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올드카 목격담'에 해당되는 글 207건

반응형


오늘의 올드카 목격담은 마티즈 엔진오일 교체 포스팅에서 먼저 언급했던 각그랜저입니다.


1세대 그랜저. 각진 외관으로 인해 흔히 각(角)그랜저라 부르던 이 자동차는 고도성장기 부유함의 상징으로 여겨지던 차량입니다. 1986년 출시 이후 92년까지 판매되었고, 그 계보는 지금껏 6세대 그랜저로 이어지고 있는데 지금의 그랜저는 어느정도 여유가 있는 중산층을 타겟으로 잡아 판매하고 있지만 자가용을 가지고 있는 그 자체만으로도 중산층 취급을 받던 시절에는 그저 부자들만이 탈 수 있는 차량이였습니다.


여튼 그랜저는 현대자동차와 미쓰비시의 공동개발로 탄생했습니다. 다른 차량의 경우 현대가 협력관계에 있었던 미쓰비시에서 차량을 받아와 라이센스 생산했던 형태였는데, 그랜저는 조금 달랐습니다. 미쓰비시 역시 1세대 데보네어(デボネア)를 22년째 우려먹고 있었고, 현대는 그라다나가 대우 로얄 시리즈에 밀려 고전하고 있었습니다. 비슷한 처지에 놓였던 두 회사가 비용부담을 줄이며 플래그쉽 대형차를 개발하기 위해 합작하였고, 그렇게 미쓰비시의 데보네어 V, 현대의 그랜저가 탄생했습니다.


공동개발이라고 하지만, 기술을 전수받던 현대의 입김보다는 미쓰비시의 입김이 강하게 들어갔습니다. 이후에도 두 회사는 대형차의 공동개발을 진행했지만 두번이나 시장에서 쓴 맛을 봤던 미쓰비시와 달리 성공을 거뒀던 현대의 입김이 강해져 세번째 공동개발 대형차인 현대 에쿠스 / 미쓰비시 프라우디아의 경우 현대차의 주도하에 개발되었습니다.



서산의 한 정비소 사장님께서 타고 다니시는 88년형 갈대색 각그랜저입니다.

차량은 2.0이지만 2.4 그릴이라고 하네요.


마티즈를 리프트에 올리고 각그랜저에 관심을 가지니 2.0 수동모델이라고 말씀해주시더군요. 차주 아저씨는 87년형이라고 말씀하셨습니다만, 찾아보니 88년 말에 등록된 차량이네요. 검정색 아니면 흰색이 주로 판매되었던 각그랜저라 흔히 볼 수 없는 색상입니다만, 대략 2년 전까지 당진에서 잘 아는 동네 후배의 아버지께서 같은 색상의 87년형 3.0 수동모델을 복원하여 타고 다니셨던지라 익숙하고 친숙한 느낌입니다.



사실상 90년대에도 구하기 어려워 귀해진 '일자데루등'이라고 부르는 초기형 후미등입니다.

그리고 서산시에서 발급된 충남35로 시작하는 두자리수 지역번호판이 부착되어 있네요.


데보네어는 2세대 단종 직전까지 이러한 형태의 후미등이 적용되었고, 후진등 사이 검은 공간에 차량명인 'DEBONAIR V'가 각인되어 있었습니다. 물론 그랜저의 경우 그냥 허전한 공간으로 남아있지요. 일자데루등이라 말하는 이러한 형태의 후미등도 정확히 따지자면 두 종류로 나뉩니다. 방향지시등과 이어지는 라인의 반사판이 주황색으로 이루어진 초기형 일자데루등은 87년형까지 적용되었고, 이 차량과 같은 88년형과 89년형 후미등의 경우 위 아래 모두 다 빨간 반사판입니다.


90년형부터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후기형 후미등이 적용되었지만, 90년대 초반만 하더라도 이 부품의 공급이 중단되어 후방추돌을 당한 경우 강제로 신형개조를 할 수 밖에 없었다고 합니다. 물론 일본에서 데보네어용 후미등을 직접 수입해오는 경우도 있었다고 하네요.


초기형 후미등의 모습이 궁굼하다면 아래 링크의 네이버 블로그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https://blog.naver.com/iwon6495/221002887751



후드탑 엠블렘은 다이너스티용 금장 엠블렘이 달려있었습니다.


초기형에는 이와 비슷하게 생긴 십자모양의 후드탑 엠블렘이 적용되었고, 타원형 현대자동차 로고의 등장 이후 후드탑 엠블렘도 현대 로고로 변경되었습니다. 데보네어 역시 초기형은 V자 모양의 엠블렘이, 후기형은 미쓰비시 엠블렘이 적용되었던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유럽차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헤드램프 워셔의 모습도 보입니다.


어릴적엔 이걸 보고 왜 이런 고무쪼가리를 범퍼에 붙여놓았나 딱히 이해가 가지 않았습니다만, 이 부품의 용도를 알게 된 이후 수긍하였던 일이 있었는데 헤드램프 워셔가 아마 최초로 적용된 국산 승용차가 아닐까 싶습니다. 국내에서도 지난 2017년 법이 개정되어 헤드램프의 광량이 2000루멘 이상인 경우 헤드램프 워셔를 의무적으로 장착해야 합니다.



