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평화로운 월요일 오후.


퇴근하며 우편함을 들여다 봅니다. 방송통신위원회,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에서 온 편지가 하나 있네요..



나는 딱히 잘못한게 없는데.. 라고 생각하며 우편물을 확인하기로 합니다.


아무래도 지난해 업무용 알뜰폰의 약정이 끝나고 번호이동을 하며 생긴 미환급금이 연초에 확인되어 이런 우편물이 오지 않았나 싶습니다. 그동안 통신사 미환급금 조회 서비스가 방송을 타고 주목을 받을 때 마다 한번씩 돌려보곤 했습니다만, 환급금이라고는 단 1원도 나오지 않았었지요. 이번에는 생긴듯 합니다.



안녕하십니까?


CJ헬로로 납부하신 서비스 요금 중 환급금이 있어 다음과 같이 신청방법을 안내드립니다.


그렇습니다. 지난해 2월 KT망을 사용하는 CJ헬로 알뜰폰에서 LG U+망을 사용하는 (주)큰사람 이야기알뜰폰으로 번호이동을 했었습니다. 그 당시 CJ헬로에서 청구되었던 요금이 번호이동 후 사업자인 큰사람에서 함께 청구가 되었는데, 필요 이상으로 더 걷어간 금액인듯 합니다.


여튼 CJ그룹이 2000년대 초반 케이블 방송 사업의 진출을 목적으로 지역 유선방송사를 합병하며 몸집을 불려왔던 CJ헬로비전은 IPTV의 등장과 뉴미디어시대의 시작으로 한계에 봉착하였고, 몸집 불리기에 혈안인 LG그룹의 통신사에 인수되었습니다. 그렇게 2019년 12월 24일. 주주총회를 거쳐 CJ 이름을 떼어내고 LG헬로비전으로 사명이 변경되었지요.


사명이 변경된지 대략 보름가까이 지났습니다만, 아직 안내문에는 CJ 로고가 선명히 박혀있었습니다.



물론 안내된 홈페이지 주소에서 새 사명이 포함된 주소로 변경되었습니다.

http://mobile.lghellovision.net/ 홈페이지 주소가 매우 길어졌습니다.


홈페이지 주소가 매우 길어졌음에도, 헬로모바일 홈페이지는 로고가 바뀐 모습을 제외하고는 거의 그대로입니다. 말이 LG의 통신 계열사지만, KT망과 SKT망을 임차하여 알뜰폰을 판매하고 있습니다. 아마 LG그룹의 계열사로 편입된 이상 KT와 SKT망을 이용하는 요금제보다 훨씬 더 저렴한 상품이 탄생하지 않을까 기대가 되긴 합니다.


여튼 홈페이지 우측 하단에 보이는 '미환급금 조회/신청' 카테고리를 클릭합니다.


유선상품의 경우 엘지헬로비전 홈페이지(http://www.lghellovision.net/) 최하단에 미환급금 조회 카테고리에서 조회가 가능합니다. 처음에 유선상품용 홈페이지에서 조회했더니만 아무것도 나오지 않아 모바일 페이지로 이동했었습니다.




간단한 본인인증으로 미환급금의 조회 및 신청이 가능합니다.


선납 또는 과납한 금액이나 공시지원금 부가세 과다 과금액을 돌려준다고 합니다. 거기에 비록 작은 돈이겠지만 그동안의 이자까지 계산하여 지급한다고 하네요. 물론 큰 돈이 아닌지라 이자가 눈에 띌 수준은 아니겠습니다만, 1원의 이자라도 붙어있겠지요. 제게는 1원도 소중합니다.




제 몫으로 남아있는 미환급금은 1332원.


환급 은행과 계좌 연락처를 입력하고 신청버튼을 누르면 매우 간단한 신청절차가 완료됩니다. 뭐 큰 돈이 남아있으리라 기대하진 않았지만, 기대보다 훨씬 적었기에 약간 실망하기는 했었네요. 그럼에도 과자 하나 먹을 수 있는 그런 돈입니다. 그저 받아도 그만 안받아도 그만인 돈이라지만 제게는 소중합니다.




