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오늘 대전의 한 골목길에서 목격한 차량입니다.

 

골목길을 돌아 대로를 타고 대전IC에 진입하려 하는데, 구형 지역번호판을 부착한 그레이스가 보이네요. 곧 신호가 바뀌고 재빨리 우회전 하여 그레이스를 따라가기 위해 노력했지만 결국 놓쳤습니다. 그래서 사진이 

 

흔히 각그레이스라 부르던 전기형 그레이스의 부분변경 모델입니다. 당시 함께 도입되었던 포터가 미쓰비시의 2세대 델리카 트럭을 라이센스 생산했다면, 미니밴이던 그레이스는 출시 당시 최신모델이던 3세대 델리카를 라이센스 생산했습니다. 여튼 86년 출시되어 93년 유선 96년 부분변경을 거쳐 뉴그레이스로 2003년까지 판매되었습니다. 

 

93년 12월 최초등록. 9인승 그랜드 살롱

대전 5 마 지역번호판이 부착된 9인승 최고급형 모델 그랜드 살롱(GRAND SALOON)

 

93년 12월에 최초로 등록된 차량이네요. 여기저기 찍힌 흔적도 있지만, 순정 데칼도 번호판도 심지어 바코드의 흔적까지도 그대로 보존되어 있습니다. 특유의 바람개비 모양 알루미늄휠도 정말 오랜만에 보는 느낌이네요. 미세먼지 저감조치가 본격적으로 시행되면 머지 않은 시일 내에 사라지지 않을까 싶습니다.

 

여러모로 대도시에서 차생의 대부분을 보낸 차량들이 시골에서 차생을 보낸 차량들보다 훨씬 준수한 상태로 보존되는 경우가 많아보입니다. 물론 그레이스 역시 그렇게 30년 가까운 세월을 대전에서만 살아왔고, 앞으로도 계속 대전에서 살아가겠지만 중국발 미세먼지에는 침묵하면서 정권에 의해 미세먼지의 주범이자 적폐로 몰려버린 5등급 노후경유차이다보니 앞날을 장담 할 수 없는 처지에 놓여있습니다.

 

비록 정권에 의해 말살당할 처지라지만, 주인과 함께하는 그날까지 무탈히 달려주었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주말 내내 차고 정리를 단행했습니다.

 

뭐 시간이 날때마다 짐을 하나씩 빼고 버릴건 버리는 등 정리를 하고 있었지만, 날이 더 추워지기 전에 마무리를 해야겠다는 생각에 이번 주말은 차고 정리의 끝을 보려는 생각으로 차고 정리만 했습니다.

 

말이 차고지 창고처럼 쓰던 공간인지라 꽤 오래 치우고 또 치워도 답이 안나오더군요. 결국 주말 이틀을 투자하여 끝을 보았습니다. 뭐 치우는데에 끝을 보았다는 얘기지 아직 할 일은 많지만 말이죠.

 

치우고 치운 상태가 이정도

치우고 또 치운 상태임에도 잡동사니가 넘쳐납니다. 

 

이 중 버릴 물건은 마대자루에 담아 버리고, 놔둘 물건은 이사박스에 담아 보관합니다. 별 잡동사니가 다 나오더군요. 옛 비스토 몰딩 그리고 스파크 썬바이저를 비롯한 제가 창고에 박아둔 물건도 나오고, 할아버지대부터 창고에 모셔놓던 물건들도 나옵니다. 고물상에 고철을 한번 가져다 팔았음에도 고철이 계속 나와 또 가져다 팔았고, 구리선도 모아서 함께 갖다줬네요.

 

200원짜리 뽀삐코 파인맛

빠삐코 짝퉁 뽀삐포 파인맛 아이스크림의 봉지도 발굴됩니다.

 

가격은 200원. 제가 어릴적 이런 아이스크림의 가격이 500원이였으니, 뭐 그보다 한참 전에 먹었던 어찌보면 저보다 나이가 많을 수 있는 그런 봉지도 발굴되었습니다. 빠삐코 짝퉁 뽀삐코라는 아이스크림이고, 그 어떠한 자료도 검색되지 않더군요. 30년 묵은 아이스크림 봉지는 사진만 남기고 버렸습니다.

 

평화산업(평화홀딩스)에서 제작된 리데나씰.

비둘기 로고가 선명하게 찍힌 리데나씰입니다. 포니용이라고 하네요.

 

현대 포니용 리데나씰입니다. 뭐 비품이긴 합니다만, 미개봉품이네요. 빨간 비둘기마크 그리고 오일씰 두개가 들어있습니다. 여러모로 귀한 물건이니 놔두도록 합시다. 누군가는 필요로 하겠죠.

