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오늘의 올드카 목격담은 양평의 국도변에서 목격한 트레이드 2.5톤 저상차량입니다.

사진은 가을에 촬영하였으나, 느지막에 올려봅니다.

 

 

1990 기아자동차 트레이드 (1990 KIA TRADE 2.5t TRUCK)

천안의 한 철길 아래 공영주차장. 눈에 띄는 트럭이 한 대 보입니다. 라이노처럼 생겼지만 좀 더 작은. 기아자동차의 2.5톤급 준중형 트럭인 트레이드입니다. 1988년 흔히 알고 있는 타이탄의 후속

www.tisdory.com

 

1995 기아자동차 트레이드 저상 (1995 KIA TRADE LOW DECK)

오늘의 올드카 목격담은 무주의 한 건재상에서 사용 중인 95년식 트레이드입니다. 트레이드는 올드카 목격담에서 많이 다뤘었죠. 특히 천안에서 목격했던 91년식 트레이드는 다음 메인에 오르는

www.tisdory.com

 

이전부터 올드카 목격담에서 꽤 많이 다뤘던 차량이기도 하지요.

 

기아자동차의 준중형급 트럭인 트레이드는 80년부터 89년까지 생산되었던 일본 마쯔다의 2세대 타이탄을 기반으로 88년부터 00년 마이티 2 기반의 파맥스로 대체되기까지 12년간 판매되었습니다. 절대다수가 수출길에 올라 사라졌고 근래까지 생존했던 개체들도 5등급 노후경유차를 적폐로 규정하여 말살시키려는 제도 탓에 꽤 많이 사라졌습니다만, 그래도 그럭저럭 보이긴 합니다.

 

오늘의 주인공인 트레이드는 사각형 헤드램프가 적용된 중기형 모델로, 94년 8월 등록되었습니다. 경기도에 소재하여 수도권으로 묶이지만 사실상 강원도 옆에 붙어있는 군 단위 지자체인 양평군에서 조용히 세월을 보내고 있습니다. 

 

1994 KIA TRADE

'경기 7 프' 지역번호판과 함께 그릴에는 타원형 기아 엠블렘이 붙은 차량입니다. 

 

94년식 차량의 경우 구형 로고와 신형 로고가 섞여있는 차량들이 꽤 많이 보이는데 이 차량 역시 타원형 기아로고와 함께 흔히 공장마크라 불리는 구형 기아 로고가 곳곳에 혼재되어 있었습니다.

 

1994 KIA TRADE 2.5t LOW DECK

30년 가까운 세월을 버틴 실내 상태입니다.

 

육안상 보이는 대시보드의 상태는 전반적으로 깔끔합니다. 주행거리는 약 17만 km. 차령을 고려하면 주행거리는 상당히 짧다고 봐야죠. 이제 만 4년 1개월 지난 제 승용차도 이 트레이드보다 많은 18.4만 km를 탔으니 말이죠.

 

1994 KIA TRADE 2.5t LOW DECK

보조석 시트는 레자커버의 흔적이라도 남아있지, 운전석 시트는 스펀지가 함몰되었네요.

 

대시보드는 완벽하지만, 시트의 상태는 상당히 아쉬웠습니다.

 

천장?

천장은 내장재가 쳐져서 그러는 건지 나무로 기둥을 만들어 놓았네요.

 

직접적으로 태양열을 받는 부분이기도 하니 천장이 떨어지려고 하나 봅니다. 그래서 나무로 기둥을 만들어 내장재를 바쳐주고 있네요.

 

천장

2세대 마쯔다 타이탄처럼 캡 위에는 환풍구가 존재합니다.

 

90년대만 하더라도 에어컨이 없는 차량들이 다수 존재했기에 조금이라도 바람이 통하게 만들기 위해 열고 이렇게 환풍구가 존재했습니다. 옆 느티나무에서 진액이 떨어져서 이미 검게 변했습니다만, 그 형태는 지금껏 유지되고 있었습니다.

 

1994 KIA TRADE 2.5t LOW DECK

깔끔하게 제치 도색을 유지하고 있는 캡처럼 적재함 문짝 역시 조금 험해도 순정 그대로입니다.

