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가평에 들렸다 오는 길. 마침 오일 교환주기도 얼추 다가왔고, 분명히 지난해 11월에 갈았지만 벌써부터 잘 잡히지 않는다 느껴지는 브레이크 오일의 점검차 용두동에 소재한 오일마켓으로 향했습니다. 경춘고속도로를 타고 서울방향으로 나오던 길이니 천호대교만 건너면 금방이지요.


블로그 내 다른 글을 검색하셔서 그동안의 오일 교환기를 찾아보신다면 더이상 설명이 필요없는 공간이긴 합니다. 저는 비록 꼼꼼한 차주는 아니지만, 병적 관리가 일상이고 꼼꼼한 성격을 가진 차주의 성에 차게도 정말 꼼꼼하게 작업을 진행해줍니다.





예약없이 방문했으나, 리프트가 비어있네요. 여튼 리프트로 차량을 올립니다.


먼저 브레이크 이야기를 꺼내니 수분측정기로 오일의 상태부터 확인을 해봅니다. 오일 색상은 조금 진하긴 하지만, 수분 함량은 1%대로 정상. 암요 교환한지 세달밖에 되지 않은 오일이 벌써 교체대상일 일은 없겠죠.



일단 리프트를 올리고 네바퀴 모두를 탈착합니다.


그리고 곧 에어빼기 작업을 진행합니다.



생각보다 공기가 많이 차 있었다네요.


화근은 아마 지난해 클럽데이 당시에 저보다도 훨씬 어려보이는 정비사가 제 차의 점검 및 작업을 진행했었는데, 아무래도 실습생이 아녔나 싶습니다. 차를 주차장에서 정비고로 가져가는 동안 정확히 여섯번 시동을 꺼먹더군요. 뭐 그땐 그냥 그렇구나 하고 넘어갔습니다만 하체 부싱류를 점검했다고 하는데도 밋션미미 볼트가 빠진것도 그냥 넘어갔었고 브레이크 오일 교환 후 에어도 제대로 빼지 않은듯 보입니다.


공기를 빼주고, 함께 나온 오일은 다시 오일통에 넣어줍니다. 마스터실린더 그리고 디스크 캘리퍼에도 머지 않은 시일 내 투자가 필요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요즘들어 딱히 차에 돈쓰기 싫은데 자꾸 돈을 쓰게 만들어주는 스파크입니다.


이왕 이렇게 리프트 띄운거 엔진오일도 교환하기로 합니다.



일단 드레인 방식으로 폐유를 배출합니다.


그 뒤 석션을 이용해서 고여있는 폐유 마저 배출해내는 방식으로 잔유를 완전히 제거합니다. 폐유 제거 후 어떤 오일을 주입할지 고민 또 고민을 해보네요. 종전에 내리 두번 사용했던 SARD 오일은 다 좋습니다만 체감되는 오일빨(?)이 오래가지 못하는 느낌에 생각외로 큰 소음과 좋지 못한 연비가 발목을 잡네요. 



결국 그렇게 결정된 오일은 이탈리아의 셀레니아(SELENIA)社의 오일입니다.


아 물론 말레이시아의 국영 석유회사인 페트로나스(PETRONAS)가 이 회사를 인수했습니다. 그래도 원체 인지도 높은 오일이고, 알파로메오 규격에 맞춘 순정오일로도 유명하기에 회사는 말레이시아 자본에 넘어갔어도 이 브랜드 그대로 제품이 나오나 봅니다.


셀레니아에도 여러 제품이 나옵니다만, 그중 선택된 오일은 '퓨어 에너지 와이드 레인지 5W30'

여튼 오일이 결정되었고, 본격적인 주입작업을 진행하도록 합니다.



2리터들이 두통이 스파크에 주입되기로 합니다.


저기 이태리 성님들이 타는 알파로메오에나 주입되어야 할 고급 오일이 바다건너 타국의 저가형 경차에 들어가는게 정말 통탄하게 느껴지겠지만 저도 이태리 감성을 한번 느껴봅시다.



주입이 편하게 요런식으로 간이 비닐 깔때기가 붙어있네요.


이태리 오일 통들은 뭐 다 그렇다고 합니다.



