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오늘의 올드카 목격담은 전주에서 목격한 89년 6월 최초등록된 수입 트럭입니다. 흔히 현대차가 미쓰비시와 기술제휴로 도입했던 중형 혹은 대형트럭을 보고 91A라고 부르곤 합니다만, 일본에서의 정식 명칭은 더 그레이트(The Great) 입니다.

 

이보다 한체급 작은 중형트럭 캔터의 일본 내수용 모델을 기중기로 사용하는 모습을 작년에 목격했었죠. 건설기계인 기중기로 분류되는 해당 차량과는 달리 이번 올드카 목격담의 주인공인 해당 차량은 91A와 흡사하게 생긴 미쓰비시후소 더 그레이트의 수출형 모델입니다.

 

 

미쓰비시후소 파이터 트럭형 크레인(Mitsubishi Fuso Fighter U-FK415ED)

오늘의 올드카 목격담은 이례적으로 건설기계를 다루려 합니다. 말이 건설기계지 사실상 트럭에 기중기를 장착한 형태입니다. 비슷하지만 적재함과 크레인이 달려있는 형태의 카고크레인은 자

www.tisdory.com

 

1989 MITSUBISHI FUSO THE GREAT

전주의 한 공업지대 갓길 주차구역.

그릴에 선명한 MITSUBISHI 레터링이 가는 길을 멈추게 만듭니다. 

 

일본 내수용 차량은 사각형 헤드램프가. 수출형 차량은 4등식 원형 헤드램프가 적용되었습니다. 외관상의 확연한 차이로 수출과 내수용 차량을 구분합니다. 구난차. 즉 렉카차로 사용중인 차량인지라 구난작업에 필요한 크레인이 달려있습니다. 사고를 처리하는 작업과 함께 중대형 차량의 견인이 가능하지요. 대형렉카의 특성상 자주 움직이지 않으니 이렇게 오래된 차량들을 잘 관리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잦습니다. 이 차량 역시 89년 6월에 '랙카트럭'이라는 차량명으로 등록되었고, 최근까지 꾸준히 검사에 통과했습니다.

 

80년대 후반부터 90년대 극초반까지 현대자동차의 91A도 국내에서 생산하여 판매되었지만, 일본에서 수출형 더 그레이트도 다수 수입되었습니다. 당시에도 레미콘 믹서나 덤프 혹은 이런류의 특장차 위주로 수입되었고 사진을 촬영하지는 못했지만 인천에서 레미콘 믹서로 사용중인 91A를 목격했었습니다.

 

평범한 구난차

딱히 특별할건 없습니다.

 

크레인이 어느 회사에서 제작된 장비인지 확인하려 했습니다만, 아쉽게도 도색과 함께 묻혀버려 크레인의 제조사는 알 수 없었습니다. 89년부터 지금까지 30년 넘는 세월을 현장에서 활동하며 많은 차량을 들어 올렸고 견인했을겁니다.

 

당연스럽게도 배출가스 5등급. 정권에 의해 적폐로 규정된 차량이지만, 운행빈도가 적은편이니 큰 문제는 없을겁니다. 어제 누가 댓글로 이 정권하고 관련 없는 일을 엮는다고 오세훈까지 들먹이며 개소리를 씨부리고 가던데, 이전부터 노후경유차의 조기폐차나 저감장치 장착 지원사업은 진행되었지만 이 정권처럼 중국발 미세먼지에는 침묵하며 석탄화력발전소와 노후경유차 더 나아가 디젤차 자체를 적폐 프레임에 넣어 절대악으로 규정하고 탄압하지는 않았습니다.

 

오세훈이 처음 서울시장 하던 시절에 디젤버스 다 퇴출시키고 구로공단 문 닫았다고요? 대도시 한정으로 같은 노선으로 돌고 도는 버스야 다른 연료로 대체가 가능하고 매연을 내뿜는 공장 역시 밖으로 보내고 그 자리에 디지털밸리를 만드는게 가능하겠지만, 기업체와 공공재가 아닌 사유재산인 자동차마저도 마음대로 타지 못하게 만들고 지방 중소도시까지 대도시에 준하는 기준을 들이밀어 폐차장과 수출업자만 돈 왕창 벌게 만들어주는 정권이 원인이 아니면 뭡니까. 그래서 미세먼지가 줄었습니까? 코로나 터지고 중국에서 공장이나 화력발전소 안돌리니 쾌청했죠.

