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오늘의 올드카 목격담은 양주의 한 산업단지 도로변에서 목격했던 대우의 준중형 세단인 누비라 2입니다.

 

그간 올드카 목격담에서 누비라를 종종 다루곤 했었죠. 강남 지역번호판(서울 52)의 초기형 모델도 목격했었고 라세티 출시 이전의 완전 끝물 모델을 폐차장에 가져다주기도 했었고, 같은 2000년식 차량을 고속도로에서 목격하기도 했었습니다. 다만 이 차량은 이전에 목격했던 누비라와 달리 최고사양인 프리미엄 트림에 알루미늄휠팩이 적용된 차량이더군요. 거기에 전국번호판이 아닌 지역번호판까지 그대로 살아있었으니 우연히 공단 안에서 이 차량을 목격하고 온갖 감탄사를 쏟아냈었습니다. 

 

 

[목격] 2000 대우자동차 누비라 2 (DAEWOO NUBIRA II)

오늘의 올드카 목격담은 지난 연휴에 서해안고속도로 정체구간에서 만났던 누비라 2입니다. 대우자동차 군산공장에서 생산되었던 대우의 준중형차 모델 누비라의 부분변경 모델로, GM이 인수한

www.tisdory.com

 

폐차장행, 2002 대우자동차 누비라2. (2002 DAEWOO Nubira II)

누비라. 폐차장으로 가는 오더에 누비라가 찍혀있길래 가 보니 진짜 누비라가 있었습니다. 한때는 지금의 라세티가 죄다 중동으로 수출길에 오르듯 웬만해서는 다 수출길에 오르던 차량입니다

www.tisdory.com

 

[목격] 1994 대우자동차 프린스 / 1998 대우자동차 누비라

오늘의 올드카 목격담은 토요일에 서울에 다녀오며 서울 시내에서 봤던 차량들의 목격담입니다. 둘 다 대우차고, 최소 한 번 이상 다뤘던 차량이기에 간단히 몰아서 다뤄보려 하네요. 먼저 한남

www.tisdory.com

 

대우자동차 군산공장의 준공과 함께 생산을 시작했던 대우의 독자개발 준중형 승용차 누비라는 J100이라는 코드명으로 개발되었고 테라스 해치백 모델과 왜건 모델을 비롯한 다양한 파생차량이 존재했습니다. 이 준중형차의 계보는 라세티-크루즈로 이어졌고, 대우를 인수한 GM은 이러한 대우의 유산을 전 세계에 쉐보레를 비롯한 GM 산하 브랜드로 배지 엔지니어링을 거쳐 판매했습니다.

 

2000 DAEWOO NUBIRA 1.5 DOHC PREMIUM

 

'경기34' 지역번호판이 부착된 누비라 2입니다.

 

2000년 7월 최초등록된 이 누비라는 '경기 34' 지역번호판이 부착되어 있습니다. 경기 34는 의정부시에서 발급된 번호판으로, 양주와 의정부가 사실상 동일한 생활권이라는 점을 생각하면 1인 신조 차량일지도 모르겠습니다. 24년 가까운 세월을 보내왔지만, 상당히 준수한 외관 상태를 지니고 있었습니다.

 

2000 DAEWOO NUBIRA 1.5 DOHC PREMIUM

 

최상위트림임을 알리는 'PREMIUM' 레터링이 붙어있습니다.

 

20여년 전에도 저 프리미엄 레터링이 붙은 차는 그리 쉽게 보지 못했었는데, 그걸 2024년에 와서 보게 되었습니다. 2000년 당시 차값은 1000만 원 수준이었습니다. 24년이 지난 지금 경차 깡통 가격보다도 훨씬 저렴했지요. 

 

의외로 부식이 없다

 

고질적인 쇼바마운트 부식은 확인이 어렵지만, 전반적으론 깔끔한 상태를 유지중입니다.

 

그시절 국산차가 다 그렇듯이 부식에 취약하긴 합니다만, 특히 몇몇 대우차의 경우 상당히 심각한 수준까지 진행됩니다. 특히 이 시기 나왔던 레간자나 누비라의 후륜 쇼바마운트 부식은 상당히 유명하지요. 매그너스나 토스카까지 이러한 부식 문제에서 자유롭지 못하긴 합니다만, 일단 보여지는 외관상의 모습은 상당히 준수했습니다.

 

15인치 알루미늄 휠

 

아마 누비라2를 기억하고 계신 분들도 자주 보진 못했을 휠입니다.

