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10 전구'에 해당되는 글 4건

반응형


차를 사면 가장 먼저 진행하는 간단한 DIY.


바로 번호판등 교체가 아닐까 싶습니다. 일단 작업은 매우 간단하면서도 변화가 큰 편인데다가 큰 돈도 들어가지 않으니 말이죠. 여튼 이번에도 번호판등 교체와 추후 시간이 난다면 실내등 교체를 위해 T10 규격의 LED 전구를 여러개 구매했습니다. 예전처럼 LED 칩이 덕지덕지 붙어있어서 겁나게 밝았던 물건들은 팔지 않네요.


뭐 여튼 개당 3천원 수준의 조금 비싼 물건들로 구입했습니다. 그리고 며칠 뒤 택배로 번호판등이 도착했네요.



여러개를 구입했어도 작은 상자에 담겨옵니다.


택배 송장의 크기를 보고 가늠하시면 대략 어느정도 사이즈의 상자에 담겨서 왔는지 여러분도 잘 가늠하시리라 여겨지네요.




작업에 앞서, LED 번호판등은 하얀색에 한해서 튜닝 승인없이 변경할 수 있는 경미한 튜닝 사례에 들어가 있습니다.


요즘 고급차들은 기본적으로 LED 번호판등이 달려나오고, 고만고만한 현대차 역시 튜익스 용품으로 LED 번호판등이 달려서 출고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오히려 번호판이 기존 백열등에 비해 훨씬 식별이 쉽도록 잘 보이는데 진작에 좀 양지로 끌어주지 그랬나 싶습니다. 여튼 튜닝산업 활성화고 말만 번지르르하게 했었던 근혜정권은 끝이 났습니다.



하나씩 포장되어 온 T10 LED 전구.


여러개 구매했지만, 번호판등에 장착 할 두개만 일단 꺼내다 쓰기로 합니다. 요즘은 작은 칩들에 방열판이 달린 물건들이 다수 팔리더군요. 그냥 칩만 붙여놓은 물건들은 한발 두발짜리 아니고선 찾기가 힘들었습니다.



우선 번호판등을 교체하기 위해서는 번호판등 커버를 탈거해야만 합니다.


그래도 요즘 나오는 차들은 정비의 편의를 위해 볼트로 고정을 하는 대신 꼽아둔다는 개념으로 나오는군요. 좌측의 홈을 꾹 안쪽으로 눌러주면 공간이 나오고 번호판등이 탈거됩니다.




반대편 역시 좌우 대칭만 되어있을 뿐, 마찬가지입니다.



일자드라이버를 이용하여 고정된 번호판등 커버를 탈거합니다.


품번은 92501-F5000. T10 소켓과 커버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반시계방향으로 돌려주면 됩니다.



드디어 모습을 드러낸 T10 백열전구.


좀 오래 탄 차들은 검게 그을리곤 하는데, 아직은 새차라고 검게 그을리진 않았습니다. 쏙 잡아당겨주면 빠집니다.



백열등의 사양과 품번이 적혀있습니다. 혹시나 써먹을 곳이 있을테니 일단 잘 보관하기로 하지요.



백열전구가 있었던 자리에 T10 규격의 LED를 꼽아줍니다.



다시 시계방향으로 커버와 꼽아주고. 범퍼에 부착하면 끝.



반대편 역시 같은 방법으로 탈거하여 동일한 과정을 거칩니다.



그렇게 장착을 마치고 시험삼아 미등을 점등합니다.


암만 싸구려 칩이라도 최소 10개 이상 붙은 물건보다 생각보다 밝지는 않습니다만, 불은 아주 잘 들어오네요.



어두컴컴한 밤에 보니 그래도 밝은게 딱 마음에 듭니다.


전구에 비해 빛이 퍼지지는 않습니다만, 그래도 LED 테일램프와 함께 LED로 깔맞춤이 된 상태입니다. 조만간 시간이 날 때 후진등 역시 같이 작업하여 더욱 더 완벽한 모습으로 거듭나기로 합시다.


