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트럭'에 해당되는 글 13건

반응형

 

오늘의 올드카 목격담은 대우의 8톤 트럭이 그 주인공입니다.

 

중형인 5톤트럭에 대형트럭용 고하중 타이어를 장착하고, 대형캡 그리고 각 메이커마다 가장 길다며 온갖 수식어를 붙여 판매하는 초장축 적재함을 옵션으로 선택하면 사실상 8톤 대형트럭이라 부르던 차량과 큰 차이 없는. 트럭을 톤수로 구분하기엔 혼란이 오는 시대에 살고 있습니다. 개별면허 기준으로 이러한 차량에 가변축을 장착하여 5톤 트럭의 적재량을 합법적으로 9.5톤까지 늘릴 수 있습니다. 

 

그런 시대에 4X2 형태의 가변축이 없는 8톤트럭 시장은 사장되었습니다. 가변축을 장착한 5톤 축차들과의 경쟁에서도 밀리니 8톤 트럭 차주들도 차량 교체 시 5톤 축차를 구입하여 이러한 행렬에 합세하거나 가변축을 달아 상급 트럭들의 짐을 넘봅니다. 당연히 순수한 4X2 형태의 8톤 트럭도 카탈로그에는 존재합니다만, 가변축을 장착하여 증톤 하지 않고 순정 상태 그대로 출고하여 타는 경우는 보기 드문. 환상 속의 자동차가 되었습니다.

 

서울에 올라가던 중 간단히 점심거리라도 사먹고 가기 위해 서해안고속도로 매송휴게소에 들렀는데 저 멀리 구형 대우 트럭이 보이더군요. 흔히 640 365T라 부르던 그 트럭입니다.

 

1994 DAEWOO 4X2 8t TRUCK

92년부터 판매된 최후기형으로 분류되는 대우 대형트럭입니다.

이후 94년에 미묘한 변경이 있었지만, 큰 차이는 없습니다. 원부상 최초 등록은 94년 4월이네요.

 

이전에 올드카 목격담에서 사실상 식당차(?)로 사용하던 차량을 다루기도 했었죠. 해당 차량은 저감조치가 되어있어 적폐 취급은 당하지 않지만 사실상 고정시켜두어 언제 달렸는지도 모르는 상황이었습니다. 그래도 이 차량은 영업용 번호판을 부착하고 최신형 트럭들 사이에 당당히 주차되어 있습니다. 당연히 고속도로 휴게소에서 목격했으니 직접 달려서 휴게소에 들어왔겠죠.

 

크기도 훨씬 커지고 성능도 좋아진 21세기 트럭들 사이에 1970년대 이스즈 뉴 파워(ニューパワー)트럭을 기반으로 대우중공업에서 라이선스 생산하던 MAN 엔진을 올리고, 대우에서 독자적으로 디자인을 다듬은 그런 20세기 트럭은 2022년 오늘도 달리고 있습니다.

 

해당 사진을 촬영하고 바로 다음날 시화공단에서 후기형으로 분류되는 86-92년형 대우 대형트럭을 목격했습니다만, 카메라를 켜는 순간 반대편에서 바로 사라져 버렸습니다. 해당 차량과 함께 소개했더라면 정말 좋았을 텐데 아쉽기만 합니다.

 

나름 신형 대우트럭과 구형 대우트럭.

일반 슬리퍼캡 프리마 트랙터와 나란히 세워져 있습니다.

차종은 달라도 포지션은 같은 캡입니다. 20년 넘는 세월을 버티며 크고 웅장해졌습니다.

 

하이돔 트랙터가 아닌 일반적인 대형 슬리퍼캡이니 사실상 같은 포지션의 캡입니다. 90년대 대형트럭의 슬리퍼캡과 2010년대 대형트럭의 슬리퍼캡이 나란히 세워져 있습니다. 프리마와 올해 출시된 부분변경 모델인 맥쎈이 사실상 동일한 캡을 사용하니 과거의 대우트럭과 현재의 대우트럭을 함께 보는 자리라 해도 이견은 없을 겁니다.

 

앞으로 30년 가까운 세월을 보낸 뒤 지금의 대우트럭과 미래의 대우트럭을 나란히 세워둔다면 어떤 느낌일까요. 내연기관의 종말 친환경차의 전환을 앞둔 이 시점에서 90년대 대우 대형트럭이 얼마나 버틸지는 모르겠습니다만, 부디 앞으로도 무탈히 도로 위를 달릴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오늘의 올드카 목격담은 신호대기중 반대편에 정차한 모습을 목격했으나 신호가 바로 바뀌어 지나칠 수 밖에 없었던 1993년 7월에 등록된 옛 아시아자동차의 8톤 렉카(구난차)입니다. 어디선가 전도되어 탑이 훼손된 삼성상용차의 SM510 덤프트럭을 견인하여 어디론가 가고 있었습니다.


지난해 9월 올드카 목격담에서 다뤘던 AM420 견인차와 동일한 모델이지만 후기형입니다.



