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일반국도 제 32호선은 충청남도 태안군 소원면의 만리포에서 시작하여 대전광역시 한복판인 서대전네거리까지 이어지는 국도입니다. 본래 경북 문경(점촌)까지 연장하려는 계획이 있었으나 예산부족으로 대전-문경 구간은 국가지원지방도로 지정되어 각 시,도에서 관리하고 있습니다.


태안에서 문경까지라면 상황이 달라지겠지만 동에서 서로 횡단하는 다른 동서축의 국도에 비교하자면 꽤 짧고 전국적인 인지도는 거의 바닥수준인 국도입니다. 그래도 고속도로 개통 이전에 충남 서북부 권역에서 대전으로 가기 위해선 필히 거쳐야 하는 국도입니다.


90년대 중후반부터 왕복 2차선인 국도의 시내구간은 우회하고 4차선으로 확장하기 위한 공사가 꾸준히 진행되어 왔습니다. 현재는 공사가 진행중인 만리포 종점 일부구간을 제외한 전 구간의 왕복 4차선 확장공사가 끝났습니다.



이러한 국도 32호선을 대표하는 고갯길이자 

가장 최근에 확장공사가 끝난 '차동고개' 구간이 이번 이야기의 주인공입니다.


차동고개는 예산군 신양면 - 공주시 유구읍을 잇는 작은 고개입니다. 산을 타고 올라가는 약 10km 구간이 2014년 12월 29일자로 확장 개통되었습니다. 험하다는 여타 다른 고개에 비한다면 선형개량도 비교적 잘 된 편인지라 명함도 내밀지 못하지만 그래도 완만한 선형을 가진 이 국도 구간에서 손에 꼽는 난코스입니다.



국도 제 70호선과 분기되는 칠성암 삼거리에서 출발하여

산 정상의 차동휴게소를 거쳐 확장구간에 편입된 녹천교차로까지가 이번 탐방 구간입니다.


사실 차동1이니 녹천1이니 교차로 이름에 아라비아 숫자를 붙여두었는데, 2교차로는 없습니다. 대신에 터널에서 이어지는 교량에 2교라는 이름을 붙였네요. 고로 중요도가 떨어진다는 이야기겠죠.



칠성암 삼거리에서 대덕교차로 구간은 이미 2008년에 국도에서 폐지된 구간입니다.


2008년 4차선 확장공사 개통 이후 신양면 소재지를 외곽으로 돌아서 나가기에 구길이 되어버렸죠. 그럼에도 국도시절 주요 경유지별 거리를 나타내주는 이정표는 별 탈 없이 서 있습니다.


지나가는 차도, 사람도 없습니다. 그 흔한 경운기 하나 없는 적막한 도로입니다. 



'대전'이 종점인 고속도로가 저 하늘 높이로 지나갑니다.


물론 국도 제 32호선이 확장공사 이후로 선형도 괜찮아지고 고속도로나 별반 다를게 없는 자동차 전용도로가 되었습니다만, 험난한 차동고개는 그대로였기에 고속도로 개통 이후 대전 혹은 그 이남으로 내려가는 차량들은 거의 대다수가 고속도로를 이용하게 됩니다.


그나마 유구읍에 거주중인 주민들이나, 고속버스 노선으로 전환되고 겨우 몇개 남은 대전 혹은 공주로 향하는 노선을 타는 시외버스 혹은 하루에 몇회 운행하는게 전부인 농어촌/시내버스가 이 도로를 이용하는 차량의 전부가 되겠지요.



대덕교차로에서 구길의 흔적은 사라집니다.


확장된 4차로에 종전에 차량 통제를 위해 그려두었던 중앙선과, 오랜 세월 자리를 지키고 있는 주유소가 존재하긴 합니다만, 그 시절 그 모습은 더이상 찾아보기 어렵습니다.



뻥 뚫렸습니다.


사실상 고속도로 개통 이후 고속도로로만 대전 혹은 그 이남을 다니다 보니 차동터널 개통이후로는 사실상 처음 방문하게 되었네요. 종전에는 고갯길을 넘어다니던 시외버스 역시 요즘에는 터널을 이용하는걸로 보입니다.



2010년 5월. 다음 로드뷰.


저 멀리 보이는 높은 교각만이 같은 장소라는 사실을 알려주고 있습니다. 아름드리 은행나무도 모두 잘려나갔고, 저 옆에 보이는 창고는 현재 길바닥이 되어있겠죠. 



바로 옆. 차동리 마을로 들어가는 길목 나름 번듯하게 확장 그리고 포장이 되었습니다.


평범한 마을 진입로가 교차로로 승격된 모습을 여러분께서는 보고 계십니다.



그냥 작은 다리를 건너서 진입하던 마을 진입로는 상당히 복잡해졌습니다.