그렇게 환급 신청을 마쳤습니다. 과도하게 청구된 부가세 환급금이라고 합니다.


지난 월요일에 접수했고, 화요일 오후 2시 13분에 소정의 이자가 포함된 1485원이 입금되었습니다. 그리 큰 돈은 아니지만 그래도 과자 한봉지 값은 벌었으니 기분은 정말 좋네요. 통신3사의 유/무선 상품의 미환급금은 통신사업자연합회에서 운영하는 홈페이지(https://www.smartchoice.or.kr/)에서도 일괄 확인이 가능합니다.


알뜰폰의 경우 이렇게 안내우편물이 오거나, 각 통신사 홈페이지나 고객센터를 통해 확인이 가능하다고 하네요. 여튼 그렇습니다. CJ시절에 냈던 돈을 회사의 주인이 LG로 바뀌고 소정의 이자까지 더해져 받았습니다. 기분은 좋네요.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벌써 이사온지 3년이나 흘렀군요. 처음 입주하면서 계약했었던 인터넷 약정이 다 끝났으니 말입니다.



뭐 사실 LG U+의 품질에 대한 불만은 거의 없었습니다. 가끔 인터넷에 문제가 있을 때 포트변경과 리셋정도로도 충분히 문제가 해결되었으니 말이죠. 여러모로 해외 사이트도 잘 들어가지고, 기가급도 아니고 백메가급인데 딱히 속도가 느리다거나 지연되는것도 없었고요. 그렇게 벌써 3년의 세월이 흘러버렸습니다.



2016년 6월 4일에 시작된 약정은 2019년 6월 3일로 종료됩니다.

그리고 6월 6일부터 인터넷 단통법의 시행을 앞두고 있지요.


재약정을 할 계획이라면 가급적 빠른 시일 내에 하려는 목적에 유플러스 고객센터로 먼저 전화를 걸어봅니다. 지난달만 하더라도 스팟성 좋은 조건들이 왕왕 있었다고들 하는데 모르겠네요. 어짜피 기가비트를 지원하는 랜카드가 장착된 PC가 아니기에 제 속도를 체감 할 수 없는 기가인터넷은 사치고, 백메가급 인터넷으로 재약정 조건을 알아봅니다.


LG U+에서 제안하는 조건은 TV와 500MB급 인터넷 3년 약정으로 상품권 30만원. 

인터넷을 100MB급으로 계속 사용하는 경우 22만원 준다고 합니다. 

그 외 처음 제시조건에서는 요금할인이나 서비스는 일절 없이 요금이 올라가더랍니다.


품질에 불만이 있었던건 아니기에 가급적이면 재약정을 하려 했지만 답이 안나오더군요. 이후 해지로 마음을 굳힌 뒤 해지신청을 목적으로 다른 상담원들과 통화해도 약간의 요금할인 말곤 달라지는 부분은 없었습니다. 조금 더 나은 조건을 제시한다면 모르겠지만 오히려 왜 해지하느냐고 시간만 끌고 있습니다. 


통신사 입장에서 혜택을 더 줘가면서 잡을 가치가 없는 고객이라는 얘기겠죠. 이런 호구취급 받아가면서 3년씩이나 유플러스 인터넷을 사용했었다는게 개탄스럽기만 합니다.



백메가(100mb.kr)라는 사이트에 접속하여 알아봅니다.


약 10여년 전 대구에서 시작했던 작은 인터넷 대리점이 현재는 자본금 10억대의 법인이자 손가락 안에 들어가는 업체로 성장했습니다. 애청하는 라디오 프로그램인 MBC 싱글벙글쇼에 광고를 내기도 했고, 구글 애드센스 광고로도 쉽게 접할 수 있습니다.


