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농심켈로그에서 한정판이긴 하지만 신제품이 나왔습니다.


괜히 어른들 앞에서 아는 척 하고 싶어하는 학생들이 나무위키를 보고 당시 상황을 파악하여 어른들 앞에서 주름을 잡는다 한들 80년대 후반 90년대 초중반 태어난 당시 초등학생~중학생이던 시리얼의 주요 소비층과 그 시절 인터넷 여론을 주도하던 젊은 어른들이 첵스 파맛 탄생의 주역이 아닐까 싶습니다. 


지금도 별 문제 없이 잘 팔리고 있는 첵스초코라지만 일은 2004년 연말에 있었습니다. 당시 켈로그는 첵스초코의 초코 함량을 늘린 개선형 제품의 출시를 앞두고 12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초콜릿 맛을 더욱 진하게 만들겠다는 후보 체키와 파를 첨가하겠다는 후보 차카를 놓고 첵스초코나라의 대통령 선거를 진행했습니다.


물론 대다수의 어린이들이 파를 싫어하기에 무난히 체키가 대통령에 당선이 되고 켈로그에서 의도하던 대로 개선형 제품을 출시하겠다는 계획이였지만 의도와는 다르게 네티즌의 개입으로 파를 첨가하겠다는 후보인 차카가 압도적인 득표율을 자랑하게 된 사건입니다. 


이후 켈로그측에서는 보안의 허점을 파고들어 행사된 표를 삭제하고, 현장투표 및 ARS 등 본래 계획되지 않았던 방식의 득표까지 추가하여 아슬아슬하게 의도했던대로 체키의 당선으로 매듭지었습니다. 다만 외부세력의 개입으로 인해 부정한 방법으로 행사된 표를 제외하고도 압도적인 득표율을 보여주던 차카의 낙선은 첵스초코나라 부정선거라는 이름으로 15년 넘는 세월동안 여러 사람들의 입방아에 오르내리고 있었습니다.


사실 광고를 보며 차카를 지지했던 저를 집에서는 무슨 부정적인 인간 취급을 했었는데, 만 15년만에 '2004년 파맛 첵스 사건'의 종지부를 찍을 첵스 파맛이 비록 한정판이지만 출시되었습니다. 민주주의의 승리라 부르지만, 아직 첵스초코나라의 대통령으로 체키가 15년 넘게 장기집권중이며 그동안 반대세력인 차카를 악역으로 묘사하였던 매우 후진적인 정치행태의 첵스초코나라의 정치적 선진화는 아직 멀었다는 평가입니다.



여튼 서울에서 온 귀한 손님께서 선물로 가지고 온 첵스 파맛입니다.

일반적인 첵스초코가 570g인데, 첵스 파맛은 350g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뭐 촌동네에서도 충분히 구할 수 있다면 있겠지만, 마트에서 본 적이 없습니다. 대형마트를 가도 관심있게 보지 못해 그런 걸 수 있겠지만, 이런 이슈가 되는 상품들은 대도시 위주로 풀리고 있으니 말이죠. 대략 출시 1개월만에 구경을 하고 맛을 보게 되었습니다.


눈매가 어느정도 부드러워졌지만, 첵스초코나라의 독재자인 체키가 놀라는 표정인것을 보면 민주화운동가인 차카에 대한 취급은 그리 좋지 않은 모양입니다. 물론 이러한 인터넷 밈을 실제 제품으로 생산하기까지 엄청난 노력이 필요했을겁니다. 거기에 국내산인 여주에서 생산된 대파를 사용하였다고 하네요.



태진아의 미안 미안해를 개사한 CM송이 사용된 71초짜리 광고입니다. 


단짠단짠 조화의 첵스 파맛을 탄생시키기 위해 엄청난 노력이 필요했으리라 생각됩니다. 그러한 노력과 나름 비싼 모델을 기용하여 광고까지 촬영했는데 한정판으로 반짝 판매하기는 아쉽게만 느껴지네요.