기존의 도로는 확장구간에 편입되었고, 은행나무가 있었던 자리. 그리고 그 옆에 붙어있었던 논이 매립되어 지금 제가 서 있는 도로가 되었습니다. 또 하나의 흥미로운 사실을 이야기 하자면, 확장 전에 과속 단속용 카메라가 설치되어있던 그 자리에 교차로가 생겼고, 그 교차로에 신호위반까지 같이 잡아내는 단속카메라가 설치되어 있습니다.



어디까지나 옛 고갯길 진입을 위해 특별히 새로 깔아준 도로입니다.


비록 본인처럼 취미생활로 구길을 타는 경우가 아니라 단순히 이동을 목적으로 이 길을 다닐 사람은 없더라도 산 중턱에 거주중인 신양면 차동리 주민들이나 유구읍 녹천리 주민들에게는 꼭 필요한 도로겠죠.


이정표 이후부턴 기존의 2차선 도로가 계속 이어집니다. 옛 로드뷰 이미지를 확인한 바 기존 도로 우측으로 성토를 해둔 모습이 확인됩니다.



고갯길 구간에 진입합니다.


확장공사 마무리 직전 포장을 새롭게 한 듯 보입니다. 이 도로가 폐쇄되기 전까지 앞으로 새롭게 포장공사를 할 일은 없겠지요. 노면만 깔끔할 뿐 수풀이 가드레일을 다 집어삼킨지 오래고 나무도 막 자라버린지라 그냥 노관리 그 자체입니다. 


2부에서 이어집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새집은 참 좋습니다. 


다만, 햇볕이 직접적으로 내리쬐다보니 퇴근하고 집에 들어오면 상당히 덥지요. 그래서 침실엔 커튼을 달아두었습니다만, 문제는 거실입니다. 그냥 가만히 거실에 누워있어도 내리쬐는 햇볕에 미쳐버릴 수준이구요. 그래서 거실에 블라인드를 설치하기로 했습니다.


아파트 단지 내 인테리어 업체들이 설치해둔 구경하는집에 가서 견적을 내보고 일반적인 블라인드와 실사출력 방식의 커스텀 롤블라인드의 가격을 비교해 봅니다. 요즘은 그냥 일반적인 블라인드도 꽤나 이쁘게 나오더군요. 다만, 평범함을 싫어하는 사람이니 실사출력으로 가기로 합니다.


이타샤에 이은 본격 '이타 블라인드' 프로젝트.


실사출력을 위해선 고해상도의 고화질 이미지를 필요로 합니다. 덕내 안나고 아파트의 실내 분위기와 어울릴법한 이미지를 찾습니다. 그렇게 몇가지를 찾았습니다. 



모노가타리 시리즈, 4월은 너의 거짓말


그렇습니다. 심플하면서도 인상을 줄법한 이미지를 넓게 보고 찾던 와중 걸린게 두가지입니다. 마치 겨울연가의 최지우와 배용준을 보는 느낌의 일러스트는 원 저작권자가 누군지 모르고, 공식 일러집에 수록된 일러스트는 말풍선을 어찌 없애느냐가 난제였습니다.


그러던 와중, 곧 군입대를 앞둔 이타샤 디자이너께서 열심히 그려서 판매했던 그림이 떠올랐습니다.



그래 이거야! 이거!


결국 저세상으로 가버린 비운의 바이올리니스트 카오리와, 방황하던 천재 피아니스트 코우세이. 피아노 콩쿨도 나가봤었고, 첼로도 배워서 나름 현악부 대표로 금상도 타왔던 본인 입장에선 나름대로 꽤나 공감가던 부분이 많았던 작품입니다.


덕내도 적당하고, 보기도 좋고, 이렇다 할 위화감도 없습니다.


곧바로 업체에 이미지를 보내주고, 일은 일사천리로 진행됩니다.



토요일에 연락이 오더군요. 저녁에 가려 하는데 집에 계시냐고 말이죠.


친구 돌잔치에 가는 바람에, 일요일 오전으로 일정을 옮겼습니다.



생각보다 달기 쉽습니다. 마치 커튼 릴 달듯이 그냥 브라켓에 피스만 박아주면 끝.


이렇게 달기 쉬웠나 싶더군요. 뭐 밟고 올라갈 의자만 있고, 편리한 전동공구만 있다면 식은죽 먹기 급 작업이 아닐까 싶습니다. 침실에 커튼을 달 때는 손으로 드라이버를 돌려서 힘겹게 달았는데 ㅠㅠ



작업 완료!


작업하신 사장님도 사진을 찍어 가십니다. 구라같은 4월은 지나갔지만, 4월의 기운은 집에 가득할겁니다. 보는 재미도 있고, 대낮에 뜨거운 햇볕으로부터 집을 보호해주리라 생각됩니다.



밤에 보니 더욱 더 아름답습니다.


비율때문에 이미지가 어느정도 짤려버리긴 했지만, 그래도 이정도면 원본 이미지의 분위기는 잘 살렸다고 생각됩니다. 막상 해나 해두고 나니 다락방에도 똑같이 이타블라인드를 만들어 보고 싶다는 생각이 드는군요. 여튼 대만족입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