3년 전 U+ 가입 당시 이 업체의 홈페이지를 확인하며 알아보았습니다만, 결국 다른곳에서 가입을 했었지요. 그래도 종종 신형 셋톱박스 리뷰나 유용하고 재미있는 글을 구경하곤 했었습니다. 물론 3년 전 가입했었던 업체에서 평균 이상의 사은품을 챙겼었는데 친절과는 거리가 멀었기에 그동안 글도 재미나게 보았고 하니 이번에는 백메가라는 업체를 믿어보기로 합니다.


상담번호로 전화를 걸으니 ARS 안내 없이 바로 상담원에게 연결이 되더군요.


그렇게 현재 상황을 얘기하고, 핸드폰은 다른 집 KT 결합에 묶여있다고 하니 KT의 '기가 인터넷 패밀리'라는 상품을 소개해줍니다. KT 인터넷을 사용하는 가족이 있는 경우 할인된 가격에 인터넷을 이용 할 수 있는 상품인데 물론 이 상품의 경우 100MB급은 존재하지 않고, 기가급 인터넷에 한해 가입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사은품은 상품권 포함 38만원 수준이고 TV 포함 요금은 약 3만원대 중반에서 형성된다고 하더군요.


거의 KT 가입까지 갔습니다만, CJ도 들어오는 지역이라 얘기하니 CJ 헬로비전 상품도 알아보기로 합니다.



여러모로 CJ도 대기업이긴 합니다만, 통신3사에 비한다면 영세업자이니 가격도 착합니다.

부가세 포함 2만6천원대에 100~160Mbps급 광랜과 UHD 셋톱박스 와이파이 공유기가 따라옵니다.


물론 통신3사 대비 품질이 떨어진다는 이야기와 불만이 터져나오는게 지역 케이블업체입니다만, 어짜피 이제 3년 된 아파트에 구닥다리 유선줄 비대칭망으로 서비스 하는것도 아니고 통신3사처럼 광케이블을 타고 올라올테니 체감성능은 큰 문제가 없으리라 생각되더군요.


약 7년 전 천안 자취방에 들어오던 인터넷이 지역 케이블방송(티브로드) 망이였는데, 품질면에서 떨어진다는 느낌도 없었고 오히려 통신사 망에서는 워닝으로 막혀버린 사이트까지 접속이 잘 되던(?) 장점이 있었던것으로 기억합니다. 그 시절엔 온라인 게임도 돌렸고, 토렌트도 돌렸던 시기였는데 말이죠. 


나름 대기업 계열사인 헬로비전보다 규모가 작은 티브로드도 그 수준인데 헬로비전이라고 질이 떨어지지는 않으리라는 생각에 결국 CJ 헬로비전의 인터넷을 가입하기로 합니다. 제시된 사은품은 현금 30만원. KT대비 약 8만원의 혜택이 적어도 요금으로 따지면 1년 내에 차액을 뺄 수 있는 수준입니다.



역시 해지는 어려워도 가입은 일사천리로 진행됩니다.


어짜피 유플러스에 인수 될 운명을 가진 헬로비전이라 사실상 옆집으로 이동한다 봐도 무방하겠지요. 설치일정도 바로 잡아놓았고 기존 인터넷과 TV상품의 해지신청도 마쳤습니다. 설치는 내일로 철거는 현충일정도로 잡아두었네요. 


앞으로 3년. 그 안에 7년 된 노트북이나 10년 넘은 데스크톱을 기가급 랜카드가 장착된 새 제품으로 바꿀지는 모르겠습니다만, 쓰레기장에서 주워온 똥컴으로 연명한다면 100메가급 성능으로도 충분히 문제없이 쓸 수 있겠죠. 3년 뒤 다른 통신사로 갈아타며 사은품을 주워먹는 그 날을 기약하도록 합시다.


P.S 이럴 줄 알았으면 업무용폰도 약정이 끝나기 무섭게 번호이동을 진행했었는데, 헬로모바일에서 번호이동 하지 말고 그냥 쓸 걸 그랬나 싶지만... 10% 결합할인을 받아도 비싸서 fail....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