있네요. 


철거 예정인지 싶어 봤습니다만, 인기척이 느껴집니다. 자연의학연수원이라는 현수막을 달고 있는걸로 보아 현재도 사용중인 건물로 보입니다.



주차장의 차선은 흔적조차 찾기 어려워졌고, 틈에서 잡초가 자라납니다.


당연히 고개 정상에서 쉬어갈 차량도 없을테구요. 휴게소마저 철거된 상태니 굳이 들릴 사람은 없어보입니다.



공주방향으로 다시 내려갑니다.



이쪽도 관리상태는 뭐..



조금 내려가다 보면 터널에서 내려오는 새 도로 그리고 고속도로와 마주합니다.


터널에서 내려오는 길도 험한 고개 수준은 아니지만, 급커브가 하나 있습니다.



가장 높은 교각이 고속도로, 그리고 그보다 낮은 교각 두개가 국도 상/하행선.


고속도로 고가도로 공사로 고갯길 선형이 조금 바뀌긴 했었습니다만, 국도 확장공사로 구 고갯길은 두 고가를 돌고 돌아서 넘어가는 형태로 변경되었네요.



그렇게 구 고갯길은 녹천1교차로를 통해 새 도로와 연결됩니다.



기존 2차선 구간의 대부분이 확장되어 현재도 도로로 이용중이지만, 이렇게 통제된 구간도 보입니다.



살짝 공간이 있기에 기어들어가 봅니다.



완전히 버려딘 도로 위에 차 한 대.


저 넓은 길을 달리는 사람들이 보곤 대체 뭘 하는 사람인지 싶겠죠.



아스팔트 포장 역시 끊겨버리고, 전봇대가 폐쇄된 도로를 가로막고 있습니다.


더이상 가고싶어도 갈 수 없는 도로가 되어버렸네요.



아쉬움을 뒤로하고 2014년 12월 개통된 차동터널을 거쳐 집으로 옵니다.


총 연장 560m 수준의 터널입니다. 고갯길과 비교하자면 최소 5분 이상의 시간이 단축되리라 판단됩니다.



- 끝 -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평화로운 주말. 세차를 하러 합덕이니 당진이니 어디까지 가고 싶은 마음은 없고, 내포신도시에서 세차를 해결해보기로 합니다. 다만, 내포신도시에는 세차장따위가 없으니 홍성으로 나가야겠죠.


일반 손세차업소는 지나다니면서 많이 봤지만, 고로 홍성에 셀프세차장이 어디에 있는지 찾아봅니다.



광천으로 뜨는 곳을 제외한다면 딱 네군데가 검색됩니다.


일단 가장 가까운 코스모셀프세차장으로 향합니다. 홍성 시내 초입에서 좌회전해서 홍성역 방면으로 가다보면 길 건너편에 소재하고 있더군요. 홍주의사총 근처입니다.




3베이짜리 셀프세차장입니다. 


딱 봐도 상당히 노후화된 시설임을 알 수 있습니다. 코스모셀프세타차운 홍성점 글자 밑에 전화번호 국번 역시 두자리 국번이네요. 본격적인 세자리 국번 통합작업이 진행되기 시작한게 1998년이니 최소 20년은 묵은 셀프세차장이 아닌가 싶습니다.



시설이 상당히 노후화된 만큼 기본요금 또한 저렴합니다.


500원짜리 동전 두개. 천원에 1분 30초를 제공합니다. 오백원짜리 동전 다섯개를 넣고 여유롭게 세차를 진행합니다. 큰차라면 부족한 시간일지 모르겠는데 경차에게는 꽤나 여유로운 시간입니다.



거품솔은 의외로 부드럽습니다. 거품도 초반에는 잘 안나오다가 시간이 지나면 넘쳐나는 수준으로 잘 나오구요. 고압분무기의 성능 역시 오래된 세차장임에도 최근 지어진 세차장이나 비슷한 수준으로 준수한 편입니다.



이제 본격적으로 실내세차를 하러 왔는데.. 정말 오래되어 보이는 청소기가 보이는군요.


불과 10년전에 놓은 설비들만 해도 에어건과 함께 겸용으로 사용이 가능한데 이건 진공청소기의 목적으로만 사용이 가능합니다. 카운터는 요즘 나오는 기계들과 동일합니다만..



좀 잡아당긴다고 잡아당기니 봉이 움직이는게 아니라 이렇게 청소기용 닥트호스가 찢어져 있더군요.


찢어진걸 절연테이프로 칭칭 감고 PVC 파이프로 고정해서 꼽아둔거였습니다..;;;


뭐 세차도 거의 다 끝났고.. 어이가 없어서 그냥 왔네요. 다음번엔 다른 세차장에 한번 가 보도록 해야겠습니다. 청소기호스 몇푼이나 한다고 그거좀 바꿔주면 어디 덧나나요ㅠㅠ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