 

도크에 50년 묵은 흙먼지들.

일단 바닥에 쓸만한 물건들을 다 챙긴 다음 도크 아래 쌓인 쓰레기와 먼지를 치웁니다.

 

도크 바닥 아래로 쌓여있던 흙먼지와 쓰레기들. 오만잡게 다 나오더군요. 삽으로 박박 긁어 먼지까지 치웁니다. 쓰레기마대가 무거워질 수준으로 집어넣고 마지막엔 흙만 퍼서 따로 배출했습니다.

 

자 이제 물청소 시작합니다.

도크 안의 쓰레기와 바깥에 굴러다니던 쓰레기도 정리한 다음 물청소를 감행합니다.

 

50년만에 처음으로 이루어지는 물청소입니다. 먼지가 마치 코팅이 된 것 처럼 물을 먹지 않더군요. 한참을 물을 뿌리고 또 뿌린다음에야 어느정도 먼지가 씻겨나가기 시작했습니다. 처음에는 바닥과 벽면만 물을 뿌렸는데 뿌리다 보니 기둥과 슬레이트 지붕까지 뿌리게 되더군요. 간단히 바닥청소만 하려다가 결국은 전체 물청소가 되어버렸습니다.

 

나무기둥.

기둥은 다 나무로 세웠습니다. 나무기둥에도 슬레이트 지붕에도 물을 뿌려 먼지를 제거했습니다.

 

물을 뿌리고 뿌려도 구정물이 계속 흘러나와 꽤 고생했습니다. 직접적으로 햇볕을 보는 곳도 아닌데 썩지는 않겠죠. 일단 뭐 그러려니 하고 물을 뿌렸습니다.

 

도크에서 떨어지던 흙도 다 정리.

도크에서 떨어지던 흙도 다 정리했습니다.

 

멀쩡한 도크 옆으로 땅을 더 깨서 이렇게 만들어 둔 이유가 뭔가 하고 알아보니 옛날에 포니를 막상 세워두면 도크로 들어갈 공간이 없게 설계해놓아서 어쩔 수 없이 파놓은 땅이라고 하네요. 뭐 어쩌겠습니까. 그냥 저 상태로 벽돌을 세워서 시멘트로 잘 덮어야죠.

 

이게 물을 뿌린 상태

바닥이 오래되어 다 갈라지고 깨졌습니다. 보수할곳이 엄청 많습니다.

 

마음같아선 싹 다 깨버리고 레미콘차 불러서 바닥 콘크리트를 새로 깔았으면 합니다만, 그마저도 여의치 않으니 그냥 레미탈 사다가 잘 섞어서 바닥 뗌질이나 하고 말아야지요. 뭐 어쩌겠습니까. 이 작업은 다음주 주말에 시간이 된다면 속행하기로 하고, 일단 벽면 구멍을 막는 공사를 진행합니다.

 

이 사이로 먼지가 다 들어왔다.

차고 뒤 벽면과 지붕 사이로 공간이 좀 있었습니다.

 

이 차고가 지어졌던 시기부터 어짜피 차고인데 뭐 다 막을 필요가 있냐며 그냥 놔뒀던 부분인데 그곳으로 먼지가 유입되어 이런 사단이 나지 않았나 싶습니다. 그런고로 우레탄 폼과 스티로폼을 활용하여 막아주기로 합니다.

 

그냥 빛이 보이는 구멍이라면 다 막아줌

그냥 빛이 보이는 구멍이라면 다 막아줬습니다.

 

뭐 미관상 형편없어도 그냥 구멍만 잘 막히면 된겁니다. 나중에 페인트칠이나 다시 해주면서 칼로 너무 튀어나온 부분은 정리해주면 될겁니다.

 

차고 앞에도 빈틈없이 우레탄폼 도포

차고 앞부분으로도 빈틈없이 우레탄폼을 도포해줍니다.

역시 이곳도 녹색 락카로 마저 한번 더 칠해주면 될겁니다.

 

하얀건 다 우레탄폼

벽돌 틈사이에 조금의 빛이라도 들어오면 우레탄 폼을 쏴줬습니다. 

 

뭐 일단 오늘 작업은 여기서 끝내기로 하지요. 지붕 틈 사이 작은 부분까지도 다 막았습니다. 뭐 전문가가 보기엔 형편없이 폼을 쏴댔다고 느끼시겠지만, 그래도 이정도면 만족합니다. 슬슬 제가 원하는 차고의 모습이 갖춰지고 있네요. 더 추워지기 전 다시 차고를 활용 할 수 있었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