 

요소수 대란 역시 유로3 이하 차량들을 죄다 적폐로 몰아 운행에 제약을 둬 폐차를 유도하고 요소수가 들어가는 신형 디젤차로 교체된 차량이 많았던 영향도 크다고 느껴집니다. 어차피 퇴출이 예정된 차량들을 굴려봐야 얼마나 더 굴리고 뿜어봐야 중국발 미세먼지 대비 얼마나 더 많은 매연을 뿜어대겠습니까?

 

미쓰비시의 흔적

대우차에 쉐보레 붙이듯 개조차량이 아닌가 하고 봤더니만 진짜 일제입니다.

미쓰비시의 흔적들이 남아있습니다.

 

알 수 없는 무언가가 적혀있던 스티커가 붙어있었겠죠. 다른 정보들은 30년 넘는 세월을 견뎌오며 다 지워졌고 'MITSUBISHI MOTORS CORPORATION'만 남아있습니다. 일제 골프용품은 괜찮지만 일본차의 주차장 출입을 금지한다는 골프장에 문제가 생기더라도 갈 수 없는 출입이 불가한 일본차입니다.

 

더욱 확실한 흔적

미쓰비시의 상징인 삼각 마름모 로고가 찍혀있는 유리창입니다.

 

'MITSUBISHI MOTORS CORPORATION'의 약자 'MMC' 역시 볼 수 있네요. 현대자동차에서 생산했던 트럭과 호환되는 부품이 많아 사이드미러 거울은 'HMC' 로고와 함께 현대모비스 정품 홀로그램 스티커가 붙어있는 현대차 부품이고, 차량 전반에 현대와 미쓰비시의 부품이 섞여있었습니다. 자잘한 차이를 제외하곤 동력계통까지 거의 같은 차량이라 봐도 무방하니 차량의 유지보수 역시 전국 어디서나 어렵지 않을겁니다.

 

시계

특이하게도 버스에서나 볼 수 있는 아날로그 시계가 걸려있네요.

시간도 맞고 초침도 잘 돌아가고 있습니다.

 

앞으로의 30년. 가능할까?

시간이 흘러 만 32년의 세월이 지났습니다.

 

깔끔하게 도색되어 지난 세월의 흔적을 쉽사리 느끼기는 어렵습니다만, 앞으로 30년을 더 버틸 수 있을지는 모르겠네요. 지난 세월만큼 도로 위 구난차로 활동하기는 어렵겠지만, 퇴역하는 그날까지 부디 무탈히 움직여줬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29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오늘의 올드카 목격담은 신호대기중 반대편에 정차한 모습을 목격했으나 신호가 바로 바뀌어 지나칠 수 밖에 없었던 1993년 7월에 등록된 옛 아시아자동차의 8톤 렉카(구난차)입니다. 어디선가 전도되어 탑이 훼손된 삼성상용차의 SM510 덤프트럭을 견인하여 어디론가 가고 있었습니다.


지난해 9월 올드카 목격담에서 다뤘던 AM420 견인차와 동일한 모델이지만 후기형입니다.



기아자동차의 상용차 생산 전문 자회사인 아시아자동차는 2000년 기아자동차에 흡수합병되었습니다. 회사 이름이 사라진지 대략 20년의 세월이 지났지만, 그래도 간간히 아시아자동차 시절 생산된 차량들이 돌아다니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아주 가끔 보이는 토픽도 그렇고 이렇게 간간히 견인차로 돌아다니는 모습도 볼 수 있지요.


아시아자동차의 AM트럭은 일본 히노(HINO)社의 슈퍼 돌핀(スーパードルフィン/Super Dolphin)을 기반으로 생산되었던 대형트럭입니다. 84년 출시되어 자잘한 변화를 거친 뒤 중기형까지만 하더라도 히노의 슈퍼돌핀과 큰 차이가 없었지만, 히노에서는 후속 모델인 프로피아(PROFIA)를 출시하고, 아시아자동차는 92년 마이너체인지를 통해 오늘 보게 된 AM트럭과 같은 형태의 2등식 사각형 헤드램프가 적용된 모델을 95년까지 판매하였습니다.