기아자동차의 상용차 생산 전문 자회사인 아시아자동차는 2000년 기아자동차에 흡수합병되었습니다. 회사 이름이 사라진지 대략 20년의 세월이 지났지만, 그래도 간간히 아시아자동차 시절 생산된 차량들이 돌아다니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아주 가끔 보이는 토픽도 그렇고 이렇게 간간히 견인차로 돌아다니는 모습도 볼 수 있지요.


아시아자동차의 AM트럭은 일본 히노(HINO)社의 슈퍼 돌핀(スーパードルフィン/Super Dolphin)을 기반으로 생산되었던 대형트럭입니다. 84년 출시되어 자잘한 변화를 거친 뒤 중기형까지만 하더라도 히노의 슈퍼돌핀과 큰 차이가 없었지만, 히노에서는 후속 모델인 프로피아(PROFIA)를 출시하고, 아시아자동차는 92년 마이너체인지를 통해 오늘 보게 된 AM트럭과 같은 형태의 2등식 사각형 헤드램프가 적용된 모델을 95년까지 판매하였습니다.


이후 아시아자동차 역시 슈퍼 돌핀 프로피아를 기반으로 제작한 그랜토를 출시하였고, 기아자동차에 합병되어 기아자동차 광주공장으로 재편된 2003년까지 히노자동차에 OEM 형태로 프로피아를 납품하였습니다. 고로 일본에 돌아다니는 슈퍼 돌핀 프로피아는 사실상 기아자동차 광주공장에서 생산된 차량이라 보면 되겠습니다.



익숙하지만 그리 쉽게 보이지 않는 형태의 AM트럭입니다.

사용 빈도가 그리 높지 않고, 비교적 최근 도색작업을 거쳤는지 매우 깔끔한 모습입니다.


등록원부상 차량명칭은 '아시아렉카'. 견인용 크레인은 수산중공업에서 생산했습니다. 경기도 지역의 영업용 번호판을 부착한 영업용 차량이며 93년 7월식이니 본래 물결무늬 혹은 굴뚝로고라 불리는 아시아자동차의 옛 로고가 적용된 차량이지만, 기아자동차 엠블렘이 부착되어 있습니다. 


IMF를 겪으며 아시아자동차의 로고가 기아자동차와 사실상 동일해진 이후 생산된 상용차들은 사실상 회사 이름만 다를 뿐 기아 로고를 함께 사용하였지만 이 차량이 생산되던 시기와는 일절 관련이 없는 일이니 이후에 아시아자동차 엠블럼을 대신하여 붙였다고 봐야 맞겠죠.


조향축과 구동축. 총 2축에 8톤 샷시 위에 크레인을 올려놓아 구난작업에 활용하거나 피견인차를 견인합니다. 사실상 트럭형 크레인이라 보는게 맞을겁니다. 근래에는 소형 견인차처럼 대형 견인차 역시 크레인이 달린 붐렉카 대신 언더리프트 형태의 대형차가 꽤 많이 보급되었습니다.



삼성상용차의 SM510 덤프트럭을 견인하고 있습니다.


견인차는 히노의 슈퍼돌핀. 피견인차는 닛산디젤의 빅썸. 사실상 일본 회사들과의 제휴관계 속에서 라이센스 생산했던 트럭들이니 일본트럭이 일본트럭을 견인한다고 봐도 무방합니다. 30년 가까운 세월이 흐른 오늘날까지도 90년대 렉카가 90년대 덤프를 견인하고 있는 모습을 보게 되었네요.


아무래도 피견인차인 SM510 덤프는 폐차장으로 향하는 길이 아닐까 싶습니다. 물론 AM420 견인차 역시 이 지역에 연고가 있는 차량이 아닌 경기도 영업용 번호판을 달고있었고 사실상 처음 보는 차량입니다. 그렇게 어디론가 가고 있었습니다.



도어 측면에는 AM520 레터링이 붙어있더군요. 

AM5xx 계통은 축이 하나 더 있는 6x4 모델의 코드명입니다.


물론 AM트럭을 기반으로 한 15톤 렉카도 생산되었습니다만, 15톤이라면 축이 하나 더 있어야겠지요. AM520이라는 모델명을 가진 트럭이 아닌 8톤 카고모델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AM420이 확실하다고 생각됩니다. 여러모로 만 27년의 세월을 버텨왔습니다. 물론 소형 견인차에 비해 활용 빈도가 적어 상대적으로 노후화도 덜하리라 생각됩니다만, 수도권에 등록된 차량인만큼 5등급 노후경유차라는 적폐로 몰린 탓에 미래가 걱정되기만 합니다.


운행이 드문 대형 견인차의 특성상 40년 가까운 차령을 자랑하는 차량도 간간히 보이는데 이제 30년을 바라보는 이 차량은 과연 얼마나 버틸 수 있을지 궁굼합니다. 부디 현역에서 오랜세월 버텨주기를 기원합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