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오늘의 올드카 목격담은 대전 외곽의 한 골목에서 본 15인승 승합차 토픽과 관련된 이야기입니다.

토픽이라 하면 한국어능력시험 TOPIK을 떠올리는 사람이 많겠습니다만, 승합차 이야기입니다.


근래에도 베스타를 보았고 그동안 베스타는 1년에 한 번 수준으로 목격했지만, 가장 최근에 토픽을 보았던게 대략 5년 전 일로 기억됩니다. 그만큼 베스타보다 토픽이 보기 어렵다는 이야기죠. 2000년대 초중반 이후 급속도로 사라졌습니다.


가장 최근 목격했던 기억이 대략 10년 전 즈음인 초기형 토픽이 아닌 91년 이후 등장한 부분변경 모델인 AM715 하이토픽이지만, 그래도 원체 귀한 차량이다보니 지나가던 길 사진으로나마 남기게 되었습니다.



골목길에 진입하자마자 반겨주는 우리의 하얀 바디의 토픽.


흔히 공장로고라 하는 구형 아시아자동차 엠블렘. 그리고 '충남5 포' 구형 지역번호판. 보이는 외관상의 상태는 그리 좋지 못했습니다만, 올드카의 가치를 더해주지만 보기 힘든 조합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었습니다. 물론 당연하게도 하이베스타처럼 어느정도 각이 완화된 신형 모델입니다만 그래도 정말 오랜만에 목격합니다.


아시아자동차의 토픽은 1986년 출시된 베스타의 롱바디 모델로 1987년 출시되었습니다. 내내 같은 모델인 베스타와의 차이점이라면 베스타보다 작은 창문이 하나 더 있고, 베스타에는 없는 15인승 모델이 존재함과 함께 전후면 디자인이 조금 다른 수준. 그리고 베스타는 소하리에서, 토픽은 광주에서 생산하던게 전부였습니다.


물론 베스타는 로나엔진이라던지, 기아에서 개발한 JS엔진이 적용된다던지 꾸준히 파워트레인의 변화가 있었습니다만 토픽은 출시 초기부터 마쯔다의 XB 2.7 디젤엔진이 적용되다가 90년대 중반 J2엔진의 개발 이후 'J2 토픽'으로 넘어갔습니다.


12인승 이하 모델인 기아자동차 베스타의 경우 프레지오의 등장 이후 염가형 차량으로 생산하다가 1997년 단동되었습니다만, 토픽은 프레지오의 15인승 모델인 '프레지오 그랜드'가 등장한 1999년까지 무려 만 12년동안 생산되었습니다. 



토픽입니다 토픽. 이게 얼마만에 보는 토픽인지요.


AM715 하이토픽입니다. 한 올갱이 전문 식당에서 사용하는 차량입니다. 최초등록은 1993년 4월. 과도기가 아닌 구형 엠블렘을 사용하던 시기에 나온 차량입니다. 아시아자동차의 구형 엠블렘이 선명한 휠캡은 일부 남아있고요. 그럭저럭 덧칠이 된 상태이지만 크게 하자가 될 수준은 아닌듯 보입니다. 물론 세기말까지 생산이 되었던지라 2000년대 중반만 하더라도 기아자동차 엠블렘을 부착하고 상태가 우수했던 J2엔진이 적용된 최후기형 토픽을 흔히 볼 수 있었습니다만, 죄다 수출길에 오른 탓에 갑작스레 도로에서 자취를 감춰버린 차량입니다.


그래도 이렇게 눈에 쉽게 띄지 않는 공간에 간간히 살아남은 토픽이 존재하긴 합니다만, 아마 올드카 애호가들에게 관리받으면서 전국에 살아남은 포니2 픽업보다 훨씬 더 적은 개체수만이 남아있으리라 생각됩니다. 베스타는 그래도 매년 지나가며 한두대정도 보긴 합니다만, 토픽의 경우 후기에 가서는 쌍용 이스타나라는 강한 경쟁상대에 밀리며 판매량이 저조했던 부분과 거의 모든 개체가 수출길에 올랐다 보니 귀해지지 않았나 싶습니다. 


여튼 강력한 중고차 수출의 카오스에서도 살아남은 토픽들의 미래 역시 밝지만은 않습니다. 중국몽 정권에 의해 적폐로 규정된 노후 디젤차이다보니 남은 개체들도 머지않은 시일 내에 사라지리라 생각됩니다.



측면 유리를 보고 토픽과 베스타의 구분이 가능합니다.


베스타는 3열 유리까지 존재합니다만, 토픽은 그 뒤로 작은 유리가 하나 더 붙어있습니다. 어릴적 유치원 통학차량이 하이토픽이였는데, 그 당시 기억을 되살려보면 아마 맨 뒷유리는 열리지 않았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그래서 맨 뒷열에 탑승하면 답답하게 느끼곤 했었습니다.


올갱이요리 전문점에서 사용하기 이전에는 LG전자 대리점에서 사용했던 차량으로 보입니다. 하얀색 페인트로 덧칠을 하기 전 붙어있던 스티커를 제거하지 않아 스티커가 갈라진 모습이 보입니다. '완전평면 LG 프립톤' 그리고 올갱이라 적힌 부분에는 LG전자 대리점의 이름과 전화번호의 흔적이 남아있습니다.



레터링도 흙받이도 그대로 살아있습니다.


