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통산 두번째 엔진오일 교체 + 첫 디퍼런셜 오일 교체입니다.

 

주행거리가 4만km를 향해 달려가고 있습니다. 1만km 넘기고 교체했었는데, 시간이 잠시 비어 근처 타타대우 정비소인 고대모터스에 들려 엔진오일을 교체했습니다. 또한 흔히 데후오일이라 하는 디퍼런셜 오일도 함께 교체했습니다.

 

매뉴얼상 교체주기는 엔진오일 3만km, 디퍼런셜 오일 4만km입니다. 다만 상용차 특성상 경제성도 생각해야 하고 주기를 지키기 어려워 3개월 6개월 등 주행거리와 관계없이 기간으로 교체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일단 새차니까 첫 주기는 칼같이 지켜주기로 하고, 엔진오일은 주기를 비슷하게 지키더라도 다른 오일류의 경우 좀 길게 잡아도 될 것 같습니다.

 

 

211224 프리마 카고트럭 엔진오일 교체+구리스 주입

프리마 카고트럭 주행거리 10,000km 돌파! 출고 약 2개월이 지나지 않은 시점에서 1만km를 넘겼습니다. 사실 11월말 ~ 12월 초에 보름정도 차를 세우지 않았더라면 좀 더 일찍 넘어갔겠죠. 영업용 치

www.tisdory.com

 

39,299km

입고 당시 주행거리 39,299km.

 

아마 빠르면 이번주, 늦어도 다음주 안에는 4만km의 벽을 넘어서리라 예상됩니다. 언제 갑자기 바빠질지 모르니 일단 입고했습니다. 지난번 축 문제 보상안으로 엔진오일 2회 교체권을 받았던지라 무상으로 진행합니다.

 

다행히 대기중인 차량이 없어 바로 오일교환 전용 도크로 입고합니다.

 

엔진오일 드레인중

탑을 들어올려 필터를 꺼내고 드레인 코크를 열어 기존 오일을 배출합니다.

 

간단한 점검 이후 다시 새 엔진오일을 주입해줍니다. 승용차 대비 크기가 클 뿐 작업과정은 동일합니다. 무상으로 에어크리너와 오일필터까지 나온다고 하네요. 에어컨 필터만 제 돈을 주고 구입하여 교체하면 된다고 합니다.

 

교체될 소모품들

교체될 소모품들입니다.

 

대우트럭 박스에 담겨있는 물건은 에어크리너. 우측 녹색 봉지에 담겨있는 물건은 에어컨 필터입니다. 좌측 CNH 인더스트리얼 로고로 된 박스는 오일필터네요. 에어크리너는 국내 생산품이지만, 오일필터는 FPT에서 공급하는 제품입니다. 지난번에 자비로 교체하며 보니 저 필터만 7만원이더군요.

 

같은 엔진이 적용되는 이베코 센터에서는 과연 얼마에 판매하는지 모르겠습니다만, 대우 기준 7만원이라는 상당히 비싼 가격에 공급되고 있었습니다. 같은 엔진이라 호환되고 타타대우를 통해 공급되는 제품이 더 저렴하다면 이베코 차주들도 다 저거 가져다 쓰겠죠.

 

에어컨 필터 교체

에어컨필터는 냉각수통 위에 자리잡고 있습니다.

 

매뉴얼상 주기는 1만km입니다만, 오일 교체시 함께 교환해주는지라 차주는 크게 신경쓰지 않아도 된다고 하네요. 그럼에도 먼지가 많은 현장에서 운용하는 차량들의 경우 필터만 따로 구입하여 매주 혹은 매달 교체해준다고 합니다. 지난번 당진모터스에서 엔진오일을 내렸을 때 교체하지 않았으니 사실상 처음으로 뜯어보았네요. 매우 검게 오염된 필터가 나왔습니다.

 

승용차 에어컨필터도 6개월 ~ 1년 주기로 교체하는데, 뭐 이거 좀 교체 늦게 한다고 죽는거 아니잖아요?

 

새 에어크리너와 오일필터

기존 에어크리너와 오일필터. 새 에어크리너와 오일필터의 모습입니다.

 

3만km 가까이 주행하며 오염된 상태입니다. 털어서 쓰기도 어렵습니다. 오일필터 카트리지도 엔진오일에 쩔어 검은색이네요. 여튼 무상교체시 함께 제공된다고 합니다. 제 돈 주고 사서 쓰면 오일값까지 35만원정도 나옵니다.

 

필터류를 교체하고 새 오일을 주입해줍니다. 이후 구리스 주입기로 곳곳에 구리스를 주입해줬습니다.

 

디퍼런셜 기어 오일 교체

흔히 데후오일이라 얘기하는 디퍼런셜 오일도 함께 교체합니다.

 

매뉴얼상 교체주기는 4만km. 신차이고 주기에 도래했으니 교체해주기로 합니다만, 이후에는 1년 주기로 교체하라고 하네요. 이번에 내린 오일을 보니 1년 주기로 교체하고 타도 크게 상관은 없어보입니다.