당시 초 호화 옵션이던 핸들리모콘. 그리고 초기형의 상징이자 쉽게 구할 수 없는 빨간 시트와 내장재.


주행거리는 대략 21만km. 수동변속기 레버는 닳고 달아 그동안의 세월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32년이라는 긴 세월동안 꽤나 준수하게 관리되었음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부품수급이 원활한 현대차인지라 근래에도 앞 뒤 쇼바를 주문하여 교체하였다고 하시네요. 물론 세월이 흘러 쉽게 구할 수 없는 부품들도 당연히 존재하지만, 현대자동차의 부품 공급 능력은 타 메이커 대비 넘사벽 수준입니다.



옛 동양화재의 긴급출동 서비스 스티커입니다.

지금은 1588류의 대표번호를 사용합니다만, 당시만 하더라도 서울국번의 전화번호를 사용했었네요.


동양화재는 한진그룹 창업주의 막내아들인 조정호 회장이 상속받은 메리츠금융지주에 인수되어 2005년 메리츠화재로 상호를 변경하였고, 지난 2013년 동양사태를 일으키며 공중분해된 대기업집단이자 동양생명이라는 생명보험사를 계열로 두고 있던 동양그룹과는 전혀 관련이 없습니다.


여튼 동양화재라는 상호와 브랜드인 알라딘이 사라진지도 15년. 손해보험사의 긴급출동 서비스가 대략 90년대 중반 탄생했고, 2000년 작성된 긴급출동서비스 연락처 목록을 보더라도 1588류의 대표번호로 기재되어 있기에 아마 90년대 중후반 부착한 스티커가 아닐까 싶습니다.



틴팅이 되어있지만, 무연 스티커는 그대로 살아있네요.


뭐 국내 올드카 오너들도 이러한 무연 스티커를 비슷하게 만들어 배포하고 붙이곤 합니다만, 제치입니다. 일본에서도 같은 형태의 무연 휘발유 안내 스티커가 붙었다고 하네요. 유연 휘발유를 시장에서 퇴출하는 과도기에 생산되었던 무연 휘발유 사양으로 만들어진 차량에 이러한 스티커가 부착되었습니다.



세월의 흔적은 어쩔 수 없는 느낌입니다. C필러 쪽유리 고무몰딩이 들고 일어났네요.


이런 부품까지 원활한 수급이 이루어지는지는 모르겠습니다. 충분히 마음만 먹으면 구하고, 대체 할 수 있는 무언가가 있겠죠. 노상 그늘막 아래에 세워져 있어 도장 상태는 양호했습니다만, 간간히 긁히거나 부품의 노후화로 발생된 문제들이 보여 아쉬웠습니다.



차주분의 애착이 강한만큼 앞으로 오랜 세월 같은 자리를 지키고 있으리라 생각됩니다.


작고 오래된 정비소의 마스코트와 같은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누군가가 와서 이 차를 500만원에 팔으라고 했지만 팔지 않았다고 자랑스럽게 말씀하셨습니다. 외관상 별 문제가 없어보이는 차량들도 그정도 가격에 거래가 됩니다만 함께 했던 세월과 애착이 있었기에 판매하지 않으셨겠죠.


차생을 다 하는 그날까지 정비소 사장님의 소중한 발이 되어주길 기원합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오늘의 목격담은 옛 아시아자동차의 중형버스 코스모스입니다.


코스모스(Cosmos)라고 하면 보통 가을에 피는 꽃을 연상합니다만, 그 코스모스가 아니라 우주를 의미하는 그리스어 κόσμος에서 따왔다고 합니다. 아 물론 지금 현대자동차에서 판매하는 대형버스의 이름 역시 우주를 의미하는 명사인 유니버스(UNIVERSE)입니다.


여튼 아시아자동차의 코스모스는 히노(HINO)의 레인보우 P-RJ170BA 모델을 기반으로 생산했던 차량입니다만, 당시 일본에서 출시된 후속모델인 P-RJ171CA와 비슷한 디자인으로 생산 판매하였습니다. 물론 1989년 아시아자동차에서 AM818이라는 코드네임으로 출시되어 99년 외관에 큰 변화를 거친 뒤 기아자동차로 흡수합병된 2002년까지 판매되었습니다. 


물론 자세히 설명하자면 95년형부터 대쉬보드가 그랜버드와 동일하게 변경되며 '뉴 코스모스'라는 이름으로 판매되기 시작했고, 98년에 같은 히노제 엔진을 사용하던 라이노와 함께 엔진 배기량이 늘어났습니다. 그렇게 2000년대까지도 눈에 보이는 자잘한 변화를 거치며 판매되었습니다.


이번에 목격한 차량은 초기형과 동일한 외관을 가지고 있는 98년 7월 등록 뉴 코스모스였습니다.



내포신도시의 한 공원을 지나던 중 전기형 외관으로 보이는 코스모스가 있어 바로 차를 돌렸습니다.