진짜 파가 들어간 단짠 첵스.

파 맛이 주는 재미와 함께 중독성 있는 달콤함을 느껴보세요.

간식으로 그냥 먹어도 맛있고 우유와 함께 먹으면 우유도 맛있어져요!


박스 후면을 보면 그렇습니다. 진짜 파가 들어갔고, 파 맛이 주는 재미와 함께 중독성 있는 달콤함을 느껴보라 합니다. 실제 중독성도 있고 그냥 먹어도 우유와 함께 먹어도 맛있습니다. 일각에서는 도저히 먹지 못할 맛이거나 민주주의가 항상 옳은것만은 아니라는 평을 내놓습니다만은, 제 평은 파를 좋아해서 그런지 몰라도 그들과는 정 반대라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켈로그 박사에 의해 세계 최초로 시리얼을 탄생시킨 켈로그는 110년의 역사와 노하우를 바탕으로 더욱 풍부한 맛과 영양을 담아 좋은 것만 드리고 있습니다.


켈로그 시리얼은 우리 몸에 꼭 필요하지만 부족하기 쉬운 비타민과 무기질 성분 등이 토스트 (식빵 2쪽 + 딸기잼) 대비 더 많이 함유되어 있어 더욱 건강하고 활기찬 하루를 시작할 수 있는 참 좋은 아침식사입니다.


그렇습니다. 거기에 초코렛이 아닌 건강식품 국내산 파가 함유되어 더욱 건강한 맛을 내리라 생각합니다. 개봉하기 전 과연 어떤 맛일지 엄청난 기대감을 가졌습니다. 많은 사람들의 우려에 가득찬 후기가 있어 더욱 긴장되는 순간이 아닐까 싶었습니다.



개봉했습니다. 초콜렛이 함유되지 않은 건강한 시리얼의 느낌입니다.


개봉하니 가장 먼저 파의 향미가 풍겨져 옵니다. 파를 싫어하는 사람들이라면 호불호가 갈리겠지만, 저는 파를 좋아하는 사람이기에 파향에 대한 불호는 없어 별다른 거부감은 없으니 일단 맛을 봅니다. 짭조름한 맛에 강한 단맛이 뒤끝으로 느껴집니다. 개인적으로 인위적인 단맛을 싫어합니다만, 한 번에 많은 양을 먹기에는 금방 질려버리겠다는 생각이였지만 계속 주워먹다보니 계속 손이 가게 됩니다.



그리고 우유와 함께 먹어봅니다.

대체 누가 파맛첵스를 쓰레기라 평했습니까? 그냥 먹어도 우유에 타 먹어도 맛있습니다.


설명대로 우유와 함께 먹으니 우유도 맛있어집니다. 우유에 타 먹으면 파향은 거의 사라집니다. 파를 싫어하는 사람이라도 우유에 곁들여 먹으면 아무런 불호를 느낄 수 없습니다. 우유의 달달함은 여타 다른 시리얼보다는 덜한 수준이지만 파맛이 강하게 느껴지지는 않았습니다. 


파가 함유되었기에 단지 파를 싫어하는 사람들에게 선입견부터 강한 불호를 나타냈지만, 파를 싫어하는 사람들도 맛있게 먹을 수 있도록 달면서 짭짤한 맛을 내는 평범하다면 평범한 시리얼입니다.


민주주의의 산물 첵스 파맛. 비록 한정판으로 출시되어 허니버터칩에 준하는 반짝 인기를 누리고 있지만, 부디 정규 제품으로 편성되어 오랜 세월 이 맛을 느낄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최소한 저는 마트에서 눈에 보인다면 무조건 사다 먹을겁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오늘의 올드카 목격담은 대우의 대형트럭입니다.


