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올드카 목격담'에 해당되는 글 207건

반응형

오늘의 올드카 목격담은 분당에서 발견한 매우 준수한 상태의 크레도스입니다.

 

이전에 올드카 목격담에서 상태가 좋지 못했던 차량을 다뤘었지요. 마쯔다 크로노스 플랫폼을 활용하여 개발했고 자체개발한 1.8리터 T8D 엔진이 적용되었던 기아자동차의 세번재 고유모델입니다. 크레도스에 대한 TMI는 지난 2019년 포스팅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2019/05/21 - [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올드카 목격담] - 1997 기아자동차 크레도스 1.8 (KIA CREDOS 1.8)

 

1997 기아자동차 크레도스 1.8 (KIA CREDOS 1.8)

오늘의 '올드카 목격담' 주인공은 20세기의 대미를 장식했던 기아의 중형세단 크레도스입니다. '크레도스'는 일본 마쓰다社의 크로노스를 기반으로 개발되어 1995년부터 1998년까지. 부분변경 모

www.tisdory.com

90년대 중반 출시된 차량 치곤 지금 보더라도 크게 노티가 나지 않는 수려한 디자인입니다. IMF를 직격타로 맞았던 시기 기아자동차를 대표하던 중형차였고, 이후 2000년 EF쏘나타의 부분변경급 모델인 옵티마에 자리를 내주기까지 대략 5년동안 판매되었지요.

 

여튼 분당 정자동의 한 상가 주차장 입구에서 매우 준수한 상태의 크레도스를 발견했습니다.

 

1995 KIA CREDOS 1.8 M/T

'경기 2 포' 지역번호판이 부착된 군청색 크레도스. 노부부가 타고 계시더군요.

상가 지하주차장에 진입하기 위해 차량용 승강기를 기다리고 계셨습니다.

 

멀리서 봐도 그 광이 그대로 느껴지는 수준입니다. 정말 경이롭습니다. 시간을 20여년 전으로 돌린게 아닌가 싶었습니다. 아마 지난 2019년 목격 이후 약 2년만에 처음으로 보는 크레도스기도 하고 더군다나 출고 당시의 지역번호판과 따로 재도장을 거치지 않으면서 이런 우수한 상태로 돌아다니고 있었기에 그저 감탄사만 연발했습니다.

 

굳이 흠을 잡자면 아파트 지하주차장에 기거하며 생긴 문콕정도? 부식도 없고 칠이 벗겨지거나 긁힌 곳도 없었습니다. 25년이 넘은 순정 출고도장에서 광이 나고 순정 알루미늄 휠 조차도 분진과 부식 없이 마치 신품과 같은 상태를 자랑하고 있으니 말이죠.

 

1995 KIA CREDOS 1.8 M/T

뒷 타이어의 한국타이어 로고를 보아하니 타이어만 해도 20년 가까이 된 것 같습니다.

정말 오랜만에 보는지라 기아자동차의 고유모델이지만 수입차 비슷한 분위기도 느껴지네요.

 

마치 타임머신을 타고 2021년에 온게 아닌지 싶을 정도로 정말 모든 감탄사를 다 쏟아냈습니다. 그리고 한참동안을 넉이 나간 채 구경했습니다. 곧 크레도스는 차량용 승강기에 탑승하여 지하주차장으로 내려갔고, 저도 마침 이 건물에 있는 차를 타러 가야 했기에 건물 지하주차장으로 이동했습니다. 마침 크레도스가 그 지하주차장으로 내려오더군요.

 

1995 KIA CREDOS 1.8 M/T

차량을 주차하고 올라가시려는 어르신께 말을 붙여봅니다.

95년 10월 등록. 1.8리터 T8D 엔진과 수동변속기가 적용된 모델입니다.

 

차가 너무 깔끔해서 구경 좀 해도 되냐 하니 바빠서 시간을 내긴 어렵다 하시네요. 그러면서도 차를 출고하고 거의 타지 않았다는 이야기를 하십니다. 대략 25년동안 지하주차장에 박혀있었고 어쩌다 이렇게 한 번 타고 나온다고 하시네요. 주행거리도 얼마 전 10만km를 넘겼다고 하십니다.

 

많이 움직이는 차량은 아니지만, 하이패스 단말기와 블랙박스까지 부착된 상태를 보아하니 차량에 큰 애착을 가지고 계신듯 보였습니다. 애착을 가지지 않곤 20년 넘게 같은 차를 타지는 않으시겠죠.

 

아무래도 부촌으로 익히 알고있는 분당이고 최근 부동산 가격 상승으로 재미도 보셨겠지만, 경제적 여력에 비한다면 매우 검소하신게 아닌가 싶습니다. 실제로 이명박 정부부터 박근혜정부 초기까지 국방부 장관을 역임하다가 국가안보실장으로 옮겨갔던 김관진 전 장관이 2010년 장관 후보자 당시 95년식 크레도스를 타고 다닌다는 사실이 밝혀져 화제가 되었던 일도 있었습니다.