이후 아시아자동차 역시 슈퍼 돌핀 프로피아를 기반으로 제작한 그랜토를 출시하였고, 기아자동차에 합병되어 기아자동차 광주공장으로 재편된 2003년까지 히노자동차에 OEM 형태로 프로피아를 납품하였습니다. 고로 일본에 돌아다니는 슈퍼 돌핀 프로피아는 사실상 기아자동차 광주공장에서 생산된 차량이라 보면 되겠습니다.



익숙하지만 그리 쉽게 보이지 않는 형태의 AM트럭입니다.

사용 빈도가 그리 높지 않고, 비교적 최근 도색작업을 거쳤는지 매우 깔끔한 모습입니다.


등록원부상 차량명칭은 '아시아렉카'. 견인용 크레인은 수산중공업에서 생산했습니다. 경기도 지역의 영업용 번호판을 부착한 영업용 차량이며 93년 7월식이니 본래 물결무늬 혹은 굴뚝로고라 불리는 아시아자동차의 옛 로고가 적용된 차량이지만, 기아자동차 엠블렘이 부착되어 있습니다. 


IMF를 겪으며 아시아자동차의 로고가 기아자동차와 사실상 동일해진 이후 생산된 상용차들은 사실상 회사 이름만 다를 뿐 기아 로고를 함께 사용하였지만 이 차량이 생산되던 시기와는 일절 관련이 없는 일이니 이후에 아시아자동차 엠블럼을 대신하여 붙였다고 봐야 맞겠죠.


조향축과 구동축. 총 2축에 8톤 샷시 위에 크레인을 올려놓아 구난작업에 활용하거나 피견인차를 견인합니다. 사실상 트럭형 크레인이라 보는게 맞을겁니다. 근래에는 소형 견인차처럼 대형 견인차 역시 크레인이 달린 붐렉카 대신 언더리프트 형태의 대형차가 꽤 많이 보급되었습니다.



삼성상용차의 SM510 덤프트럭을 견인하고 있습니다.


견인차는 히노의 슈퍼돌핀. 피견인차는 닛산디젤의 빅썸. 사실상 일본 회사들과의 제휴관계 속에서 라이센스 생산했던 트럭들이니 일본트럭이 일본트럭을 견인한다고 봐도 무방합니다. 30년 가까운 세월이 흐른 오늘날까지도 90년대 렉카가 90년대 덤프를 견인하고 있는 모습을 보게 되었네요.


아무래도 피견인차인 SM510 덤프는 폐차장으로 향하는 길이 아닐까 싶습니다. 물론 AM420 견인차 역시 이 지역에 연고가 있는 차량이 아닌 경기도 영업용 번호판을 달고있었고 사실상 처음 보는 차량입니다. 그렇게 어디론가 가고 있었습니다.



도어 측면에는 AM520 레터링이 붙어있더군요. 

AM5xx 계통은 축이 하나 더 있는 6x4 모델의 코드명입니다.


물론 AM트럭을 기반으로 한 15톤 렉카도 생산되었습니다만, 15톤이라면 축이 하나 더 있어야겠지요. AM520이라는 모델명을 가진 트럭이 아닌 8톤 카고모델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AM420이 확실하다고 생각됩니다. 여러모로 만 27년의 세월을 버텨왔습니다. 물론 소형 견인차에 비해 활용 빈도가 적어 상대적으로 노후화도 덜하리라 생각됩니다만, 수도권에 등록된 차량인만큼 5등급 노후경유차라는 적폐로 몰린 탓에 미래가 걱정되기만 합니다.


운행이 드문 대형 견인차의 특성상 40년 가까운 차령을 자랑하는 차량도 간간히 보이는데 이제 30년을 바라보는 이 차량은 과연 얼마나 버틸 수 있을지 궁굼합니다. 부디 현역에서 오랜세월 버텨주기를 기원합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29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