 

따로 적재함 평바닥을 시공하지 않았음에도 나무 그늘 아래에서 대부분의 차생을 보냈는지 그럭저럭 깔끔합니다. 후진을 하며 등화관제등 자리가 닿아 찌그러지기도 했고, 안전바 자리는 쇠파이프로 보강해 뒀지만, 짐을 싣고 다니며 험하게 쓸 수밖에 없는 적재함 문짝과 후미등의 상태도 차령을 생각한다면 우수합니다.

 

Power Sreering

그 시절 자랑거리 파워 스티어링(Power Sreering)

최대적재량 2500kg

같은 시기 판매되었던 기아의 트럭들과 같은 폰트의 스티커가 붙어있습니다.

 

스티커가 붙은 자리까지 표면 부식이 올라오고 있지만, 그래도 잘 버티고 있습니다.

 

연료탱크는 타원형 기아 로고

연료탱크는 타원형 로고네요.

 

그릴과 연료탱크는 당시 기준 신형 로고. 적재함과 실내는 구형 로고가 적용된 차량입니다. 당연하게도 매연저감장치는 미장착. 작은 군 단위 동네를 돌아다니기엔 아직까지 큰 무리는 없지만, 요즘같은 계절관리기간에는 멀리 나가면 과태료 폭탄을 맞기 십상입니다.

 

1994 KIA TRADE 2.5t LOW DECK

느티나무 아래에 잘 세워져 있지만, 미래는 알 수 없습니다.

 

노후경유차의 운행을 제한하는 규제 역시 심해지고 있는 상황에 저감장치도 없고 5등급 차량의 조기폐차 지원이 올해를 마지막으로 끝나는 만큼 머지 않은 시일 내 사라질지, 아니면 앞으로도 느티나무 그늘 아래를 지키고 있을지는 모르겠지만 부디 차생이 다하는 그날까지 큰 탈 없이 그 자리를 지켜주었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29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댓글을 달아 주세요

반응형

오늘의 올드카 목격담은 아시아자동차 그리고 기아자동차의 마지막 중형 대형트럭인 그랜토입니다. 95년 출시 이후 2000년 여름 단종까지 대략 5년간 판매되었던 차량이고, 이전처럼 일본 히노(HINO)의 라이센스를 받아 생산했습니다.

 

일본 내수용 차량까지도 기아자동차 광주공장에서 생산했는데, 그랜토가 단종된 이후에도 2004년까지 히노 엠블렘을 부착하여 일본 내수형을 포함하여 동남아시아 및 러시아로 수출했습니다. 일본에서는 '히노 슈퍼돌핀 프로피아'라는 이름으로 판매되었는데, 2세대 모델부터 현행 3세대 모델까지 대만에서 생산하여 일본으로 수입되고 있다고 합니다.

 

2020년 현 시점에서 자일대우상용차(대우버스)가 울산공장을 폐쇄하고 600명 가까운 노동자를 해고한 뒤 베트남에서 차량을 생산하여 수입하겠다는 과정과 관련하여 여러 논란이 붉어지고 있습니다. 우리는 지금 이런 논란을 겪고 있지만, 이미 버블이 절정에 달했던 일본에서는 30년 전 부터 해외 위탁생산 형식으로 상용차를 판매하고 있었습니다. 물론 자일대우가 기술개발을 소홀히 하여 경쟁력을 잃은것도 있지만, 중국산 전기버스에 보조금을 퍼주며 미래의 성장동력인 친환경차 시장까지 중국에 내주려 하고 있고 하루아침에 실직자가 될 처지에 놓인 중견기업 직원들은 나몰라라하는 중국몽 정권을 규탄합니다.

 

본론으로 돌아와 AM트럭의 후속모델로 '대형트럭의 21세기'라는 슬로건과 함께 등장했습니다.