 

폐유 색

폐유의 색이 그렇게 더럽지는 않습니다.

 

거의 투명한 신유 대비 조금 어두워지긴 했습니다만, 그렇다고 심각한 수준은 아닙니다. 승용차도 4만km 주기로 교체를 권장하는데 이보다 더 극한의 상황에서도 버틸 수 있게 설계된 대형상용차인지라 조금 높게 잡아도 상관은 없을겁니다. 1년까진 좀 그렇다 싶으면, 10개월을 주기로 잡아도 큰 상관은 없을겁니다.

 

타타대우 순정 트랜스미션 오일

API GL-4 80W90 규격의 미션오일입니다.

 

수동변속기용 오일과 겸해서 사용합니다. 이건 승용차도 마찬가지입니다. 변속기 오일의 교체주기는 30만km 이상이니 아직까진 먼 얘기입니다. 그간 디퍼런셜 기어 오일로 수차례 주입 될 예정이네요.

 

새 오일 주입

구동축은 두개. 당연히 디퍼런셜 기어도 두개가 있습니다.

 

기존 오일 배출하고 새 오일 넣고, 같은 방식으로 처리합니다. 그래도 따로 주입구가 있어 일부 승용차처럼 배출구에서 강제로 밀어넣지 않아도 상관없군요. 들어가는 오일의 양도 꽤 많습니다.

 

결제완료

에어컨 필터(향균필터)가 12,100원.

DAEWOO도 아니고 데우오일 33리터가 274,300원.

 

필터값 빼고 데후오일. 즉 디퍼런셜 오일 교체비용만 쳐도 30만원입니다. 한 번에 여러 오일을 교체하면 부담이 꽤 크다는 이야기겠죠. 여튼 교체했으니 별 문제 없이 달리기를 기원하며 잘 타봅시다. 다음 엔진오일 교체는 7만km 즈음에서 진행하기로 합시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슬슬 후진기어가 버겁게 들어가기 시작합니다. 보통 4만km 주기로 교환해줬던 미션오일을 요 근래 차에 정이 떨어지면서 계속 탔었는데, 결국 교환해주기로 합니다. 


가장 최근 교환했던게 지난해 1월 보도블럭에 올라탄 뒤 이거저거 수리하면서 등속조인트도 함께 교환했었을때일겁니다. 13만km를 넘지 않았었던걸로 기억하는데 약 5만km 이상을 탔습니다. 여튼 미루고 미루다가 시간이 난 김에 유림모터스로 향했습니다. 송산에 있었을땐 종종 갔었는데, 사업장을 옮기고는 처음으로 찾아보네요.



종전대비 작업장은 훨씬 넓어졌습니다. 포터가 있는 자리에 차를 올리기로 합니다.


다만 통행량이 많은 큰 길가에서 잘 보이지 않는것과 현대제철 문 앞에서 구길을 타고 접근해야 하는지라 여러모로 접근성이 떨어진다는것이 단점이라면 단점입니다. 여튼 이곳을 찾아와 교체하게 된 이유는 순정오일보다 캐스트롤제 변속기 오일이 더 좋기 때문입니다.





차를 리프트 위에 올립니다.


드레인 방식으로 폐유를 내리고, 공압을 이용하는 주입기를 통해 신유를 넣어주는 방식입니다. 후륜 혹은 4륜구동 차량의 디퍼런셜오일(데후오일)과 사실상 같은 규격입니다. 본인이 타는 차량이 어느 규격에 충족하는 오일을 넣어야 하는지 확인한 뒤 규격에 맞는 오일을 넣어주면 됩니다.



폐유가 쏟아져 내려옵니다.


다만, 처음에 확 쏟아져 내려올때 폐유통이 있는 위치와는 전혀 다른곳에 오일이 쏟아져서 바닥에 좀 많이 떨어졌습니다. 1년에 한번. 대략 4만km 주행 후 교체했었던 때와 비교해서 조금 더 짙은. 갈색보다 검은색에 가까운 색을 보이더군요. 약 6만km 이상을 타고 왔으니 당연한 결과라 보여집니다.



주입기를 통해 신유를 주입합니다.


신유의 색은 아주 맑은 식용유 색상입니다. 변속기 안에서 썩고 썩으면 오줌색에서 갈색으로 갈색에서 검정색으로 변해가지요. 오일이 그리 많이 들어가지는 않는지라 신유 주입과정은 간단합니다. 그냥 쑥 넣어주다가 새어나오기 시작하면 한쪽 코크를 닫고, 마저 채운 뒤 남은 코크를 닫아주기만 하면 됩니다.


간단히 교체 완료. 확실히 순정오일 대비 소프트하게 기어가 들어갑니다. R단 변속시 약간 걸리던 증상도 완화되었네요. 앞으로 1년 잘 타 봅시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