사실 정식 명칭이 매우 무미건조한 '대우 대형트럭'입니다. 옛 새한자동차 시절이던 1973년부터 대우자동차가 독자개발한 차세대트럭이 등장하기 전 1995년까지 '이스즈 뉴 파워(いすゞ ニューパワー)'를 라이센스 생산하였는데, 물론 초기에는 큰 차이가 없었지만 자체적인 부분변경을 여러번 거치며 사실상 대우 독자모델에 가까운 형태로 판매되었습니다.


오늘의 목격담의 주인공은 1992년 마지막으로 페이스리프트된 대우 대형트럭 11.5톤 카고입니다. 흔히 이 트럭을 보고 대우 이스즈트럭 혹은 V365T나 640이라 부릅니다. 이 차량에는 230마력 D2366Ti엔진이 적용되었지만, V365T는 당대 최고출력인 365마력 엔진의 이름이고 640은 6X4 트랙터의 최대 견인능력이 64톤이라 640트랙터라는 데칼이 붙어있어 다들 그렇게 부릅니다.


물론 18톤 대형트럭과 트랙터에 한해 경쟁차량대비 월등한 성능을 자랑하는 16단 ZF 수동변속기와 V365T 엔진이 적용되었지만, 그보다 작은 체급의 차량 역시 다들 그렇게 부르고 그렇게 굳어졌습니다.


여튼 오늘 본 차량은 11.5톤 카고트럭에 3축을 가변축으로 추가하고, DPF까지 장착해놓은 차량입니다만, 적재함에 컨테이너를 올려 식당차로 이용중이였습니다.



비슷한 시기 판매되었던 현대 91A나 쌍용 SY트럭은 지금도 흔히 볼 수 있고...

아시아 AM트럭은 얼마 전 올드카 목격담에서도 다뤘었죠.


그럼에도 대우 대형트럭은 정말 오랜만에 보는 느낌입니다. 이 모습으로 부분변경을 거치기 전 87년~92년형 모델도 대략 10여년 전에 목격하고 이후 볼 수 없었습니다만, 사실상 대우 대형트럭의 최후기형인 이 차량 역시 언제 봤는지 기억조차 나지 않습니다.


사실 지나가며 이 차량을 목격한지 대략 1년도 넘었습니다만, 지나가며 사진을 촬영할 기회가 생긴건 처음이네요. 여튼 시멘트색으로 도색이 된 94년 12월에 등록된 대우 대형트럭입니다.



矢崎 新型タコグラフ取付車


우리말로 풀어보자면 일본의 다국적 자동차부품업체인 야자키(矢崎)신형 타코그라프(新型 タコグラフ)취부한 차량(取付車)이라는 이야기입니다. 취부가 일본식 한자어라 순화하여 풀어본다면 부착한 차량이라 해석하면 됩니다. 즉 야자키에의 신형 타코그라프가 부착되었다는 얘기겠죠.


왜 이 스티커가 붙어있는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물론 한국 내수용으로 판매되었던 차량인데 굳이 일본어로 이런 스티커를 붙일 이유도 없고, 일본에서는 이미 뉴파워의 후속모델이 판매된지 10년이 지났던 상황이였습니다.



꽤 오래 세워둔 차량이지만, 뭐 전반적인 상태는 양호했습니다.


카페인트가 아닌 일반적인 유성페인트로 차체가 칠해진걸 제외하면 그럭저럭 순정 본연의 상태를 유지하고 있었습니다. 이 자리에 세워진 뒤 운행 할 일이 거의 없다지만, 그럭저럭 식당을 영업하며 관리가 되고 있어 별다른 문제는 없어보입니다.



도색 역시 손이 닿는 부분만 했습니다. 손이 닿지 않는 부분은 본래의 차량 색상이 보이네요.


파워오일통에 이끼가 끼어있는 모습을 보니 습한 환경에서 꽤 오랜세월을 버텼음을 알 수 있습니다.



녹이 슨 사이드미러는 비품이네요. 우성미러에서 생산한 제품입니다.