 

조금 먼저 공개되었던 대형버스 그랜버드(GRANBIRD)와 파워트레인과 계기판 등 여러가지를 공유하는 나름의 남매같은 차종이였습니다. 92년부터 생산하던 슈퍼돌핀 프로피아의 한국형 모델인데 AM트럭보다는 그래도 좀 더 보이긴 합니다만, 비슷한 년식의 다른 트럭보다 훨씬 더 보기 어렵습니다.

 

기존 AM트럭의 목격담을 먼저 보고 오시면 좋습니다.

 

2018/10/04 - [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올드카 목격담] - 1994 아시아자동차 AM670 / 1993 대우 프린스.

 

1994 아시아자동차 AM670 / 1993 대우 프린스.

오늘 간단히 지나친 올드카들에 대한 사진입니다. 첫번째로 아시아자동차의 AM트럭입니다. 1984년 일본 히노의 슈퍼돌핀트럭을 기반으로 출시되어 1992년 부분변경 모델의 출시. 그리고 1995년 그

www.tisdory.com

2019/08/08 - [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올드카 목격담] - 아시아자동차 AM420CS 견인차, 기아 점보타이탄 피견인차.

 

아시아자동차 AM420CS 견인차, 기아 점보타이탄 피견인차.

오늘의 올드카 목격담은 한 운전학원에서 사용중인 견인차와 피견인차가 그 주인공입니다. 아시아자동차의 AM420CS 8톤 렉카트럭과 피견인차로 이용중인 기아자동차의 점보타이탄. 물론 시골에

www.tisdory.com

2020/06/20 - [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올드카 목격담] - 1993 아시아자동차 AM420 렉카(견인차)

 

1993 아시아자동차 AM420 렉카(견인차)

오늘의 올드카 목격담은 신호대기중 반대편에 정차한 모습을 목격했으나 신호가 바로 바뀌어 지나칠 수 밖에 없었던 1993년 7월에 등록된 옛 아시아자동차의 8톤 렉카(구난차)입니다. 어디선가

www.tisdory.com

2014/12/04 - [티스도리의 자동차이야기/올드카 목격담] - 아시아자동차 AM트럭 (AM639)

 

아시아자동차 AM트럭 (AM639)

똥차가 귀한 올드카 대접을 받기까지.... 사람이 사양 좋은 새 제품을 좋아하는건 만국 공통이고 본능이라 하지만, 우리나라 사람들은 유난히도 남들에게 보여지는 모습을 중시하다보니 오히려

www.tisdory.com

1995 ASIA MOTORS GRANTO 8.5ton WING-BODY

자주 등장했던 장소죠. 서산의 한 주차장에 주차된 그랜토를 발견했습니다.

 

상당히 보기 힘든 축에 들어가는 차량입니다. 겨우 5년 판매했고 단종도 20년이 넘었습니다. 당연히 보기 어렵죠. 물론 공장이 있던 광주나 전라남도 지역에 가면 타지역보다 더 많이 보인다고는 합니다만, 그것도 대략 10여년 전 얘기니 지금은 광주에서도 쉽사리 보기 어려울겁니다.

 

원부상으로는 4X2 카고모델입니다. 95년 10월에 등록된 '그랜토8.5톤카고트럭'으로 표시됩니다. 물론 당시에도 순정 윙바디 모델이 존재하기는 했지만, 카고트럭으로 굴리다가 이후 윙바디 적재함을 올린듯 보입니다. 전면부는 흰색 페인트로 덧칠이 된 상태. 유리창 위로 누수가 되는건지 실리콘을 도포해놓기도 했네요.

 

런칭 당시 광고에 등장하는 모델이 윙바디 모델입니다.

 

ASIA

아시아자동차 엠블렘 역시 그대로 남아있습니다.

 

흰색 락카를 뿌리다가 칠이 조금 날려 묻기는 했지만 지금은 쉽사리 볼 수 없는 엠블렘입니다. 어디서 살 수 있으면 좀 모아놓고싶은 생각이네요. 97년 IMF 외환위기를 겪으며 아시아자동차의 로고 역시 현행 기아자동차 로고와 동일한 'KIA'를 사용했고 그 이후 기아자동차에 완전히 합병되어 역사속으로 사라졌으니 말입니다. 95년 출고 당시 부착되었던 그대로 25년 넘는 세월을 이 오래된 트럭과 함께 하고 있습니다.