일자드라이버만 하나 가지고 있어도 과학상자를 조립 할 줄 아는 초등학생 이상이라면 매우 쉽게 작업이 가능합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저사람 차 좀 신경써서 탄다 하는 사람들이면 백이면 백 번호판등을 LED로 바꾸곤 합니다. 


물론 백열전구도 상당히 쓸만합니다만, LED가 시안성이 뛰어나고 멋도 있는데다가 소모전력도 적은편이다보니 많은 사람들이 LED에 열광하지요. 저도 뭐 비스토에 아홉발씩 달린 LED를 갖다 달았으니 말이지요. 가끔 파란색이나 빨간색등의 LED를 번호판등에 박는 경우가 있고 그런 경우에는 문제시 될 수 있으나 백색의 경우에는 전혀 경찰아저씨가 잡아서 딱지 끊게 만들진 않는답니다.


고로 스파크에도 LED 번호판등을 장착하게 되었지요. 물론 앞뒤 세트로 미등도 같이 하는게 정석이지만, DAEWOO 이놈들이 수출형에만 미등을 넣어주고 내수용 스파크와 마크리에는 미등 구멍만 있지 미등이 없답니다. 이건 나중에 업체 가서 알아보려구요 ㅎㅎ



스파크의 평범한 트렁크입니다!


오늘 뜯어 볼 물건은 트렁크등입니다. 이건 DIY라고 하기도 애매할정도로 너무 쉬워요. 초등학생도 십자드라이버 하나만 건네주면 쉽게 할 수 있을겁니다. 여성분들도 노약자분들도 눈만 있고 드라이버 돌릴 힘만 있으시다면 언제든지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하실 수 있어요!!!



번호판 위를 봅시다! 뭔가 있지요? 이걸 탈거해주면 떨어져 나옵니다.


탈거를 위해서는 번호판등 커버 양쪽으로 박힌 나사 두개씩 네개를 풀어주시면 된답니다.



일단 풀기 전에 백열전구 밝기 테스트!



그리고 가차없이 풀어줍니다.


사실 스파크 트렁크가 나름 작게 설계가 되었고, 번호판 플레이트때문에 일반적인 드라이버로는 돌아가는 공간이 나지 않아서 풀기가 조금 힘들더군요. 작은 드라이버를 이용하거나, 좋은 장비들이라면 상황은 달라지겠지요.


가차없이 나사를 풀어주면 저렇게 데롱데롱 번호판등 커버가 탈거됩니다. 소켓을 살짝 돌려서 빼주면 전구가 나오고 T10규격의 전구를 탈거 해 준 다음에 LED 전구를 끼워주면 작업의 80%는 끝난겁니다.



자. 커버를 탈거하고, LED 전구를 장착한 상태입니다.


LED가 아홉개나 박힌걸 샀지요. 더 박힌걸로 하려다가 공간도 나지 않을 것 같고 비스토 역시나 아홉개짜리를 이용했는데 밝기도 적당한게 멀리서도 번호판을 비춰주니 딱 적당합니다. 



이게 이번에 장착하게 된 LED구요...



요게 기존에 달려있던 T10규격의 전구입니다.


비스토 역시나 T10 규격이였는데, 작은 전구였습니다. 최근 나온 스파크에 들어가는 전구는 그래도 큰편이네요. 크고 아름다우니 더 밝게 비춰줬던걸까요..? 역시나 예비용으로 빼놓습니다.



누런 전구불빛보단 확실히 밝지요?! 그걸 노렸습니다!


초등학생도 드라이버 하나만 주면 할 수 있는, 남녀노소 누구나 가능한 국민DIY!!!



LED 번호판등은 밤에 진가를 발휘한답니다! 이렇게 말이죠!!


P.S 비스토에 장착한 물건 산곳과 다른 샵에서 샀는데 푸르스름한 빛을 띄네요... 비스토에 달은건 사진상으로도 하얀빛이라 딱 좋았는데.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