덧칠이 된 상태가 아쉽기만 합니다. 물론 그래도 몇 없는 아시아자동차에서 생산된 소형차이자 살아있어서 감사한 토픽입니다만, 레터링도 아시아 로고가 박힌 흙받이와 트렁크 래버도 그대로 살아있데 덧칠이 되어 안타깝습니다.


그나마 대전에 등록된 차량이라면 인구 50만 이상의 시 혹은 광역시에 적용되는 까다로운 정기검사를 통과하지 못하고 폐차되었겠죠. 그나마 충남에 등록되어 충남 번호판을 달고 있는 것이 2020년대를 며칠 남기지 않은 오늘날까지 우리의 하이토픽이 살아있는 이유가 아닐까 싶습니다.


다음에 이 근처에서 밥을 먹게 된다면, 올갱이집에 방문하여 다시 한번 볼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30년 가까운 세월을 버텨온 토픽이 앞으로도 부디 오랜 세월 올갱이집의 마스코트로 남았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현대기아차의 순정 내비게이션 업데이트 프로그램은 매우 편리하게 구성되어 있습니다. 


애초에 현대차그룹 계열사로 지니와 맵피맵을 제작하는 현대엠앤소프트가 존재하고 이 회사에서 맵을 공급하기에 여타 에프터마켓용 맵 공급사들과 비슷한 프로그램으로 맵 업데이트를 진행하며, SD카드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해당 차량에 맞는 맵으로 업데이트를 도와줍니다.


사실상 초등학생이나 나이 많은 어르신이 와도 쉽게 업데이트를 할 수 있는 수준이지요.



물론 이러한 방법으로 제 삼각떼와 그랜져IG의 맵을 업데이트 했었습니다. 그렇지만 상용차 전용 맵이 적용되는 신형 상용차량들은 '스마트 업데이터 플러스'로 업데이트가 제공되지 않습니다. 물론 엑시언트와 유니버스 역시 항목이 있지만 상용전용맵이 아닌 일반맵이 적용되는 구형입니다.


일단 최근 출시된 파비스와 엑시언트 프로. 그리고 신형 유니버스 세 차종에 한해 상용 전용 맵이 제공됩니다. 상용 전용 맵은 높이와 중량을 설정해두면 통행이 제한된 구간을 제외하고 길을 안내합니다. 물론 상용차 전용 맵이 지적용되지 않은 구형차종까지 지원범위를 넓혀갈지는 모르겠습니다만, 여튼 그렇습니다.



엑시언트용 메모리카드 역시 품번이 존재합니다. 96554-7N200


차량 코드명인 QZ와 함께 18년식이라 적혀있는데 차량은 19년식이고 설치된 프로그램 역시 19년형 차량에 맞는 프로그램입니다. 이 카드의 가격은 얼마인지 궁굼하여 검색해보았더니 가격은 나오지를 않네요. 삼각떼용 카드가 9만원. 페이스리프트 전 그랜져IG의 메모리카드가 7만원이였음을 감안하면 대략 그정도 가격은 하지 않을까 싶네요.




현대 상용차 내비게이션 업데이트 서비스 (https://www.hyundaitnbnaviupdate.com/)로 접속합니다.


이미 모젠 이후 나온 여러세대 차종별 내비게이션 업데이트를 지원하는 '스마트 업테이터 플러스'라는 좋은 프로그램을 놔두고 상용차 전용 페이지를 만들어서 그것도 최신차량에 한해서만 다른 프로그램으로 업데이트를 진행하는 이유가 무엇인지는 모르겠습니다만, 아쉬운건 고객이니 하라는대로 해야죠 뭐. 




스마트 업데이트 파트너를 다운로드하여 설치합니다.


설치후 승용차 내비게이션 업데이트 프로그램처럼 실행만 해주면 자동으로 맞는 차종을 찾아 업데이트를 진행합니다. 설령 차종을 찾지 못했더라도 지원차종이 몇 없다보니 블루링크 유무정도만 확인하고 맵 업데이트를 진행하면 됩니다.



대략적인 파일 용량은 10GB가 넘어갑니다.


꽤 오랜시간을 업데이트에 할애했습니다. 시스템 역시 개선이 있었고, 당장은 7월 맵이 최신입니다. 물론 해가 바뀌기 전에 업데이트가 있을지는 모르겠지만, 19년식 9월생산 차량에 18년 10월 맵이 들어있었으니 정말 골때리는 일이였지요. 거기다가 카드는 구형 재탕인지 모르겠지만 18MY가 찍혀있었고요..


여튼 기다림 끝에 모든 과정을 마쳤습니다.



시스템 업데이트 방법을 안내합니다.


업데이트 방법은 승용차와 동일합니다. 정확한 과정이 궁굼하시다면 상단에 아반떼 내비게이션 업데이트 관련 포스팅을 참고하시면 됩니다. 슬롯에 업데이트된 SD카드를 삽입하면 펌웨어 업데이트 파일을 인식하고 먼저 업데이트 여부를 묻습니다. 업데이트는 대략 20분정도 진행되며, 현대 승용차를 타시는 분들이라면 승용차와 같은 방식으로 진행되어 큰 어려움이 없으리라 생각됩니다.


근래들어 고급차량을 시작으로 따로 SD카드에 새 맵을 넣어 줄 필요가 없는 자동으로 업데이트되는 내비게이션이 적용된 차량들이 늘고 있습니다. 앞으로 대략 5년정도 지나면 대중화가 되리라 여겨집니다만 그때까지는 귀찮음을 감수하고 이 작업을 해줘야만 합니다. 뭐 어쩔 도리가 없으니 따라야만 합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