차를 세우고 가까이 다가가 전기형 외관을 그대로 가진 코스모스를 확인합니다. 일단 94년까지 생산된 구형은 아닌 느낌이고 루프탑 에어컨과 기아자동차 엠블렘이 붙어있는걸로 보아 99년 이전까지 생산되었던 차량이라는 사실을 알 수 있었습니다.


이후 확인해보니 98년 7월에 최초로 등록된 차량이더군요. 



여러모로 일본 시내버스 같은 느낌입니다.


애초에 일본 버스 기반이고, 당대 최신의 일본 버스 디자인을 참고했으니 그렇게 느껴질만 하겠죠. 이 시절만 하더라도 아시아자동차는 존재했지만, 기아자동차와 로고를 통일하여 아시아 대신 타원형 기아 엠블렘이 붙어있었습니다. 엠블렘만 보고 기아시절 생산한 차량으로 오해하기 쉽지만, 시기상 자회사인 아시아자동차에서 생산한 차량입니다.


법무부 호송차나 일부 경찰 수송버스에서 볼 수 있는 경광등도 달려있네요.



수사차량이라 적힌 패찰이 그대로 남아있습니다. 즉 경찰에서 지휘차량으로 사용하던 버스입니다.


보통 불용으로 민간에 매각하는 과정에서 경찰의 흔적을 모두 지우거나 제거하고 불하받아 가는데 이런게 남아있다니 신기하게 느껴집니다. 경찰에서는 대략 10년 혹은 10년보다 조금 더 차량을 사용한 뒤 매각하는데 98년식이니 아마 2000년대 후반이나 2010년대 초반 민간에 매각되지 않았나 싶습니다.



대시보드와 핸들은 대형버스인 그랜버드와 거의 동일합니다.


95년 부분변경 당시 막 출시되었던 그랜버드와 비슷한 디자인의 대시보드와 계기판이 적용되었고 핸들 역시 변경되었습니다. 핸들에도 기아 로고가 박혀있네요. 차량 내부는 현재 캠핑카로 사용중이였습니다. 뭐 경찰 지휘차량 역시 회의를 해야 하니 일반적인 승객수송용 버스와는 다른 구조였던지라 개조가 좀 더 용이했으리라 생각됩니다.



유리창에는 옛 아시아자동차 로고가 그대로 남아있네요.


물론 97년까지 사용되었고 이후 기아자동차와 같은 로고를 사용하게 되었습니다만, 찍어내는 부품들은 그대로기에 이렇게 옛 아시아자동차 로고까지 혼재되어 있습니다.



시트지가 붙어있지 않은 유리창 안을 보니 시트와 여러 생활용품의 모습이 보이는군요.


여러모로 이동식 사무실 혹은 캠핑카의 모습을 하고 있습니다.



99년 중기형 이전 모델인지라 89년부터 쭉 이어져 내려 오던 직사각형 형태의 후미등의 모습이 보입니다.


마치 초콜렛을 보는 느낌입니다. 최상단에는 방향지시등이, 가운데에는 제동등이, 그리고 밑으로는 반사판과 함께 후진등이 자리를 잡고 있습니다. 상당히 단순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모두 통으로 붙어있는게 아닌 방향지시등은 방향지시등대로 제동등은 제동등대로 분리되어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더랍니다.



정말 오랜만에 보는 느낌입니다.


부분변경을 거친지도 20년이 넘었습니다. 당연히 교체주기가 빠른 버스의 특성상 2010년대 초반부터 자취를 감추기 시작했지요. 물론 대다수는 수출길에 올라 타국에서 제2의 차생을 살고 있을겁니다만, 국내에서는 어느 순간부터 직사각형 형태의 코스모스 후미등을 보기가 힘들어졌습니다.



색이 거의 다 날라가 사진의 명도를 낮췄습니다만, 매연저감장치 부착을 알리는 스티커입니다.


'맑은서울' '매연저감장치 장착차량'등의 문구가 적혀있습니다. 대략 이 스티커는 2006년부터 부착되기 시작했고, 2007년 이후 저감장치 제조사의 상호가 적힌 스티커가 부착되며 어느순간 사라졌습니다. 여러모로 적폐로 몰린 5등급 노후경유차지만, 오래 전 저감장치를 부착하여 마음껏 타고 다닐 수 있습니다.



NEW COSMOS


95년 이후 뉴 코스모스라는 이름으로 판매되기 시작하며 레터링 대신 이런 스티커가 부착되기 시작했습니다. 물론 이보다 전 모델의 경우 레터링과 코드명인 AM818이 붙었지만 말이죠. 여튼 스티커는 갈라지거나 소실된 부분 없이 차체에 잘 붙어있었습니다.



격동의 22년을 보내왔을 코스모스. 저감장치가 장착되어 생사 걱정은 하지 않아도 될 것 같습니다.


경찰 지휘용 버스로 태어나 임무를 다 하고 누군가의 캠핑카로 제 2의 차생을 살고 있지만 언제까지 지금과 같은 모습으로 이곳저곳을 누비고 다닐지는 모르겠습니다. 부디 소임을 다하는 그날까지 무탈히 도로를 누비고 다녔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