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보령(대천)에 딱히 뭐 먹으러 갈 데가 있냐고 물어보면 여기를 제일 먼저 손에 꼽고 싶습니다.


옛 고택을 보수하여 식당으로 운영중인 곳인데, 주로 메뉴로 묵요리와 백숙을 파는 식당입니다. 주교면에 소재한 이 식당은 보령 시내인 대천에서도 차를 타고 간다면 그리 멀리 떨어져있지 않은편이고 홍성쪽에서 가기도 주교 면소재지에서 오천방면으로 들어가다보면 그리 멀지 않으니 여러모로 위치 자체는 외딴곳에 있지만 접근성은 그리 나쁘지 않습니다.



시골 지방도 한복판에 보이는 기와집이 바로 이 식당입니다.


'흥업'은 지명입니다. 강원도 원주시 흥업면인데 이 흥업면에도 흥업묵집이라는 묵요리 전문점이 있다고 하네요. 그 흥업식 묵요리를 해서 흥업묵집인지 아니면 다른 의미를 내포한 한자어인지까진 잘 모르겠습니다. 뭐 '강원흥업'이라는 버스회사도 원주시 흥업면과 관련이 있을 줄 알았으나 원주시 흥업면하고는 하나도 관계 없던데요 뭐.


다음지도상으로는 원조흥업묵집이라는 상호로 검색됩니다.



고택 앞 정원에 사는 진돗개 두마리와 살이 오를대로 오른 수컷 고양이가 손님을 맞아줍니다. 


진돗개와 고양이를 거쳐 식당 안으로 들어오면 향토적인 분위기의 식당이 펼쳐집니다.



그렇습니다. 보기만 해도 건강해지는 느낌의 인테리어입니다.


나름 현대적인 마룻바닥과 식탁 그리고 전등까지. 전통적인 요소와 현대적인 요소가 잘 아우러진 모습입니다.



흥업묵집의 상차림표입니다.


백숙과 초계탕을 제외하면 메밀로 만든 요리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흥업정식은 백숙과 묵무침 메밀전과 죽이 코스로 나오고, 초계탕과 닭 매운탕은 계절요리네요.


전반적으로 가격대가 그리 저렴하지는 않습니다. 국산 메밀로 만들어 재료비가 비싼 까닭도 있겠지요. 물론 공장에서 만든 메밀묵과는 달리 직접 식당에서 만든 묵으로 요리하는지라 차별화된 맛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메밀전과 함께 묵밥을 주문했습니다. 메밀전은 사실상 술안주격인 메뉴입니다만, 술 없이 먹었습니다.



메밀전 먼저 나오네요.


정확히는 김치메밀전입니다. 얇게 편 부침개 반죽 위에 배추김치와 쪽파를 곁들여 부쳐낸 음식입니다. 간장이 곁들여 나오지만, 김치 자체의 짭짤한 맛이 있어 굳이 간장을 찍지 않아도 간이 맞습니다.



묵밥도 곧 나옵니다.


묵밥에 곁들여 먹을 김치도 같이 나왔네요. 신맛이 좀 나는 묵은 김치였습니다.



묵밥에 저 김치를 곁들여 먹으면 됩니다.


따뜻한 육수를 부어 만든 묵밥입니다. 이게 과연 맛이 있을까? 생각하시는 여러분들도 한번 드셔보시면 꽤나 괜찮은 맛을 내는 음식인것을 아시게 될 것입니다. 뜨겁지 않은 육수 속의 메밀묵과 밥 한수저를 함께 떠 먹으면 이만큼 맛있는 음식도 없습니다. 


밥이 조금 적기는 합니다만, 부족하다면 조금 더 주기도 한다고 합니다. 사발의 육수 한방울까지 남기지 않고 비워냈네요.


묵밥 한그릇에 건강해지는 느낌입니다. 다음에는 더 많은 사람들과 함께 묵밥을 먹으러 왔으면 좋겠네요.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업무용 폰의 약정이 다 끝나 알뜰폰 유심요금제로 번호이동을 진행했습니다.


사실 기존에 쓰던 갤럭시J7 2016도 알뜰폰으로 개통된 기기였습니다. 헬로모바일에 2년 약정이 묶인 채 기기값 없이 개통했었는데 쓰다보니 데이터 무제한 요금제로 올리게 되고, 어쩌다보니 알뜰폰 주제에 매월 나가는 요금이 6만원 수준이더군요.


차라리 알뜰폰에 요금을 6만원씩 내고 쓸거였으면 기존 통신3사에서 개통을 하던지, 아니라면 좀 더 좋은 기기로 개통을 했을텐데 툭하면 LTE 신호 못잡고 느려터진 3G로 바뀌는 헬로모바일을 쓸 이유가 없었겠지요.



여튼 약정은 명절 연휴인 2월 6일자로 끝났습니다. 약정 만료가 다가오면서부터 다른 알뜰폰 사업자로 번호이동을 하기 위해 여러모로 알아보았습니다. SKT와 KT 그리고 LG U+망을 임차하여 서비스하는 여러 알뜰폰 사업자가 있었고, 각자 가입자를 유치하기 위해 저렴한 요금제와 프로모션으로 홍보를 하고 있더군요.


