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두보기'에 해당되는 글 4695건

반응형


나름 중화요리를 좋아하는 입장에서 내포에서 혼자 중국요리를 시켜먹기엔 항상 제약이 따릅니다.


한그릇도 배달을 해주는 업체가 두군데 있긴 한데 한군데는 별로. 또 한군데는 짜장도 짬뽕도 맛은 그저 그런데 1인분도 배달오니 시켜먹는 수준의 음식점이지요.


물론 2만원 이상 주문해야 배달을 하거나 아예 홀 위주로 영업하는 중식집들도 여러군데 있긴 합니다. 그 중 외지손님들과 함께 와서 짜장면을 먹던 짬뽕을 먹던 손색이 없는 집은 왕짜장이 아닐까 싶네요. 물론 비슷한 이름의 중식집이 내포에 한군데 더 있지만, 제 입맛 기준으로 내포에서 가장 먹을만한 중식집은 왕짜장이 아닐까 싶습니다.




내포 중심상권 청담프라자 2층.


지난주에 인천에서 온 손님과 서산에서 온 손님을 데리고 갔었는데, 사장님께서 중화비빔밥이라는 메뉴가 있다고 언제 한번 먹어보라고 하시기에 딱히 뭐 해먹기도 그렇고 중화비빔밥을 먹으러 왕짜장으로 향했습니다.



다른 메뉴들 사이에 걸려있는 중화비빔밥.


사실 이름도 지난번에 처음 들었습니다만, 대구지역에서 맛 볼 수 있는 중국식 소스가 곁들여진 비빔밥이라고 하네요. 가격은 9천원이라 조금 비싸긴 하지만, 사장님께서 대구에 직접 내려가 비법을 배워왔다 하시니 어떤 맛일지 먹어보기로 합니다.



깔끔한 인테리어의 왕짜장.


바로 조리에 들어갑니다. 건물 바깥에서 보이는 자리가 아니고 창가를 끼고 있는 식당들 사이에 끼어있는 상가인지라 이 건물에 중국집이 있는 줄 모르는 경우도 있을겁니다.



메뉴판입니다. 신메뉴인 중화비빔밥은 적혀있지 않습니다만, 여튼 그렇습니다.


보통 왕짜장에 오면 짬뽕이나 볶음밥을 주문하여 먹습니다. 개인적으로 짬뽕국물이 지나치게 자극적이거나 미원맛이 강하게 느껴지는 중국집들은 별로 좋아하지 않는데, 이 집 짬뽕국물은 조미료맛보다 매콤한 오징어국 맛이 납니다. 전혀 자극적이지 않은지라 선호하는 짬뽕맛입니다. 



반찬은 간단합니다.


김치와 춘장 그리고 단무지와 양파. 물가가 많이 올라 김치를 내주지 않는 중국집들도 요즘은 왕왕 보입니다만, 여느 중국집에 가도 볼 수 있는 흔한 반찬들입니다.


뭔가 볶는 소리가 나더니, 곧 중화비빔밥이 모습을 드러냅니다.



계란후라이가 올라간 중화비빔밥. 매콤한 냄새가 코를 찔러옵니다.


갖가지 야채와 버섯 그리고 오징어와 채썰은 돼지고기를 특유의 중화양념으로 볶아 흰쌀밥 위에 사뿐히 올려놓은게 바로 중화비빔밥입니다. 계란후라이와 함께 잘 비벼서 먹으면 된다고 하네요.



물론 먹을만큼만 조금씩 비비는게 좀 더 맛있게 먹을 수 있다고 합니다만, 다 비벼버렸네요.


일단 매운음식을 잘 먹지 못하는 제 입장에서는 매웠습니다. 매운 음식이 입에 맞지 않는다면 맵지 않게도 조리가 가능하다고 하네요. 매운 음식을 좋아하신다면 더 맵게 해달라고 하셔도 될테고요. 


