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쓰비시후소 더 그레이트'에 해당되는 글 2건

반응형

 

아마 지난달로 기억합니다. 상차를 위해 공장에 입차하니 흔히 91a라 부르는 트럭이 보이더군요. 가서 차주분과 이야기를 나누고 차량 사진을 찍어 올 수 있었습니다.

 

흔히 91a라 부르는 현대 대형트럭은 미쓰비시 후소의 더 그레이트를 라이선스 생산했던 차량입니다. 85년 출시 이후 97년까지 12년간 자잘한 변화를 거치며 판매되었고 2020년대 중반인 현재도 종전보다 영업용으로 굴러다니는 차량을 보기는 어려워졌지만 이렇게 영업용으로 운행되는 모습을 간간이 볼 수 있지요. 살아있는 개체들 중 중형트럭이나 믹서 덤프가 절대다수이긴 하지만 오늘 목격했던 차량과 같은 일반 대형 카고트럭도 가끔씩 돌아다니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1989 미쓰비시후소 더 그레이트 구난차 (三菱ふそう・ザ・グレート)

오늘의 올드카 목격담은 전주에서 목격한 89년 6월 최초등록된 수입 트럭입니다. 흔히 현대차가 미쓰비시와 기술제휴로 도입했던 중형 혹은 대형트럭을 보고 91A라고 부르곤 합니다만, 일본에서

www.tisdory.com

 

 

1995 현대정공 뉴 갤로퍼 밴 / 1992 현대11톤카고트럭 (91A)

오늘의 올드카 목격담은 95년 12월 등록된 뉴갤로퍼 밴과 92년 2월 등록된 현대 11톤 카고트럭입니다. 둘 다 화물차로 분류되는 차량들이지만, 나름대로 의미가 있어 사진으로 남겨두었고 이렇게

www.tisdory.com

 

3년 전 목격했던 일본에서 수입된 구난차와 지난해 목격했던 11톤 카고트럭의 포스팅이 존재하네요. 지난해 고속도로에서 목격했던 92년식 11톤 카고트럭은 15년식 트라고 엑시언트로 대차 되었습니다. 얼마 전 심심해서 종전에 올드카 목격담에서 다뤘던 차량들이 현재까지 생존중인지 확인했었는데 상당수의 차량들이 말소되었더군요. 언제 사라져도 이상하지 않은 차량들인지라 이렇게 기록으로 남기려고 하는 겁니다.

 

1996 현대18톤초장축카고트럭

 

그냥 현대 대형트럭 혹은 91a라 부르곤 합니다만 원부상 정식 명칭은 현대18톤초장축카고트럭.

96년 8월에 최초로 등록된 만 28년의 세월을 달리고 또 달렸던 차량입니다.

 

28년의 세월이 무색하게 느껴질 수준으로 깔끔하게 관리가 되었습니다. 영업용 차량임에도 이정도 상태로 도로를 달리고 있다는 사실은 차주분께서 꽤나 신경을 쓰고 타신다는 이야기가 되겠죠. 흔히 91a라 부르는 차량으로만 놓고 본다면 최후기형입니다. 97년형이 존재하긴 하나 크게 달라진건 없거든요.

 

28년의 흔적 치곤 깔끔하다

 

FRP로 보수했던 흔적이나 사이드미러에서 흘러내려온 녹물도 보이지만 이정도면 준수하지요.

 

이제 15년차 20년차에 접어든 트라고나 노부스 같은 차량들도 이보다 더 나쁜 상태로 다니는 경우가 상당히 많은데 96년부터 지금껏 도로 위를 달리는 차량이라는 사실을 감안하면 사당히 준수합니다. 본넷의 경우 HYUNDAI 레터링 스티커의 간격이 일정치 않은 것으로 보아 교체 혹은 도색을 하지 않았나 생각되는데 이후에 또 무슨 일이 있었는지 크게 티는 나지 않지만 찌그러져 있는 상태였습니다.

 

DPF 적폐청산 면제

 

노후경유차를 적폐로 규정하여 말살시키고 있습니다만, 살아남았습니다. 

1종 배출가스 저감장치인 DPF가 장착되어 수도권도 마음껏 다닐 수 있습니다.

 

중국발 미세먼지에는 침묵하며 원인을 석탄화력발전소와 노후경유차를 대놓고 적폐 범주에 넣었던 이전 정권에서도, 이전보다 언급은 덜하지만 내내 노후경유차의 조기폐차를 유도하는 지금 시점에서도 아무런 문제 없이 달릴 수 있는 차량입니다. DPF를 장착한지도 꽤 오래되었는지 DPF 스티커도 흔적만 남아있네요.

 

지금까지 생존한 개체들 중 저감장치를 장착하지 않은 차량은 지방에 등록된 일부를 제외하면 거의 없을 겁니다.

 

직사각형 2등식 헤드램프

 

직사각형 형태의 2등식 헤드램프와 특유의 凸모양 방향지시등입니다.

