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가다가 시동이 꺼지는 다마스를 던져놓고 공주터미널에 왔는데 못보던 버스가 보입니다.


경북고속(코리아와이드 경북) 구도색이 된 버스가 플랫홈에 대기중이더군요. 경북고속이 공주까지 진출했나 하고 보니 얼마 전 코리아와이드(경북고속,진안고속)그룹이 수도권 및 충청권 노선과 노후된 버스를 KD운송그룹에 대량으로 매각하는 과정에서 근래에 KD 계열사가 된 삼흥고속에 대전-태백,서산-당진-동대구,부산-천안, 진주-천안 등 코리아와이드의 충청권 착발 노선의 인수와 함께 배정이 된 차량이였습니다.



2011년식 자일대우 FX II 120 크루징스타.


교통갤러리나 동호인들이 모이는 커뮤니티에 가서 찾아보니 2013년 이전에 출고된 차량들은 죄다 매각되었다고 하는군요. 경기고속이나 대원고속 위주로 차량들이 넘어갔고, 이렇게 삼흥고속에 새 둥지를 틀은 차량들도 있습니다.


일단은 경북 구도색에 삼흥고속 이름을 달고 운행하고 있습니다만, 조만간 보라색 도색으로 변경되리라 예상됩니다.



대구북부터미널에서 신도청(경북도청신도시)를 거쳐 예천으로 가는 노선의 개통을 알리는 스티커도 보입니다.


스티커를 떼어내다가 잘 떨어지지 않았는지 떨어진 부분의 문구가 충분히 유추되더군요. 뭐 공주에서 대구 그리고 경북도청신도시까지 갈 사람이 얼마나 있겠습니까. 코리아와이드 경북 로고가 붙어있었던 자리에는 '삼흥고속'이, 그 아래로 지금은 일반 시트로 개조되었지만, 한 때 우등차량이였음을 알리는 'Excellent Express' 문구까지 그대로 남아있더군요.



서대전에서 유성 공주를 거쳐 고속도로를 타고 기지시와 당진까지 가는 노선을 운행중입니다.


이쪽은 신도청 예천 직통의 개통을 알리는 스티커는 거의 제거가 되었는데, 삼흥고속 옆에 옛 경북고속 로고가 붙어있네요. 삼흥고속에는 매우 억울한 처사이겠지만 차돌리기로 경기고속과 대원고속에 새 차를 내어주고 받아온 버스들과 경상도 출신 버스들로 생각보다 빠르게 삼흥고속에 대우버스가 스며들고 있습니다.


여튼 앞으로 약 3년정도 삼흥고속의 이름을 달고 이곳저곳 활보하고 다니겠지요. 퇴역하는 그날까지 차생의 대부분을 보내왔던 경상도가 아닌 충청도에서도 무탈히 운행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내포에서 목격한 구형 코란도. 구코 소프트탑 차량입니다.


1970년대 미국자본과의 합작으로 설립된 신진지프가 CJ-5형 지프를 라이센스 생산하기 시작하여 거화와 동아자동차 그리고 쌍용자동차를 거쳐 1996년 2세대 뉴코란도의 출시 직전까지 자잘한 변화를 거쳐 30년 가까운 세월동안 판매되었던 차량이 구형 코란도입니다. 


물론 초창기에는 말 그대로 지프차 혹은 신진지프라 불리던 차량이지만, 미국 자본의 철수 이후 더이상 지프라는 브랜드를 사용 할 수 없었기에 코란도라는 새로운 명칭을 기존 지프차에 붙이게 되었습니다. 이게 1983년 거화시절이고, 잘 아시다시피 '한국인은 할 수 있다(KORean cAN DO)' 라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지요.


정통 오프로드 지프차를 표방하던 코란도의 족보는 모노코크 바디 타입의 도시형 SUV로 이어지고 있고, 거기에 한 술 더 떠 로디우스와 액티언스포츠의 부분변경 모델까지도 코란도 이름이 붙어 판매되었고 현재도 판매되고 있습니다. 아예 사명을 코란도모터스로 변경하는게 어떨까 싶을 수준으로 현재의 코란도 족보는 난잡한 수준에 이르고 있습니다.



여튼 매우 준수한 관리상태의 구형 코란도 소프트탑 모델을 내포에서 보았습니다.


번호판은 하얀색. 그리고 본넷은 카본 시트지로 랩핑이 되어있었지만, 그시절 그 모습을 거의 온전히 간직하고 있습니다. 크롬으로 치장된 라디에이터 그릴과, 코뿔소 장식은 마지막 마이너체인지인 1993년형에 처음 적용된 외장부속들입니다. 92년 12월에 최초로 등록이 된 차량인지라, 93년형 차량이 출시되었던 92년 막바지에 재빨리 등록하지 않았나 싶네요.



깔끔하고 웅장한 크롬 그릴 위에는 알파벳 S가 두개 겹쳐진 쌍용의 엠블렘이 붙어있습니다.


이 로고는 1989년 쌍용그룹의 창립 50주년을 기념하여 제정되었고 2마리의 용을 의미하는 회색과 빨간색의 S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기간산업과 첨단산업의 조화, 기업과 소비자 간의 조화, 노동자와 사용자 간의 인화를 상징한다고 하네요. 현재도 옛 쌍용그룹의 계열사인 쌍용양회,쌍용건설,쌍용정보통신,쌍용C&B 등등이 이 로고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물론 오래된 티가 많이 나긴 합니다만, 그래도 쌍용 계열사들이 사라지지 않는 한 앞으로도 쉽게 볼 수 있을겁니다. 



멋진 자태를 뽐내고 있습니다.


애초에 미국차를 받아다 만든게 시초니 미국 시골동네에 굴러다니는 지프와 큰 차이가 없습니다. 90년대 당시 이스즈와 기술제휴 관계에 있었던 대우중공업이 라이센스 생산하던 2.2리터급 72마력의 출력을 내는 DC23엔진이 적용된 RS모델입니다. 물론 가솔린 엔진의 RX 2.6i, 푸조엔진의 RV트림보다 흔히 보이지만 이마저도 귀합니다. 



스페어 타이어와 기름통. 그리고 기다란 안테나와 전투등. 그시절 감성이 느껴지는 크롬 악세사리들까지...


물론 순정품 호루는 사실상 현재 남은 물건이 없을테니 사제를 가져다가 씌웠겠지요. 그럼에도 반짝이는 악세사리들과 넓은 시야를 자랑하는 사제 탑이 생각보단 잘 어울립니다. 낙엽이 떨어지는 가을날 신도시에서 느끼는 세기말의 감성입니다. 순정 흙받이 역시 제치 그대로 남아있고, 모처럼만에 순정과 사제의 모습이 조화롭게 어우러진 차를 본 기분입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