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안드로이드마켓에는 필자가 제작한 잉여어플이 하나 있습니다.

뭐 돈벌려고 잉여짓을 하는것도 아니고, 그냥 내 어플이 있다는 욕구충족과 버스시간을 스마트폰에서 볼 수 있도록 나름의 봉사차원에서.. 20불정도를 지불하고 안드로이드 판매자 등록을 해서, 한 몇달쯤 전에 어플을 하나 올렸던것으로 기억납니다.

그래놓고 한 다섯번정도의 업그레이드를 통해서, 어플로서의 기틀을 잡아나가기 시작했죠..

그렇습니다. 이전에 어플 관련 글을 보셨던 분들은 아실테지만,

"합덕터미널 시간표 in 시외버스" 어플입니다. 

↑ 새로운 메인화면이 될 이미지. 티져.

그러한 잉여어플이, 완전한 탈바꿈을 시도하려 합니다.

금방이면 될 일인줄 알았더니만.. 다 뜯어고치려하니, 한참 걸릴 일이 되어버리는군요..;;;

무언가 정리도 안되어있고, 지저분한 이 어플을 매번 갈아엎어야겠다는 생각과 함께, 얼마전 살짝 해두었던 업그레이드 당시에 "풀체인지 모델 계획중" 이라는 말을 붙여두어서.. 빼도박도 못하고 거의 모든걸 갈아엎는 풀체인지를 하게 되어버렸네요;;;;

그나저나 큰 홍보가 있었던것도 아니고, 이 1만명 남짓한 인구를 가진 작은 촌에서 안드로이드폰 쓰는 사람이 몇명이나있다고.. 1700명 넘는 사람들이, 지금까지 이 어플을 받아주셨습니다.

누적수만 높지.. 실제 이 어플이 설치되어있는 기기는 8월 9일 기준으로 530여명 정도밖에 없더군요..;



어플 통계  


이 잉여어플을 받아가주셔서, 지금까지도 스마트폰에 어플로 모셔두고있는 분들의 통계입니다.


플랫폼 버젼

안드로이드 OS 버젼을 의미합니다. 어떤 버젼을 이용하는 이용자분들이 많이 이용중이신가 보니..

프로요→진저브레드(2.3.3)→이클레어→진저브레드(2.3) 순이였습니다.

휴대기기

삼성이 8개, 나머지는 LG랑 팬택이 나눠가지고...

예전에는 디자이어도 있고 이자르같은것도 좀 있었는데..;; 삼성폰들로 도배가 되어있네요..ㅎ

P.S 참고로 갤럭시K나 갤럭시U를 비롯한 다운스펙 기기들도 통계에는 보통 갤럭시S로 뜨는걸로 알고있습니다. 통신사가 다른 갤럭시S2도 두개가 보이고 있고요..;;

나머지는 베가X랑 옵두배.. 다른 기타기기에서 돌리는 경우가 50%가 넘어가니.. 큰 의미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ㅎㅎ
 

국가

더도 관심없고.. 그냥 "한국" 100% 뜰 줄 알았는데....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세명이.

미국에서 두명이.

이스라엘 브라질 일본에서 각각 한명이.. 


이 잉여어플을, 한국에서도 촌바닥에서밖에 이용가치가 없는 어플을.. 받아서 현재 설치가 되어있다고 합니다..;; 과연 외쿡인님들께서, 왜 이 어플을 왜 받아가셨는지는 저도 모릅니다..;;

언어

언어통계를 보니 더 복잡해지는군요.. 미국에서 스페인어로 이용중인 사람과, 이집트에서 아랍어로 사용중인 사람들까지 있다고 뜨게 되는군요..;; 정말 뭐가 뭔지 모르겠습니다;;; 왜 이 어플을 타국에서 쓸 수 있다고 판단한것인지는 모르겠고.. 한국어랑 거리가 멀어보이는 언어를 쓰는 마켓에서도 내려받아졌다는것도 이해가 안갑니다..;; (제가 전세계로 설정을 해놔서 그런거긴 하지만.)


어찌되었건, 잉여어플은 선전하고.. 저는 좋은 어플로 다시 보답을 해야겠습니다..!! 열심히 만들어서 빠른 기간 내에 업그레이드버젼으로 선보였으면 하는 바램도 살짝..^^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내가 무언가를 사면, 대부분 그것은 곧 유행에서 뒤쳐지는 구형이 된다.