 

박근혜정부 시절 여론조작 사건으로 재판을 받는 김관진 전 국가안보실장은 2013년 크레도스를 폐차한 뒤 그랜져 HG를 신차로 출고했다고 합니다. 다만 10년 전에도 고위공직자가 크레도스를 탄다는 사실이 기삿거리가 되곤 했는데, 지금까지 크레도스를 타고 다닌다면 해외토픽감이 아닐까 싶습니다.

 

앞 타이어는 그래도 새거네.

여러모로 외판만 쭉 둘러보고 바쁘신 시간을 할애해주신 어르신께 감사 인사를 드렸습니다.

 

신품과도 같은 수준의 휠. 성한 부분을 찾기 힘든 수준의 최상급 관리상태. 세월이 흘렀음에도 세월을 무색하게 만들어 준 크레도스였습니다. 정말 판매하실 의향만 있으셨다면 당장 그 자리에서 비용을 지불하고 타고 오고 싶은 충동을 느끼게 해 주는 차량이였습니다.

 

아마 어르신께서 운전을 그만 두시는 날까지 크레도스를 타고 다니시지 않으실까 생각됩니다. 언제 운전대를 놓으실지 모르겠지만, 어르신이 운전대를 내려놓으시는 그날까지 크레도스가 무탈히 어르신의 발이 되었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최근 4등급 차량까지 서울 4대문 진입을 제한하려 한다는 기사를 봤습니다. 실제 서울 4대문의 출입이 제한되면 곧 서울시 전역에 이어 수도권과 전국으로 이에 준하는 조치가 퍼져나갈테고, 삼원촉매가 부착된 20세기 휘발유 차량 역시 4등급에 해당하기에 지금 5등급 노후경유차가 당하는 것과 같이 미세먼지의 주범으로 적폐몰이를 당하며 운행에 제한이 따르게 됩니다.

 

물론 차기 서울시장의 성향과 내년도 정권 교체여부에 따라 이런 준수한 상태의 90년대 가솔린 차량까지도 적폐 취급을 당하게 된다면 규제를 이기지 못하고 순식간에 사라지겠죠. 부디 안타까운 일이 벌어지지 않았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오늘의 올드카 목격담은 지난 2월 초 서산의 한 주차장에서 목격한 쏘나타2입니다.

 

사진을 촬영하고 바로 투싼이 출고되어 요 며칠 새 차 얘기만 하다 보니 이제 포스팅을 하고 있습니다. 90년대 중후반. 그리고 2000년대 후반까지도 흔히 보이던 차량이지만, 지금은 어쩌다 하나 둘 보이는 수준이네요.

 

스텔라 시절 고급 옵션을 추가하여 탄생했던 쏘나타를 시초로 보면 3세대가 맞지만 출시 당시만 하더라도 스텔라의 파생형 모델이 아닌 Y2를 1세대 모델로 명명했던지라 소나타 2라는 이름이 붙었습니다. 이미 여러 번 올드카 목격담에서 다뤘던 차량이기도 하지요.

 

2018/06/25 - [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올드카 목격담] - [목격]1995 현대자동차 쏘나타2 2.0 (1995 HYUNDAI SONATA II 2.0)

 

[목격]1995 현대자동차 쏘나타2 2.0 (1995 HYUNDAI SONATA II 2.0)

똥차 아니 올드카를 보는게 그리 쉬운 일은 아니지만, 시골보단 도시지역에서 올드카를 훨씬 더 높은 비율로 보곤 한다. 일요일날 서울 강변북로를 달리다가 본 쏘나타2도 마찬가지. 1993년 5월에

www.tisdory.com

2020/10/21 - [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올드카 목격담] - [목격] 1996 현대 쏘나타2 2.0 GLS (1996 HYUNDAI SONATA II 2.0)

 

[목격] 1996 현대 쏘나타2 2.0 GLS (1996 HYUNDAI SONATA II 2.0)

오늘의 올드카 목격담은 지난 주말 경부고속도로 상행선 신갈-판교 구간에서 목격했던 쏘나타2입니다. 당시 스텔라의 고급형 모델로 파생되었던 차량을 쏘나타 계보에 넣지 않고 Y2를 1세대라

www.tisdory.com

지난해 10월 목격했던 차량은 부분변경 이전 끝물 모델이고 이번에 목격한 차량은 95년 1월에 등록된 차량입니다. 상태도 그럭저럭이고 여러모로 그게 그거 같긴 합니다만, 쏘나타2 치곤 흔히 볼 수 없는 쥐색인지라 사진으로 남겼네요.

 

1995 HYUNDAI SONATA II 2.0 GLS

흔치 않던 쥐색 쏘나타2가 작은 공영주차장에 세워진 상태였습니다.