여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에서 운영하는 알뜰폰 비교 사이트인 '알뜰폰 HUB'를 보며 어느 상품이 가성비가 좋을지 고민하다가 결국 (주)큰사람의 이야기알뜰폰으로 번호이동을 결정하고 가입 신청을 넣었습니다.



이야기 100분+6GB


그렇습니다. 통화 100분 문자 100건에 데이터 6GB를 제공해주는 요금제입니다. 온라인 가입 기간 특가 이벤트 할인 2,200원과 + 평생할인 5,500원을 더해서 총 월 요금이 15,300원.


비슷한 가격대의 랄라블라 요금제보다 2천원 저렴하면서 통화시간이 80분, 데이터가 1GB 적긴 하지만 가입비와 유심비 자체가 없다보니 초기 비용으로 내 돈 들어갈거 없는 이야기 유심요금제를 선택했습니다. 물론 5천원만 더 투자하면 데이터 10GB가 제공되는 요금제를 쓸 수 있지만, 폰 두개 다 10GB+무제한 요금제를 써도 두개 다 10GB를 채우지 못했기에 조금 저렴한 요금제를 사용하기로 합니다.


전반적으로 LG U+ 망을 이용하는 알뜰폰 요금제들이 저렴하더군요. 4세대 이동통신 시대 이후로 통신3사가 딱히 어디가 부족하고 어디가 뛰어나고 그런거 없이 상향평준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괜히 유플러스라 망설여진다고 하는 분들도 계시지만 오히려 사람이 많은곳에서는 상대적으로 이용자가 적은 LG가 더 낫다는 얘기도 나오더군요. 화웨이고 나발이고 싸면 장땡인 사람인지라 암만 헬지가 어떻고 뭐고 저한테는 큰 상관은 없습니다.


신청 후 택배로 유심이 도착했으니 개통절차를 이어가기로 합니다.

 


봉투는 큰데.. 뭐 딱히 들은건 별거 없네요.


차라리 규격 편지봉투에 넣어서 등기우편으로 보내주는건 어땠을까 싶습니다.



내용물은 카드 크기의 유심칩과 안내문이 전부.


뭐 따로 개통절차와 관련하여 안내하는 서류가 있을까 보았지만 그런 서류는 따로 없었네요.



(주) 큰사람 이야기 알뜰폰은 SKT망과 LG U+망을 임차하여 서비스하고 있었습니다.


전반적으로 유플러스 요금제가 저렴했습니다. 이야기 홈페이지에 가 보니 유플러스는 유심 위주로, SK망은 휴대전화와 함께 파는 포지션으로 타겟을 맞춰놓았겠지요.



별다른 개통안내와 관련된 안내문이 없어 고객센터로 전화합니다.


타사 전용 고객센터 번호인 1670-9114로 전화를 걸어 유심이 왔으니 개통절차를 진행해달라 요청합니다. 같은 알뜰폰 사업자인 헬로모바일만 하더라도 고객센터가 대형화 및 세분화 된 느낌이였는데, 이야기알뜰폰은 그냥 대표번호로 전화하니 상담원이 받고 안내를 해주는 방식입니다.



유심입니다.


일반 유심 규격으로 나오는데 마이크로 나노유심으로 쉽게 떼어 쓸 수 있도록 제작되었습니다. 일부 통신사 유심들은 마이크로와 나노유심에 대한 배려가 없이 일반 유심사이즈로 던져주고 알아서 자르라고 하곤 하는데, 세세한 배려가 마음 들더군요.



2년동안 수고해줬던 헬로모바일 유심과 임무교대를 진행합니다.


다홍색의 헬로모바일 유심에 비하면 평범하지만, 그래도 뭐 보이는 부분이 아니니 상관은 없습니다. 헬로모바일에서 번호이동 절차를 마치고 이야기모바일 개통센터에서 연락이 옵니다. 유심을 넣고 켜 보라고 하네요. 잠시 뒤 유플러스 신호를 잡습니다. 그리고 곧 정보가 변경되었다고 다시 껐다 켜라는 화면이 뜨더군요.


핸드폰을 다시 껐다가 켜 보니 정상적인 사용이 가능해졌습니다.



유플러스 고객센터 명의로 문자가 잔뜩 들어옵니다.


어짜피 유플러스 망을 이용하는지라 유플러스 고객센터에서 문자가 날아오네요. 통화중이나 전원이 꺼져있는 상태에서 전화가 왔었음을 알려주는 매너콜은 기본 적용이고, 컬러링정도만 제가 직접 유플러스 뮤직벨링 어플을 설치하여 가입하고 설정을 해 두었습니다.


그리고. 올레 추노마크가 뜨지 않아 좋네요.




여튼 KT용 기기입니다만, 유플러스에서의 사용에는 별다른 문제는 없어보입니다. 


SK 유심을 꼽아도 별 문제 없겠지요. 뭐 여튼 그렇습니다. 앞으로 핸드폰이 망가지지만 않는다면 이 요금제를 계속 사용하지 않을까 싶네요. 나중에 폰을 바꾼다고 하더라도 자급제폰이나 중고폰을 사다 바꿀테고요. 여튼 저렴한 가격에 세컨드폰을 쓰게 되었습니다. 메인폰은 KT에 결합할인이 묶여있어 타사로 빼 나오기가 좀 그렇다보니 그냥 쓴다더라도 말이죠.


여튼 거지라면 저렴한 알뜰폰 씁시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