 

15인치 알루미늄휠입니다. 최고사양인 프리미엄에서도 알루미늄휠팩을 선택해야 적용되는 당대 최고사양의 상징과도 같은 휠이었습니다. 대부분 고급형 수준에서 출고했지 프리미엄까지 올라왔던 사람들은 드물었기에 카탈로그가 아닌 이상 공도에선 정말 보기 어려웠습니다.

 

후륜인데 이 차량은 드럼 타입의 브레이크네요. 참고로 누비라 후륜에 디스크 타입의 브레이크가 적용되어 있다면 ABS까지 옵션으로 추가한 차량입니다. 다른 사양들을 종합해본 바 이 차량은 프리미엄에 자동변속기와 알루미늄휠팩만 추가한 차량으로 보였습니다.

 

노에어백

 

ZF제 4단 자동변속기가 적용되었고, 레조와 동일한 3스포크 핸들도 보입니다.

 

이후 핸들리모콘이 추가되며 노에어백 차량도 4스포크 핸들이 적용되었습니다만, 특유의 3스포크 핸들은 언제 봐도 썩 제 취향은 아닙니다. 그리고 누비라의 경우 최고사양까지 올라가도 순정 가죽시트는 존재하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이렇게 프리미엄임에도 레자커버를 씌워놓고 다니시는군요.

 

샤크안테나

 

샤크안테나가 달려있고 배선도 뒷유리 안쪽으로 들어갑니다만..

 

내비게이션은 없었습니다. 스마트폰 내비게이션이 대중화되며 기존의 거치형 내비게이션을 탈거하고 샤크안테나는 정리하지 않은듯 보이네요.

 

스테프 부식은 좀 있다.

 

아래에서 올려보니 사이드스텝 부식은 좀 보입니다.

 

그럼에도 2000년 7월에 태어난 누비라는 나름 준수한 상태로 2024년 5월까지도 생존해 있습니다. 다만 이 누비라가 생산되던 공장은 문을 닫았고, 후속차종 역시 단종되었습니다. 비록 태어난 공장이 사라지고 후손도 존재하지 않지만 앞으로도 지금의 차주분과 함께 도로를 누빌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오늘은 그간 짧게 지나쳤던 차량들의 사진을 모아 왔습니다.

 

인천에서 목격했던 현대정공의 싼타모 휘발유 모델과 서해안고속도로 팔곡터널 부근에서 목격했던 99년식 대우자동차 누비라 2의 사진을 가지고 왔습니다. 둘 다 지역번호판을 부착하고 있었고, 2004년 1월 본격적으로 전국번호판이 도입되며 지역번호판이 부착된 차량들도 차령이 최소 만 20년에 도래함에 따라 이젠 차종과 연식에 상관없이 지역번호판이 부착된 차량들을 사진으로 남겨놓고 있습니다.

 

먼저 인천 송도 부근에서 목격한 자주색 싼타모 가솔린 차량입니다.

 

1996 HYUNDAI SANTAMO 203S

96년 2월 최초등록. 인천 승합 번호판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초보운전 문구가 붙어있네요.

 

현대정공은 갤로퍼의 성공적인 시장 안착에 이어 당시 미쓰비시의 MPV인 샤리오를 기반으로 싼타모를 95년 12월에 출시합니다. 이 차량은 96년 2월에 등록되었으니 초기형 모델이라 할 수 있겠죠. 당시만 하더라도 가솔린 모델만 판매되던 싼타모였고 예상만큼 큰 인기를 끌지 못했습니다만, 이후 LPG 모델의 등장으로 판매량이 획기적으로 늘어났습니다. 여튼 싼타모라 하면 대부분 가스차고, 그 가스차들 마저 거의 수출길 혹은 폐차장의 이슬로 사라졌는데 이렇게 간간히 생존중인 싼타모들. 특초기형에만 잠깐 존재했던 가솔린 싼타모들도 아주 가끔 보이긴 합니다.

 

특히 이 차량은 96년 두 자리 지역번호판이 발급된 지 얼마 지나지 않아 받았던 '가'에 1천 번대 번호판을 부착하고 있습니다. 27년 가까운 세월을 한 주인과 함께 번호판 변경 없이 달리면서 가족의 운전연습용 차량으로 운용되고 있었습니다.