내가 안목이 좋아서 끝물인 제품만 골라 산다는것도 있긴 하겠지만, 그런 생각이 없어도 불변의 진리처럼 통하게 되어버렸다. 참고로 그게 싫어서 작년에 좀 저렴하고 스펙도 뛰어난 LCD모니터대신 LED모니터를 샀던것이다. 내가 또 LCD를 사면 퇴물이 될게 뻔하니 말이다. CD-R을 달고보니, 바로 DVD-R이 대세가 되어버리고, 이러한 식으로 믿도 끝도없이 지내왔다. 아무래도 조만간 블루레이플레이어가 DVD롬을 완전히 대체할것 같지는 않아도.. 서서히 개인용 컴퓨터에 저렴한 가격으로 파고들것으로 예상된다. 왜냐? 필자가 DVD 콤보를 샀기 때문이다.

필자는, 아직도 시대에 뒤쳐지는 CD-R과 CD-RW로 살고있었다. 디스크를 읽는속도와 쓰기속도도 그럭저럭 참고 지낼만했긴 하지만, 그렇게 만족스럽지 않았고.. 얼마전 XP 블랙에디션의 소프트웨어적인 문제이긴 하지만, CD-RW가 공CD를 인식하지 못하는 바람에.. 홧김에 중고지만 새것같은 DVD콤보를 질러버렸다. 사실 보통 개인적으로 컴퓨터 이용하면서, USB나 외장하드도 많은 시대에.. CD쓸일도 적어졌으니.. 이런걸 새거 사는것이야말로 사치라 생각한다.

여기서 잠깐!! 컴퓨터에 진짜 문외한이 아니라면 대부분이 알고계시겠지만, DVD-RW와 DVD COMBO의 작은 차이점을 말해보고 가겠다. 

DVD-RW는 DVD와 CD를 모두 읽을 수는 있지만, CD밖에 구울 수 없는 기기이고.

DVD COMBO는 DVD와 CD 모두를 읽고 구울 수 있는 기기이다.



일단 삼성제품들이 많이 기술적으로도 따라왔다고 해도, 이러한 장치들은 LG가 우수하다는 개인적인 생각이다. 그렇게 새로 산 슈퍼멀티는.. 나름 옥이네에서, 최신형이라고 하는 옵션에다가 조선시대적 방식인 IDE 방식으로 골라온것이다. (사실 이전만해도 SATA 변환잭이 있었으나, 전에 쓰던 컴퓨터 고물로 팔아넘길때 넘겼다;; 그걸 열심히 후회하고 있는 한 사람이다;;)

그런데도 가격은 1만 3000원에, 택배비 포함해서 1만 5000원정도.. 어짜피 개인이 써봐야 롬의 활용도는 매우 낮은편이다보니.. 준 새제품이라 보면 되겠다.

 
 제조년월일 February 2009. 즉 2009년 2월에 제조된 상품이다.

이 판매자가 같이 팔던 상품중에.. 몇천원 싼 DVD-RW 이런것들은 대부분 2005~6년 제조라고 상품평에 써두었던데. 어짜피 보증기간은 훌쩍 넘겼더라도 차라리 몇천원 더내고서 조금 더 새제품인 09년 제품 가져오는것도 매우 현명한 일인것으로 판단된다.

모델명은 GH22NP20. 사실, 구매할 당시 선택옵션중에 최신형 LG DVD콤보(IDE방식)라고만 써있었지.. 모델명은 써있지 않아서.. 받아본 후에야 모델명을 알 수 있었다.


일단은 뭐... 그냥 새제품 가격 보고, 웃으면서 만족했다ㅎㅎ


현재 필자가 이용중인 학교에서 7년간을 굴리다가 버린 컴퓨터..

뭐 이전에 쓰던 컴퓨터에서 방대한 량의 장기이식을 해와서, 나름 슈퍼컴을 만들어서 쓰고있는데...

역시나 지금 달아놓은 CD-R(위. 파란색 삼성제품.)과 CD-RW(하얀색 LG)도 전부터 써오던 기기들이다.. 파란색 CD-R은 2003년에 제조된 제품으로.. 이전컴퓨터 처음 조립할때부터 계속 써오던 제품이고.. 아래의 하얀색 RW는 이후에 중고로 달게 된 것이다.(2002년 제조)

어찌되었건, 학교 창고에서 당시 이 컴퓨터를 주어왔을때.. 따로 버려져있던 DVD-R도 하나 주어왔었고, 기존에 달려있던 CD-RW가 있었으나.. 이 역시 성능이 시원치않아서 멀쩡한 장기를 이식했었다.

하지만, 이 장기도.. 이제 새로운 장기들과 맞바꿀 시간이 되겠다. 그리고.. 매번 고장나서 속썩이는 FDD도 마침 뗄겸 해서.. 겸사겸사 작업을 진행한다.



어끄제 친구의 새로운 조립컴퓨터 구입으로 가져오게된 친구의 똥컴...

이걸 어제 뜯어놓고, 그냥 속 내용물들만 보고 닫았었으니.. 오늘 마침 컴퓨터 뜯는김에.. 얘도 조금은 손을 봐줘야겠다는 생각을 해보았다.

