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프로젝트 출자 차량인 써금써금한 티코에 달려있는 카오디오는 손자뻘 되는 M200(올 뉴 마티즈)용입니다. 티코 순정이 고장나는 바람에 장난감처럼 생긴 올뉴마티즈용 카오디오를 장착했다고 들었네요. 


물론 올뉴마티즈용 카오디오는 그동안 라디오도 잘 나오고 카세트 테이프 역시 잘 돌렸습니다만, 테이프를 재생하면 소리가 거의 나오지 않는 증상이 보이던지라 결국 떼어버리기로 합니다.



보시다시피 센터페시아 내 올뉴마티즈 오디오가 걸쳐져 있습니다.


티코 오디오가 규격은 같으나 베젤이 상당히 작은지라 여타 사제오디오 혹은 타차량 순정오디오를 이식하기 매우 까다로운 구조입니다. 물론 비스토 아토스도 순정 오디오가 아닌 사제나 타차량 순정오디오를 장착할 경우 좁디좁은 센터페시아에 걸려버리는건 마찬가지지만 말이죠.



티코의 오디오를 탈거하기 위해서는 좁디좁은 저 공간으로 손을 넣어 볼트를 풀어줘야 합니다.


제대로 구조를 보기 또한 힘든 그런 위치입니다. 작은만큼 정비 그리고 개조를 하기엔 상당히 불편합니다.



겨우 카메라를 넣어 바라본 모습. 복잡한 공조기 배선들과 오디오 배선들이 얽히고 섥혀있습니다.


대우 구형잭을 개조해서 신형잭을 쓰는 오디오를 넣어두었기에 바로 앞에 구형 오디오잭이 보이는군요. 그래도 구형잭을 잘라버리고 그냥 선만 이어버린게 아니라 구형잭에서 신형잭으로 개조 후 올뉴마티즈 순정오디오를 장착한 모습입니다.



티코 오디오를 고정하는 볼트가 어디까지나 운전석 부분에만 있기에 살짝 들어보면 데크의 오른쪽은 밀려나옵니다. 물론 잘 고정이 된 상태이다보니 강제로 잡아당겨야만 밀려나온답니다.


어디까지나 손 감각으로 센터페시아 안쪽에 브라켓을 고정하고 있는 나사 두개와 브라켓 위에서 데크를 고정해주는 나사 하나를 풀어줍니다. 대시보드를 들춰내지 않는 이상 손감각에 의지해야 합니다.



결국 순순히 빠져나오는 올뉴마티즈용 순정오디오.


그렇습니다. 요즘은 줘도 안갖는 카세트 데크입니다. 깡통차들은 원가절감을 위해 카세트 데크가 삭제된 상태에서 라디오만 수신이 가능한 오디오 데크를 넣어주지요. 뭐 기본적으로 완전 깡통차 아니고서야 USB 단자 하나씩은 적용된 데크를 적용해 주기에 사제오디오를 찾는 사람도 썩 많진 않습니다.



대우전자(대우일렉)에서 제조한 제품입니다. 다만 제조일자와 QC 도장이 찍혀있지 않습니다.


신품을 샀을리 만무하고, 폐차장이나 카오디오샵에서 사제오디오를 장착하고 남은 물건이 장착되었을게 분명한데 말입니다. 그래도 미련없이 이어져있던 잭까지 분리해 줍니다.



대우 신형 오디오잭과 라디오 수신을 위한 안테나 배선이 보입니다.


그리고 함께 보이는 저 브라켓이 티코에 장착될 오디오 데크를 고정시켜 줍니다. 다만, 오디오 탈거작업이 너무 강렬했던지라 배선 몇가닥이 끊어졌네요.. 고로 다시 이어주기로 합니다.



스피커선과 접지선을 다시 이어주고.. 테스트를 해보니 잘 나오더군요.


시간이 난다면 대충 절연테이프로 붙여둔 부분 중 죽어있는 몇가지 기능은 살려가면서 수축튜브로 깔끔하게 정리를 해보고 싶습니다. 다만 시간이 나지 않는다는게 흠이라면 흠이겠지요. 그자리에 어떤 데크를 장착할지 역시 좀 더 고민을 해봐야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분명 터미널 부지는 있습니다만, 아직까지는 인구도 이렇다 할만한 수요도 썩 많지 않은 동네기에 도청 근처에 시외버스 및 고속버스 정류소만 운영되고 있습니다. 그래도 나름 신도시는 신도시라고 합덕같은 동네에 비한다면 정차하는 버스는 상당히 많은 편이 아닐까 싶습니다.



그냥저냥 요즘 지어지는 평범한 정류소 수준입니다.


무인발권기 2개와 상주하면서 관리하는 매표직원이 한분 계시더군요. 같은 정류소라도 편의점이나 근처 상점에서 발권을 대행하는 지나가는 수준의 정류소거나 상주하는 직원 없이 무인발권기만 존재하는 다른 정류소에 비한다면 처우는 좀 괜찮은 편입니다.


내포신도시 고속버스 시외버스 정류소 전화 문의

041-631-2811



1~2시간 간격으로 홍성발 센트럴시티행 버스가 정차해 갑니다.


그 외 남부터미널과 동서울터미널행을 비롯하여 서울 3대 터미널행 버스가 꾸준히 정차하는군요. 동대전 서대전행 버스들도 꾸준히 정차합니다. 그 외 서산 태안착이나 홍성 보령착 서해안 노선을 비롯하여 청양이나 부여같은 내륙으로 들어가는 버스 노선도 볼 수 있습니다.



확대사진. 자세한 내용은 충남고속 홈페이지 내 각 지역 시간표 페이지로 (바로가기)



재작년쯤에 개통된 당진발 내포신도시 경유 군산행 차량이 추가로 보령을 경유한다고 합니다.


당진은 그래도 중소도시 치고는 전라도나 경상도 그리고 강원도행 차량이 꽤나 있는 편인데, 어디 맘카페같은곳에 경상도 들어가는 차들은 많은데 전주나 전북권 소도시 노선은 왜 없냔 개소리를 하는 사람들이 있다고 합니다. 암만 그래도 당진 수준의 도시에서 전라도행 차량이 많은 동네가 없는데 말이죠.


일 4회 각 당진과 군산에서 출발한 차량이 이 노선을 2회 왕복합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