일단은 주입기에 붓고, 드레인을 했던 그자리에 반대로 밀어넣어 줍니다.


잔류했던 오일을 강제로 빼냈는데, 그 부분으로 다시 오일을 넣어주기 위해 번거로운 방법이긴 하지만 이 방법을 사용해서 오일을 주입합니다.



다들 귀찮아 그냥 지나가는 부분인 드레인코크 와셔의 교체작업도 진행합니다.



마저 남은 오일도 부어주고 완료.


일단 종전의 사드오일에 비한다면 칼칼하게 잘나가진 않습니다. 초중반 가속과 정숙성은 상당히 우수한 편. 다만, 후빨이라 하는 110km/h 이상 가속은 꽤나 힘들더군요. 사드오일로는 속도계 끝도 무난하게 찍던 그런 차가 140km/h를 넘기기가 힘듭니다. 천키로 주행하면서 열심히 밟아보기도 했고 정속으로 부산도 내려가 봤지만 같은 조건에서 종전 오일로 주행했을 당시와 비교하면 체감상 연비는 훨씬 좋네요.


여튼 그렇습니다. 아마 여름즈음에 새 오일로 교체하겠죠. 일단 좀 더 타보고 같은 오일을 사용할지 결정하도록 합시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한 친구한테 전화가 왔습니다. 쌩뚱맞지만 당장 다음주에 유럽을 가자 하더군요.


다만, 무리수라는 사실을 인지했는지 가까운 해외로 눈을 돌렸습니다만 그마저도 여의치 않았습니다.


그래서 나온게 유럽풍 테마파크를 가자는 이야기. 찾고 찾던중 가평의 '에델바이스 스위스 테마파크'에 다녀왔습니다. 경춘고속도로 설악ic에서 약 4km. 굽이굽이 시골길을 건너 도착한 스위스 테마파크는 한마디로 요약하자면 '남자 둘이 갈 곳은 아니다'입니다.



개장시간이 오전 10시. 도착시간은 오전 9시 56분.


개장시간에 딱 맞춰서 도착했습니다. 전날 기상상황이 영 좋지 못했던지라 혹여나 언덕을 올라가지 못할까 많은 걱정을 했습니다만 기우에 불과했습니다. 주차장에 차를 주차하고 걸어서 언덕배기를 올라갑니다. 가평군 설악면 저 구석 산골짜기에 자리잡은 한국 속 스위스는 어떤 느낌일까요.



입장권을 구입하기 위해 건물 안으로 들어갑니다.


이른 아침시간이고 전날 온 눈이 녹았다가 얼어서 상당히 미끄러웠네요. 시간이 조금 지나고 여러 직원들이 이런 눈을 치우고 있긴 했습니다만, 이날 처음으로 방문했던 방문객은 그 미끄러운 길을 올라왔습니다.



스위스행 티켓을 구매합니다. 1만원씩 두명 2만원.


조금 비싼 감이 들긴 했습니다만, 일단 입장을 위해 티켓을 구매합니다.



주변으로 아기자기한 기념품들이 전시되어 있습니다.



기념품 구경도 하고, 발권 업무도 모두 마친 뒤 매표소 건물부터 본격적인 구경에 나섭니다.



평일엔 오전 10시부터 오후 6시까지.

주말과 공휴일엔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테마파크를 일반에 개방한다 합니다.


가평군민과 기타 할인대상은 6000원에 입장이 가능하지만, 외지 일반인은 만원을 내야 합니다.



아기자기한 티켓입니다. 이 테마파크의 마스코트인 하이디 베어가 그려져 있습니다.


평범한 스위스 마을의 풍경.



허스키인지 멜라뮤트인지 모를 썰매견. 


박제가 아닐까 싶을정도로 정말 정교하게 제작된 인형이였답니다.



평범한 스위스 마을의 밤. 


매표소 건물 내에서 간단한 관람을 마친 뒤 밖으로 나와봅니다. 유럽풍의 아름다운 건물들이 우리를 기다리고 있었습니다.



비록 녹아내렸다가 다시 얼어버린 눈이 상당히 미끄러웠고 

여기저기 보수작업이 진행중인 구간이 많았습니다만 일단 올라가 보기로 합니다.


(계속 이어집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