 

1995 ASIA MOTORS GRANTO 8.5ton WING-BODY

가장 작은 8.5톤 모델입니다. 주류 완제품의 운반이 주된 목적인 차량이네요.

 

보통 풀카고 형태의 윙바디로 자주 보입니다만, 풀카고가 아닌 일반적인 카고트럭의 형태로 주차되어 있습니다. 뒤를 보니 견인장치가 없는걸로 보아 풀카고 운행 이력이 있는 차량인지는 모르겠어도 지금과 같은 상태로 주류운반을 하고 다니는 차량으로 보이네요. 전면 덧칠을 제외하고는 색이 거의 다 바랬지만 제치 칠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데칼 역시 색은 바랬지만 위 광고 영상에서도 볼 수 있던 초기형 데칼이 붙어있지요.

 

1995 ASIA MOTORS GRANTO 8.5ton WING-BODY

제치 적재함이 아닌지라 조금은 엉성한 형태입니다.

 

뒤를 따라가다 보면 차종을 쉽게 알 수 없지요. 차주분이 앞 뒤로 직접 칠을 하신듯 보입니다. 지금은 일부 살수차나 특수목적차량으로나 하나 둘 보이지만, 이렇게 영업용 번호판을 부착하고 현역으로 뛰고 있는 25년된 노장 트럭의 모습을 보니 가슴이 벅차오르네요.

 

아까 올드카 목격담 게시물에 누군가가 댓글을 달아놓았더군요. 보여주기식 빈티지 튜닝을 하며 리스토어를 한답시고 거들먹거리는 사람들을 저격하는 내용을 거의 빠짐없이 넣다 보니 그런분들이 당연히 불편하게 생각하시라는건 잘 알고 있습니다. 올드카를 자랑하기 위해 관심받기 위해 탄다고 합니다. 그저 관심받으려고 방송 한 번 타보려고 여기저기 기웃거리며 만들어놓은 차량보다 세월의 흔적은 가득하더라도 생활 속에서 묵묵히 제 임무를 수행하고 있는 이런 차량이 훨씬 더 정이 가고 가치있게 느껴집니다.

 

ASIA MOTORS

사이드미러에도 아시아자동차 로고가 새겨져 있습니다.

 

단 한번도 교체하지 않았을지는 모르겠지만, 얼마 전 올드카 목격담 카테고리에서 다뤘던 콤비나 코스모스처럼 아시아 로고가 선명히 박힌 사이드미러가 부착되어 있습니다.

 

캐빈작동요령

트럭의 캐빈(탑)을 올리는 방법과 내리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해두었습니다.

 

아는 분들은 아시겠지만, 대형트럭의 경우 탑의 틸팅을 위한 틸팅펌프가 따로 존재합니다. 물론 이 펌프가 고장나면 수동으로 펌프질을 해줘야 합니다. 이 스티커에서는 펌프의 사용법만 소개하고 수동 펌프작동과 순서는 취급설명서를 참조하라고 적혀있네요.

 

엔진은 미쓰비시 라이센스로 생산한 현대의 D6AC

휠하우스 안쪽으로 엔진이 보입니다. 제치 엔진은 아닌듯 보이네요.

 

히노 라이센스를 받아 아시아자동차에서 생산했던 8기통 EF750엔진이 아닌 현대의 6기통 Q엔진이 장착되어 있습니다. 흔히 부란자라고 하는 플랜저가 바깥에 붙어있는 모습을 보고 제치 엔진이 아니라 판단하여 찾아보니 D6AC네요. 이런식으로 대부분 오래 버티는 노후 화물차들은 부품 수급이 원활한 현대차 엔진이나 내구성 좋은 쌍용생산 벤츠엔진이 올려진 경우가 많습니다.

 

지나온 25년의 세월처럼 언제까지 도로 위를 달릴지 모르겠지만, 앞으로도 부디 열심히 달려주었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29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댓글을 달아 주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