여러모로 가격이 가격인지라 밥의 양도 1.5공기 수준이였고, 잡채밥보다는 먹을만 했습니다.


일반적인 중식이 질릴때, 다시 한번 찾아가 조금 덜 맵게 주문하여 먹어보기로 합시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오늘의 올드카 목격담은 기아자동차의 1톤트럭 와이드봉고 최후기형입니다.


흔히 볼 수 있는 캡 뒤의 작은 공간이 있는 슈퍼캡(킹캡)이 아닌 일반캡 모델인데, 꽤나 준수한 상태를 자랑하여 사진으로 담아보았습니다.




대천해수욕장 근처 민박촌 길가에 세워진 와이드봉고입니다.


1994년 11월 등록. 기아자동차의 로고가 흔히 말하는 공장 굴뚝에서 연기가 나오는 모양에서 현재까지 사용하는 영문 'KIA' 엠블렘으로 변경된지 얼마 지나지 않아 출고된 차량입니다. 물론 엠블렘으로도 구분 할 수 있지만, 도어에 붙은 동그란 원이 이어지는 데칼로도 구분이 가능합니다.


사실상 기아의 엠블렘이 1994년 1월 변경되었고, 마이너체인지 모델인 J2가 95년 8월에 출시되었으니 과도기적인 성격이 강한 모델이지요. 실내외 전반적인 모습은 차이가 없습니다만,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와이드봉고의 모습은 지난해 10월 금강휴게소 근처에서 목격했었던 차량을 보면 알 수 있습니다.




깔끔한 하얀색 바디에 간간히 스톤칩으로 인해 생긴 외판상의 부식을 제외하면 준수한 상태입니다.



운전석 도어의 데칼은 온전한 상태였지만, 조수석 데칼은 약간 바래있었네요.


그 당시 차량들은 파워스티어링이 나름 비싼 옵션이였고 자랑거리였으니 파워스티어링 스티커도 붙어있습니다. 지난해 금강휴게소에서 보았던 와이드봉고 역시 파워스티어링 스티커가 붙어있었고, 비슷한 시기에 출고되었던 베스타 역시 같은 스티커가 부착됩니다.



적재함은 따로 한번 더 도장을 했었습니다만, 칠이 갈라지고 있습니다.


특이하게도 철제 차바닥은 적재함의 문짝을 제외한 벽과 바닥에만 시공되어 있었습니다.



적재함 뒷문짝은 무슨 이유에서인지 구멍을 뚫어놓았네요.


우측면에 따로 차단기가 장착되어 있고 전반적인 상태로 볼 때 아무래도 포장마차등의 영업에 사용된 차량이 아닐까 싶었습니다.



온전한 상태로 남아있는 OK스티커.


앞유리 역시 공장기아 대신 현재도 사용하고 있는 기아 로고가 박혀있습니다.



실내 상태도 전반적으로 준수했습니다.


주행거리는 약 7만km. 핸들은 그 시절 유행하던 우드핸들로. 기어봉 역시 우드로 교체되어 있더군요.



안전벨트 버클에는 품번과 함께 KS인증마크 스티커가 붙어있습니다.


차량과 함께 25년이라는 오랜 세월을 버텨온 스티커입니다.



전반적으로 상태가 준수했던 이 차량. 나름 귀한 일반캡에 초장축 모델입니다.


운전석 뒤 작은 공간이 없는 일반캡 차량의 경우 의자를 뒤로 눕힐 수 없습니다. 여러모로 정말 최대한의 짐을 적재하기 위해 초장축 적재함이 장착되어 있네요. 이런 경우는 낮에 잠깐 타는 회사 업무용으로나 출고하는 차량이기에 생각보단 출고량이 적고 고되게 굴려지는지라 잔존 개체도 많이 남아있지 않습니다.


여러모로 대천해수욕장 근처에서 보았던 와이드봉고 역시 오랜세월 주인의 사랑을 받으며 굴러다녔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