 

 

[목격] 현대 싼타모(2000 HYUNDAI SANTAMO)

2000년대 이후 차량들은 잘 다루지 않지만, 며칠 전 고속도로에서 지역번호판이 부착된 우수한 상태의 싼타모를 목격하여 간단히 사진으로 남겨보았습니다. 95년 연말 출시되어 2002년까지 판매되

www.tisdory.com

 

이전에 고속도로에서 봤던 싼타모 역시 인천 지역번호판을 부착하고 있었죠. 물론 다른 지역에도 싼타모가 생존해 있겠지만, 우연의 일치인지 근래 목격한 싼타모들은 죄다 인천 차량이네요. 불과 10여 년 전만 하더라도 저렴하게 막 굴리는 가스차 취급이던 싼타모가 요즘은 차박열풍과 함께 준 올드카 취급으로 꽤 비싼 가격에 거래되고 있습니다. 다시 가치가 상승하고 있다는 얘기겠지요.

 

돈도 많아서 고급 수입차를 타면서 저 뒤가 아닌 만만해 보이는 거지 도태한남충의 생계형 대우트럭 앞으로 쳐 끼려는 약아빠진 인간들은 필사적으로 방어하지만, 이런 오래된 차는 방향지시등만 잘 켜면 공간을 내서라도 무조건 끼워줍니다. 그래서 초보운전이 붙은 싼타모를 앞에 끼워주고 짧은 시간이나마 이렇게 구경을 할 수 있었네요. 송도에서 앞으로도 주인과 함께 잘 달려주었으면 좋겠습니다.

 

1999 DAEWOO NUBIRA II 1.5 DOHC

다음은 서해안고속도로에서 목격한 대우 누비라 2입니다.

 

파워노믹스라는 캐치프라이즈를 내걸고 출시되었던 누비라 2는 누비라의 부분변경 모델로 99년 3월 출시되었습니다. 이 차량 역시 99년 6월에 최초로 등록된 차량이니 초기 물량이라 보면 되겠죠. 기존 누비라의 특색 없던 디자인에서 21세기 느낌의 세련된 디자인으로 풀체인지급 부분변경을 거쳤고, 당시 아반떼를 직접적으로 겨냥한 광고는 아직까지도 회자되고 있습니다.

 

 

[목격] 2000 대우자동차 누비라 2 (DAEWOO NUBIRA II)

오늘의 올드카 목격담은 지난 연휴에 서해안고속도로 정체구간에서 만났던 누비라 2입니다. 대우자동차 군산공장에서 생산되었던 대우의 준중형차 모델 누비라의 부분변경 모델로, GM이 인수한

www.tisdory.com

 

폐차장행, 2002 대우자동차 누비라2. (2002 DAEWOO Nubira II)

누비라. 폐차장으로 가는 오더에 누비라가 찍혀있길래 가 보니 진짜 누비라가 있었습니다. 한때는 지금의 라세티가 죄다 중동으로 수출길에 오르듯 웬만해서는 다 수출길에 오르던 차량입니다

www.tisdory.com

 

최근에도 올드카 목격담에서 다뤘던 차량이지요. 둘 다 00년, 02년 차량이니 이 누비라들보다 훨씬 먼저 출고된 차량입니다.

 

1999 DAEWOO NUBIRA II 1.5 DOHC

99년 6월 최초등록. 서울 53. 송파구에서 발급된 지역번호판이 부착되어 있습니다.

 

여기저기 긁힌 부분이 큼지막하게 보이는지라 상태는 그럭저럭입니다만, 육안상 부식은 보이지 않네요. 만 24세를 바라보는 나이에 노익장을 과시하며 요즘차들과 대등하게 달리고 있었습니다. 근데 이거 자세히 살펴보니 최고사양이네요. 보조제동등이 기본 적용되는 프리미엄 트림에, 30만원짜리 15인치 알루미늄 휠 옵션까지 적용되었습니다. 추가적으로 에어백을 비롯하여 다른 옵션이 적용되었는지 여부는 파악이 불가하지만, 육안상의 모습만으로 판단해도 최고사양인 프리미엄 트림에 알루미늄 휠 옵션을 넣은 차량은 맞습니다.

 

1999 DAEWOO NUBIRA II 1.5 DOHC

서울의 부촌 송파구에서 차생을 보내며 힘차게 지방으로 내려가던 누비라도 그렇게 멀어져 갑니다.

 

24년의 세월동안 현대차를 이겨보겠다며 공격적인 마케팅 활동을 펼쳐오던 대우자동차는 역사 속으로 사라졌고, 야심 차게 누비라를 만들던 군산의 공장 역시 증손자뻘 되는 차량을 얼마 만들지 못하고 결국 문을 닫았습니다. 좋은 주인을 만나 아직도 이 땅을 누비는 누비라지만, 감정이 있다면 작금의 현실을 매우 안타깝게 느끼고 있을 겁니다. 쉐슬람들은 대우를 부정하고, 생산되었던 공장마저 사라졌지만 좋은 주인과 함께 앞으로도 대한민국을 누벼주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