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슬슬 후진기어가 버겁게 들어가기 시작합니다. 보통 4만km 주기로 교환해줬던 미션오일을 요 근래 차에 정이 떨어지면서 계속 탔었는데, 결국 교환해주기로 합니다. 


가장 최근 교환했던게 지난해 1월 보도블럭에 올라탄 뒤 이거저거 수리하면서 등속조인트도 함께 교환했었을때일겁니다. 13만km를 넘지 않았었던걸로 기억하는데 약 5만km 이상을 탔습니다. 여튼 미루고 미루다가 시간이 난 김에 유림모터스로 향했습니다. 송산에 있었을땐 종종 갔었는데, 사업장을 옮기고는 처음으로 찾아보네요.



종전대비 작업장은 훨씬 넓어졌습니다. 포터가 있는 자리에 차를 올리기로 합니다.


다만 통행량이 많은 큰 길가에서 잘 보이지 않는것과 현대제철 문 앞에서 구길을 타고 접근해야 하는지라 여러모로 접근성이 떨어진다는것이 단점이라면 단점입니다. 여튼 이곳을 찾아와 교체하게 된 이유는 순정오일보다 캐스트롤제 변속기 오일이 더 좋기 때문입니다.





차를 리프트 위에 올립니다.


드레인 방식으로 폐유를 내리고, 공압을 이용하는 주입기를 통해 신유를 넣어주는 방식입니다. 후륜 혹은 4륜구동 차량의 디퍼런셜오일(데후오일)과 사실상 같은 규격입니다. 본인이 타는 차량이 어느 규격에 충족하는 오일을 넣어야 하는지 확인한 뒤 규격에 맞는 오일을 넣어주면 됩니다.



폐유가 쏟아져 내려옵니다.


다만, 처음에 확 쏟아져 내려올때 폐유통이 있는 위치와는 전혀 다른곳에 오일이 쏟아져서 바닥에 좀 많이 떨어졌습니다. 1년에 한번. 대략 4만km 주행 후 교체했었던 때와 비교해서 조금 더 짙은. 갈색보다 검은색에 가까운 색을 보이더군요. 약 6만km 이상을 타고 왔으니 당연한 결과라 보여집니다.



주입기를 통해 신유를 주입합니다.


신유의 색은 아주 맑은 식용유 색상입니다. 변속기 안에서 썩고 썩으면 오줌색에서 갈색으로 갈색에서 검정색으로 변해가지요. 오일이 그리 많이 들어가지는 않는지라 신유 주입과정은 간단합니다. 그냥 쑥 넣어주다가 새어나오기 시작하면 한쪽 코크를 닫고, 마저 채운 뒤 남은 코크를 닫아주기만 하면 됩니다.


간단히 교체 완료. 확실히 순정오일 대비 소프트하게 기어가 들어갑니다. R단 변속시 약간 걸리던 증상도 완화되었네요. 앞으로 1년 잘 타 봅시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1부에서 이어집니다.




거북선에서 나오니 작은 요트 하나가 보입니다.


선구자호라고 하는 이 요트는 미국의 한 교포가 1990년 11월부터 91년 6월까지 홀로 LA에서 부산까지 태평양을 횡단했던 요트라고 합니다. 그 이후 해군사관학교에 기증했고 현재까지 전시되고 있다고 하네요. 



해군사관학교박물관쪽으로 방향을 틀어봅니다.


동해수호를 위해, 서해수호를 위해, 남해수호를 위해, 서북도서 방위를 위해 불철주야 노력하는 해군 및 해병대 장병들에게 감사의 한마디를 적어달라고 하네요. 이런건 좀 스타벅스 갈 생각만 하지 말고 젊은 여자들이 적어줘야죠.



해군사관학교 박물관 입구 역시 붐비고 있습니다.


조선시대 수군의 무기 그리고 이순신 장군과 관련된 전시물을 비롯하여 대한민국 해군의 창설 과정과 주요 전투 및 사건들 그리고 제독들과 관련된 전시물들이 있었습니다.



박물관 앞으로는 오래전 퇴역한 함포가 전시되어 있습니다.



초점이 맞지 않지만, 꽃은 활짝 피었습니다.



작은 만에 벚나무들이 심어져 있습니다. 사람들은 좋다고 사진을 찍기 바쁘네요.



간간히 소나무도 섞여있긴 합니다만, 대부분의 나무가 벚나무입니다.



해병대의 퇴역한 장갑차도 보이구요.



해군사관학교 졸업생 전사자 추모비도 바다를 바라보고 있습니다.


대한민국 해군 사상 첫 전투함이던 백두산함의 마스트가 보존되어 있습니다.


70년대 퇴역 당시, 우리나라가 그리 돈이 많던 나라는 아니던지라 함선 전체를 보존하진 못했고 마스트만 따로 보존하고 있다고 하네요.



셔틀버스를 타고 해군사관학교를 빠져나가기로 합니다.


보통 초저상버스가 움직이지만, 급하게 투입된 일반 도시형버스도 보이더군요. 물론 11부두를 거쳐서 들어오는 버스인지라 해군사관학교 앞에서 그리 많은사람이 버스를 타진 못했습니다. 그렇게 약 다섯대정도를 보내고 버스를 탔네요. 물론 출구 역시 막히던지라 금방 갈 거리를 꽤 오래 걸려 도착했습니다.



다시 진해 시내로 나왔습니다.


일단 점심을 먹고 다음 목적지인 여좌천으로 걸어가기로 합니다. 차와 사람으로 바글바글한 이 동네에서 차를 꺼내봐야 좋을건 없으니 말이죠. 확실히 아침에 비해 도로변에 주차된 차도 많이 늘었고 사람도 많이 늘었습니다. 웬만한 식당은 재료가 다 떨어져서 식사가 불가능하다고 얘기하더군요.


그런고로 포장마차에서 소고기국밥을 먹는것으로 점심을 해결하기로 합니다.


- 계속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