 

이미 칠은 여기저기 바랬고, 깨진 범퍼는 테이프로 붙인 뒤 덧칠의 흔적까지도 보입니다. 25년의 세월이 고스란히 묻어 나오는 외관을 가지고 있더군요. 특유의 태양모양 14인치 알루미늄 휠이 적용된 모습으로 보아 2.0으로 보입니다. 거기에 GLS 레터링이 붙은 모습으로 보아 2.0 SOHC 모델이네요.

 

당시 쏘나타2의 엔진 라인업은 매우 복잡했습니다. 같은 배기량 안에서도 SOHC 엔진과 DOHC 엔진이 섞여있었는데, 1.8 GL은 DOHC팩을 선택해야 DOHC 엔진과 고급 오디오를 비롯한 편의사양이 추가되는 형태였고 2.0리터급 모델은 GLS와 GOLD로 세분화하여 GOLD 트림을 선택해야만 DOHC 엔진이 적용되었습니다.

 

덧칠의 흔적과 갈라진 도장 표면

덧칠의 흔적이 보입니다.

 

레터링의 반짝거리는 크롬 위로 덧칠이 올라갔고, 그 덧칠마저도 도장이 갈라진 모습입니다. 그래도 마스킹에 신경을 썼는지 덧칠 치고는 꽤 공들인 모습으로 보이네요. 쏘나타2는 진녹색과 은색 차량이 많이 보였고 쥐색 차량을 본 기억은 학생 때 몇 번 말곤 남아있지 않네요. 쥐색 차량이 흔히 보이던 Y2와는 달리 쏘나타2의 쥐색은 상대적으로 많이 보지 못한 느낌입니다.

 

깨지는 재질의 범퍼

지금과는 달리 옛 차량들의 범퍼는 충격을 받으면 이렇게 깨졌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요즘 차량은 ABS 소재를 활용하여 범퍼를 제작하기에 충격을 받으면 깨지는 대신 찢어지거나 푹 들어가곤 합니다만 당시 쏘나타2의 범퍼는 지금과는 다른 재질로 제작되어 이렇게 흉하게 깨지곤 했습니다. 차량이 노후화된 뒤 수리비가 아까워 이렇게 깨진 범퍼에 테이프를 붙이고 다니는 모습을 봤던 기억도 남아있습니다.

 

심각한 상태의 천장

매우 심각한 천장의 도장상태입니다.

 

천장과 함께 오랜 세월 실외에서 노출되었던 크롬 몰딩의 상태나 썬팅 없이도 별다른 변색 없이 준수한 상태의 내장재와는 달리 도장만 왜 이렇게 파괴된 건지 정말 신기하게 느껴지네요.

 

당대 먹어주던 유선형 디자인.

각진 차량들 사이 혜성처럼 등장한 유선형 디자인의 쏘나타 2

 

요즘 자동차와 비교하면 그렇게 둥글둥글한 디자인도 아니지만, 당시에는 곡선을 대거 차용하여 먹어주던 디자인이었습니다. 지금 보면 볼품없지만 당시 중장년층의 인기와 더불어 있는 집 대학생 자제분들의 통학용 자동차로도 사랑을 받았었지요. 고로 오렌지족과 야타족들이 선호하던 차량이기도 했습니다.

 

뭐 요즘 있는 집 대학생 자제분들은 수입차를 타고 다니시겠지만, 당시만 하더라도 수입차가 지금보다도 더 비쌌고 대중화되기 전인지라 최신형 국산 중형차만 타고 다녀도 충분히 먹어줬겠죠.

 

14인치 알루미늄 휠

정말 흔하게 보였던 14인치 알루미늄 휠의 모습입니다.

 

디자인만 놓고 본다면 지금 봐도 그렇게 질리는 스타일은 아닙니다. 1.8 GL에 적용되던 플라스틱 휠 커버보다는 이 알루미늄 휠 디자인이 훨씬 더 깔끔했었으니 말이죠. 디스크는 꽤나 많이 썩어있었고, 휠캡만 따로 교체했었는지 혼자만 제치 색상으로 살아있는 느낌이네요.

 

1995 HYUNDAI SONATA II 2.0 GLS SOHC M/T

2.0 GLS 무옵션 기본형이네요.

 

지난해 10월 목격했던 차량은 라이프팩이 적용되어 에어백 핸들과 ABS가 추가된 상태였지만, 이 차량은 완전 기본형 수동변속기 모델이네요. GLS 이상급 차량에만 적용되던 4 스포크 핸들의 모습도 보이고요. 이래저래 기본형이지만 전자식 7 밴드 이퀄라이저가 포함된 고급 오디오까지 기본 적용되었습니다.

 

여기서 골드로 넘어가야 가죽 핸들 및 스위치, 안개등, 가죽시트, 우드그레인이 적용되곤 했습니다.

 

여러모로 보이는 차량 상태가 그리 좋은 편은 아닌지라 수년 내 폐차장에 보내지지 않을까 싶습니다만, 지난 25년 세월을 버텨왔던 것처럼 남은 여생도 지금의 차주와 함께 평화롭게 보낼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