 

91년 이후로 대형차종의 경우 헤드램프가 원형에서 사각형으로 변경되었고, 최후기형인 97년형에 와서 이 사각형 헤드램프의 크기가 조금 커지긴 했습니다만, 육안상 큰 차이는 없다고 합니다.

 

`96 환경만족

 

96년식 현대차들에 붙어있던 이 스티커. 기억하시는 분들 계시련지 모르겠습니다.

 

그레이스 포터같은 차량부터 이런 대형차까지 96년 환경기준을 충족했다는 의미에서 이 스티커를 붙여 출고되었는데 지금껏 이 스티커가 붙어있다는 이야기는 도색이나 탑갈이 같은 큰 수리가 없었다는 이야기겠죠. 그럼에도 별다른 관통부식 하나 보이지 않는 상태를 유지하고 있었습니다.

 

8x4 카고

 

흔히 말하는 앞사바리. 1축과 2축이 조향축인 차량입니다.

 

1축이 운전자보다 뒤에 있어 좁은 골목길을 꺾어 들어가기 조금 불리합니다만, 현대는 2006년 트라고부터 대우는 2022년 맥쎈부터 1축이 조금 더 앞으로 나오게 되었습니다. 이런 앞사바리 트럭의 경우 현대자동차에서 국내 최초로 15톤 8x4 차량을 출시했었고, 이후 97년형 차량에 순정 가변축이 장착된 25톤 10x4 모델이 출시되었습니다. 

 

사제 가변축
사제 가변축

 

8x4 18톤 차량으로 출고되었으나, 출고 이후 3축에 가변축을 장착하여 10x4를 만든 차량입니다.

 

순정 25톤 차량이 출시되기 전까지 이렇게 18톤 19톤 차량을 출고하여 밖에 나와 가변축을 장착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3축에 가변축을 장착하는 차량들이 다수였습니다만, 이 시절 판매된 오래된 차량들에도 5축에 가변축을 장착한 경우가 보이기도 합니다. 심지어는 요즘 판매되는 수입차처럼 후축이 조향까지 되는 경우도 봤었습니다.

 

현재는 현대나 대우와 같은 국산 브랜드 기준으로 순정으로 가변축이 장착된 10x4 형태의 차량이 중축 후축 할 것 없이 순정으로 판매되고 있습니다만, 이 시절만 하더라도 짐을 더 싣고 다니기 위해 밖에 나와 따로 가변축을 장착하였다고 합니다. 이러한 수요에 대응하고자 25톤 모델이 출시된 것은 이후의 일입니다.

 

적재함만 교체되었다.

 

적재함과 안전바만 엑시언트용으로 바꾸셨더군요.

 

그래서 년식대비 깔끔한 적재함 상태를 보여주고 있었습니다. 다만 적재함과 안전바만 교체했지 테일램프는 그대로 사용하고 있었습니다. 차주분께서는 인천에서 충청도를 다니는 흔히 말하는 시내바리 운행을 하고 계신답니다. 주행거리가 길지 않고 차량에도 큰 애정을 쏟고 계시기에 아마 28년의 세월을 무탈히 버틸 수 있지 않았나 생각됩니다. 도로 위에서 다시 만날 그날까지 부디 무탈히 달려주었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오늘의 올드카 목격담은 전주에서 목격한 89년 6월 최초등록된 수입 트럭입니다. 흔히 현대차가 미쓰비시와 기술제휴로 도입했던 중형 혹은 대형트럭을 보고 91A라고 부르곤 합니다만, 일본에서의 정식 명칭은 더 그레이트(The Great) 입니다.

 

이보다 한체급 작은 중형트럭 캔터의 일본 내수용 모델을 기중기로 사용하는 모습을 작년에 목격했었죠. 건설기계인 기중기로 분류되는 해당 차량과는 달리 이번 올드카 목격담의 주인공인 해당 차량은 91A와 흡사하게 생긴 미쓰비시후소 더 그레이트의 수출형 모델입니다.

 

 

미쓰비시후소 파이터 트럭형 크레인(Mitsubishi Fuso Fighter U-FK415ED)

오늘의 올드카 목격담은 이례적으로 건설기계를 다루려 합니다. 말이 건설기계지 사실상 트럭에 기중기를 장착한 형태입니다. 비슷하지만 적재함과 크레인이 달려있는 형태의 카고크레인은 자

www.tisdory.com

 

1989 MITSUBISHI FUSO THE GREAT

전주의 한 공업지대 갓길 주차구역.

그릴에 선명한 MITSUBISHI 레터링이 가는 길을 멈추게 만듭니다. 

 

일본 내수용 차량은 사각형 헤드램프가. 수출형 차량은 4등식 원형 헤드램프가 적용되었습니다. 외관상의 확연한 차이로 수출과 내수용 차량을 구분합니다. 구난차. 즉 렉카차로 사용중인 차량인지라 구난작업에 필요한 크레인이 달려있습니다. 사고를 처리하는 작업과 함께 중대형 차량의 견인이 가능하지요. 대형렉카의 특성상 자주 움직이지 않으니 이렇게 오래된 차량들을 잘 관리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잦습니다. 이 차량 역시 89년 6월에 '랙카트럭'이라는 차량명으로 등록되었고, 최근까지 꾸준히 검사에 통과했습니다.

