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부에서 이어집니다.



2부 마지막에 있었던 사진.


이 트럭이 세워진 언덕배기 뒷편으로 작은 후문이 하나 더 있었습니다. 



서남대 봉황관 옆으로 난 후문.


그렇습니다. 이 뒤로 넘어가도 작은 상가와 원룸들이 나옵니다. 쭉 넘어가면 산성역까지도 갈 수 있네요. 일단 캠퍼스부터 돌아본 뒤 나가보기로 합니다.



서남대학교 봉황관.


그렇습니다. 폐교 전에도 이미 폐쇄되어있던 건물. 부실공사로 인해 건물이 약 15도 기울어 옛 건설교통부에서 사용중지명령을 내렸다는 그 건물입니다. 애초에 도서관을 목적으로 지어진 건물인지라 아직 건물 안에는 책꽂이와 일부 서적들이 남아있는 모습을 볼 수 있었습니다.


여튼 봉황관 건물은 폐교 전에도 보수 없이 10년 넘게 방치했던 건물이며, 전면부에만 이홍하 양식의 대리석 마감이 되어있을 뿐 측후면은 마감 없이 빨간 적벽돌이 드러나 보이는 형태였습니다.



다른 건물들에 대비하면 비교적 화단의 상태는 온전하네요.



이미 오래 전 붙어 바랠대로 바랜 출입금지 스티커.


불과 작년만 하더라도 이 건물에 대체 언제쯤 출입을 할 수 있을까 고대하던 학생과 교직원들이 있었겠다만, 지금은 이 건물을 생각하는 사람도 출입을 원하는 사람 역시 단 한명도 남지 않았습니다.  



비교적 온전한 상태로 버려져있는 125cc 스쿠터.


버리고 간 스쿠터치고는 상태가 상대적으로 온전합니다. 헬멧도 하나 같이 버려져 있네요.



스쿠터를 뒤로하고 등용관 방면으로 지나갑니다.


열린 창문 뒷편으로 빈 박스가 하나 보이네요. 정리를 하다가 버리고 간 박스로 보입니다.



지상 5층 규모의 등용관.


등용관은 백학관 그리고 청학관과 더불어 생활관(기숙사)로 이용되던 건물입니다.



기숙사 충원률은 그리 높지 않았다고 합니다.


학교 규모에 비한다면 상당히 많은 인원을 수용 할 수 있는 기숙사가 있었지만, 열약한 시설 대비 기숙사비가 너무 비쌌던지라 주변의 원룸으로 학생들이 몰리지 않았었나 생각됩니다. 기숙사 건물들에는 공통적으로 농협에 붙는 띠와 비슷한 스티커가 출입문에 붙어있었습니다.



등용관 앞에서 바라본 의과대학 건물. 우측은 짓다 말은지 20년이 넘은것으로 유명한 학생회관 건물.



아무도 주차 할 일이 없는 장애인 전용 주차구역.



'ㄱ'자 형태의 여학생 기숙사인 백학관 건물로 이동합니다.


다른 기숙사 건물들과는 달리 자동문과 함께 세스코멤버스 그리고 세콤 스티커가 붙은걸로 보아 철저한 위생관리와 방범관리가 이루어지고 있었으리라 짐작이 됩니다. 자동문이 살짝 열려있어 다가가 봅니다.



자동문 틈 사이로 들어온 낙엽들. 그리고 널부러진 쇼파.


아마 폐교 전까지 비교적 잘 관리가 되었던 건물 중 하나라 여겨지는 공간입니다만, 폐교 이후에는 관리가 되지 않는 폐건물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닙니다. 붙어있던 안내문은 출입 관련 안내문으로, 폐교 이전에 붙어있던 게시물입니다. 고로 폐교와는 관련이 없었습니다.



기숙사생들을 위해 만들어놓은 체육시설 역시 자연이 집어삼킨 모습입니다.


다만 학교가 시내와 가깝더라면 근처 주민들이라도 산책삼아 나와 이용하곤 할텐데, 남원 시내에서도 거리가 꽤 먼 자리인지라 우거진 잡초 사이로 그 존재만을 알리는게 전부입니다.



같은 기숙사 건물인 청학관의 보조출입구입니다.


여학생 기숙사와는 대비되는 모습을 보여주네요. 세콤도 없고, 자동문도 아닙니다. 예전부터 올라오던 서남대학교 탐방기에서 화장실에는 양변기가 아닌 화변기가 구비되어 있으며 매트가 널부러져있고, 정수기가 망가져있던 처참하고 열약한 환경의 기숙사가 바로 이 청학관입니다.



버려진 우산과 청소도구들. 굳게 묶인 쇠사슬.


4인실이 2인실 수준으로 비좁던 생활관. 비록 들어가서 볼 순 없었지만, 딱 봐도 다른 기숙사 건물에 비해 어수선하고 지저분한 느낌을 줍니다. 사실상 직접 들어가서 볼 수 없었던 상황인지라 내용이 상당히 빈약하네요. 4부에서 계속 이어집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29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