이 컴퓨터의 ODD사양은 현재 주력으로 이용중인 이 똥컴의 CD-R보다는 조금 높은 DVD-R이였다.

마침 꺼낸길에.. 지금 쓰는 학교표 똥컴의 CPU의 한계상, 아무리 램을 많이 껴놓아도, 70%이상 먹는걸 보지 못했기에. 램에서 조금 빈약함 친구네표 똥컴에 이식시켜주기로 마음먹었다.

지금쓰는 학교에서 주어온 똥컴에 껴져있는 램.

[DDR1 (512MB*2)+(256MB*2)]=1.5GB-(내장그래픽용 이용 32MB)


친구네표 똥컴에 껴져있는 램.

[DDR1 512MB+256MB]=768MB. 수리맏겼더니 7300GT 떼먹고 껴주었다던 지포스 4세대 MX440이 탑재되어있어서, 따로 그래픽용으로는 안잡아먹음.


 어짜피 친구네표 똥컴은 슬림이라서..;; 확실히 슬롯의 개수도 적다.. 


결국은 학교에서 주어온 똥컴의 망할 CPU가 다 쓰지도 못할정도로 과도한 램을 하나 처리하고자, 학교똥컴의 512MB짜리 램 하나와(위), 친구네 똥컴의 256MB짜리 램 하나를 서로 바꾸어 끼기로 한다.

당장에 DDR3이 주축을 이루면서 기본 GB로 시작하는 지금시대에.. DDR1로.. 그것도 가카를 MB라는 단위를 못벗어나고 이러고 있으니.. 참 나도 불쌍해보인다.


그렇게 램을 끼고, DVD-R을 빼보았다.  엘지셋에 삼성 하나...

확실히 요즘 나오는 제품들이.. 슬림케이스의 영향인지 기능은 대폭 향상되었고, 그에 따른 표준형 크기도 많이 작아졌다...

지금 메인이 되는, 학교똥컴에 DVD-R과 DVD콤보를 달고, 친구네에서 가져온 똥컴에 CD-RW를 달아보기로 했다.

뭐.. 일단, 또 두개를 합쳐 새로운 슈퍼컴을 탄생시키는데에는 무언가 남는 잉여부품들이 굉장히 많이 생길것이고.. 두개다 지금사양에서 아무리 진보한다고 해도 한계가 보이기 시작하니 각각 개별의 컴퓨터로 이용하는게 가장 현명할것 같다는 생각이다.


그렇게.. CD-RW를 끼는데..(위 사진에서 하얀색 제품.)

이거 무슨 맞지를 않는다.. 옛 조선시대적 규격으로서의 한계이자, 얇고 아담한 슬림케이의 한계가 보이기 시작하는것이다. 아무리 그래도 삼성제 CD-R보다는 길이가 약간 짧은편이였건만.. 결국 그렇게 포기를 하게 되었고, 친구네 똥컴에는 아예 ODD가 없다.

다시 한번 전원을 연결해서 BIOS 설정을 다시 맞추어주고.. 정상 작동된다.

그러한 방식으로 한대는 정상적인 작동이 완료되게끔 설정이 되어있고...

  
학교에서 주어온 똥컴의 경우에도, 모든 셋팅이 완료되었다. 검은색과 하얀색.. 그리고 약간 짙은 할아버지 회색 플라스틱 케이스의 절대 맞지 않을것 같은 극과 극인 조화와 껍떼기는 삼별.. DVD롬은 모두 헬쥐.. 속은 삼성이라기보다는 이리저리 섞인 조립식..

매우 이 티스도리닷컴처럼 이름부터 잡티가 나는, 주체성이 없는 컴퓨터임에 틀림없다.!!!

역시나 FDD를 탈거하고, BIOS 셋팅을 하기 귀찮아서(뭐 다 한글이지만. 그냥.) 전에 쓰다가 떼어놓은 도시바제 FDD를 대신 껴보기로 했지만, 아무리 찾아도 이게 보이지를 않았다. 결국은 탈거후.. 모든 과정을 마쳤음에도, 지난번 컴퓨터 날려먹을때도 하드문제때문에 열심히 봤었던

reboot and select proper boot device or insert boot media in selected boot device and press a key 


이 위대한 문장 이후로 더이상 진전이 없었다.(아무런 이상도 없는데.) 그래놓고 몇번을 재부팅한 결과.. 제대로 부팅이 되기 시작하고.. 역시나 이 똥컴 역시도 지금까지 정상적으로 잘 작동중이다..

(아.. 다음번에는 부품사다 조립을 하던지 해야지..;;)
 
"이 글을 잘 보셨다면 손가락버튼을 눌러주세요. 로그인 없이도 가능합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