 

80년대 후반부터 90년대 극초반까지 현대자동차의 91A도 국내에서 생산하여 판매되었지만, 일본에서 수출형 더 그레이트도 다수 수입되었습니다. 당시에도 레미콘 믹서나 덤프 혹은 이런류의 특장차 위주로 수입되었고 사진을 촬영하지는 못했지만 인천에서 레미콘 믹서로 사용중인 91A를 목격했었습니다.

 

평범한 구난차

딱히 특별할건 없습니다.

 

크레인이 어느 회사에서 제작된 장비인지 확인하려 했습니다만, 아쉽게도 도색과 함께 묻혀버려 크레인의 제조사는 알 수 없었습니다. 89년부터 지금까지 30년 넘는 세월을 현장에서 활동하며 많은 차량을 들어 올렸고 견인했을겁니다.

 

당연스럽게도 배출가스 5등급. 정권에 의해 적폐로 규정된 차량이지만, 운행빈도가 적은편이니 큰 문제는 없을겁니다. 어제 누가 댓글로 이 정권하고 관련 없는 일을 엮는다고 오세훈까지 들먹이며 개소리를 씨부리고 가던데, 이전부터 노후경유차의 조기폐차나 저감장치 장착 지원사업은 진행되었지만 이 정권처럼 중국발 미세먼지에는 침묵하며 석탄화력발전소와 노후경유차 더 나아가 디젤차 자체를 적폐 프레임에 넣어 절대악으로 규정하고 탄압하지는 않았습니다.

 

오세훈이 처음 서울시장 하던 시절에 디젤버스 다 퇴출시키고 구로공단 문 닫았다고요? 대도시 한정으로 같은 노선으로 돌고 도는 버스야 다른 연료로 대체가 가능하고 매연을 내뿜는 공장 역시 밖으로 보내고 그 자리에 디지털밸리를 만드는게 가능하겠지만, 기업체와 공공재가 아닌 사유재산인 자동차마저도 마음대로 타지 못하게 만들고 지방 중소도시까지 대도시에 준하는 기준을 들이밀어 폐차장과 수출업자만 돈 왕창 벌게 만들어주는 정권이 원인이 아니면 뭡니까. 그래서 미세먼지가 줄었습니까? 코로나 터지고 중국에서 공장이나 화력발전소 안돌리니 쾌청했죠.

 

요소수 대란 역시 유로3 이하 차량들을 죄다 적폐로 몰아 운행에 제약을 둬 폐차를 유도하고 요소수가 들어가는 신형 디젤차로 교체된 차량이 많았던 영향도 크다고 느껴집니다. 어차피 퇴출이 예정된 차량들을 굴려봐야 얼마나 더 굴리고 뿜어봐야 중국발 미세먼지 대비 얼마나 더 많은 매연을 뿜어대겠습니까?

 

미쓰비시의 흔적

대우차에 쉐보레 붙이듯 개조차량이 아닌가 하고 봤더니만 진짜 일제입니다.

미쓰비시의 흔적들이 남아있습니다.

 

알 수 없는 무언가가 적혀있던 스티커가 붙어있었겠죠. 다른 정보들은 30년 넘는 세월을 견뎌오며 다 지워졌고 'MITSUBISHI MOTORS CORPORATION'만 남아있습니다. 일제 골프용품은 괜찮지만 일본차의 주차장 출입을 금지한다는 골프장에 문제가 생기더라도 갈 수 없는 출입이 불가한 일본차입니다.

 

더욱 확실한 흔적

미쓰비시의 상징인 삼각 마름모 로고가 찍혀있는 유리창입니다.

 

'MITSUBISHI MOTORS CORPORATION'의 약자 'MMC' 역시 볼 수 있네요. 현대자동차에서 생산했던 트럭과 호환되는 부품이 많아 사이드미러 거울은 'HMC' 로고와 함께 현대모비스 정품 홀로그램 스티커가 붙어있는 현대차 부품이고, 차량 전반에 현대와 미쓰비시의 부품이 섞여있었습니다. 자잘한 차이를 제외하곤 동력계통까지 거의 같은 차량이라 봐도 무방하니 차량의 유지보수 역시 전국 어디서나 어렵지 않을겁니다.

 

시계

특이하게도 버스에서나 볼 수 있는 아날로그 시계가 걸려있네요.

시간도 맞고 초침도 잘 돌아가고 있습니다.

 

앞으로의 30년. 가능할까?

시간이 흘러 만 32년의 세월이 지났습니다.

 

깔끔하게 도색되어 지난 세월의 흔적을 쉽사리 느끼기는 어렵습니다만, 앞으로 30년을 더 버틸 수 있을지는 모르겠네요. 지난 세월만큼 도로 위 구난차로 활동하기는 어렵겠지만, 퇴역하는 그날까지 부디 무탈히 움직여줬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