뭐 거울이야 정품을 쓰던 비품을 쓰던 기능상의 차이는 없지요. 지금도 같은 규격의 사이드미러가 판매되고 있습니다. 여러모로 마음만 먹으면 언제든지 교체가 가능하다는 이야기겠죠.



이 차량은 가변축이 설치된 차량입니다.


가변축은 내려와 있습니다. 물론 추후 나와서 장착한 축으로 보입니다. 적재함의 넓이보다 더 넓게 컨테이너를 개조한 구조물을 올려놓아 자세히 보지 않는다면 보이지 않는 부분이지만, 영업용으로 사용되다가 은퇴하여 이런곳에서 식당차로 말년을 보내고 있는 상황이 아닌가 싶습니다.



적재함에 올라간 컨테이너 박스를 개조한 구조물은 꽤나 넓고 확 트인 샷시로 마감되어 있습니다.


부모를 원망하고 인생을 한탄하며 사회를 탓하지 말라.

한평생이 일백년도 다차지 못하건만 그대는 무엇을 위해서

유한한 삶으로 무한한 꿈에 고통과 번뇌를 하며 사는가.


명언이 적힌 기다란 간판을 달고 있고, 차량 적재함으로 올라가는 계단이 설치되어 있습니다.



확 트인 샷시 안으로 보이는 식탁과 의자 그리고 업소용 냉장고가 식당임을 알리고 있습니다.


무얼 파는 식당인지는 알 수 없었지만, 바닷가가 보이는 자리인지라 아마 전망은 좋을겁니다.



번호판은 컨테이너를 개조한 구조물 맨 뒤에 부착되어 있습니다.


물론 차량 적재함의 크기를 훨씬 뛰어넘는 적재불량 상태입니다.



차량 프레임이 끝나고 적재함이 끝나는 부분에는 이렇게 용접으로 체결되어 있었습니다.


그래도 번호판은 맨 뒤에 달아놓았네요. 후미등은 아무런 의미가 없습니다.


여러모로 사각형 유리반사식 헤드램프와 그릴은 다음세대 모델인 이스즈810의 영향을 받은 느낌입니다.


물론 캡의 형상이 다르지만, 대략적인 분위기만 놓고 본다면, 그렇습니다. 물론 헤드램프는 버스와도 호환되었던걸로 알고 있습니다. 익숙한 농어촌버스인 BF105도 고속버스인 BH120F도 호환될겁니다.



26년 가까운 세월을 버텨왔으니 부식이나 누유는 당연하겠죠.



DAEWOO가 각인되어있던 흙받이는 일부 소실된 상태입니다.



측면은 그냥 컨테이너스러운 모습과 함께 판넬과 같은 잡자재들이 널려있네요.



유리창에 선명한 대우 학로고와 대우자동차.


지금은 대우상용차를 거쳐 인도의 타타그룹에 인수되어 타타대우상용차로 명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짐싸서 나갈 준비를 하던 한국GM은 대우따위는 고급 브랜드 쉐보레의 역사가 아니라며 대우시절을 부정하고, 자일대우버스는 한국공장을 폐쇄하려 하고, 군산 3대장인 타타대우 역시 경기불황으로 희망퇴직을 고려중이라 하는지라 대우에서 분리된 자동차회사들의 상황이 그닥 좋지만은 않은것이 아쉽기만 합니다. 



그래도 당장 적폐로 몰려 사라질 일은 없을거라 생각됩니다.


다 녹슬어버린 에어탱크와 에어라인 그리고 수분필터 아래로 DPF의 모습이 보이네요. 그렇습니다. DPF가 장착되어 있으니 수도권 출입도 가능하고 대놓고 미세먼지 취급기이자 5등급 적폐 취급은 당하지 않을거라 생각됩니다. 이 자리에서 과연 식당이 얼마나 영업할지는 모르겠습니다만, 영업을 마치는 그날까지 제 임무를 충실히 해 주었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