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고트럭'에 해당되는 글 14건

반응형


오늘의 올드카 목격담은 각포터의 페이스리프트(뉴포터) 최후기형 더블캡 모델입니다.


지난번에는 92년식 와이드봉고도 목격했었고, 오래된 트럭들의 경우 상대적으로 더블캡보다는 싱글캡 모델이 많이 남아 있습니다. 이유가 무엇인지는 잘 모르겠으나 어디 준수한 상태로 남아있는 구형 트럭들은 대부분이 일반캡도 더블캡도 아닌 1열 뒤 작은 쪽유리가 붙어있는 슈퍼캡 모델이더군요. 물론 판매량이 월등히 많아 개체수가 많이 남아있겠지만, 여튼 오래된 더블캡 모델을 보는건 그리 쉬운 일은 아닙니다.


지난 토요일 포항에서 본 97년형 포터 더블캡입니다.



포터의 시초격인 HD1000을 1세대로 가정하고 본다면, 2세대 페이스리프트 모델의 최후기형입니다.


이후 출시된 개구리캡의 뉴포터가 3세대, 현행 모델인 포터2가 4세대 모델이 되겠죠. 여튼 3세대 개구리캡의 뉴포터의 일반캡과 슈퍼캡은 1996년 3월에 출시되었지만, 더블캡의 경우 1997년 3월 말까지 생산 및 판매되었습니다. 이 차량도 원부상으로는 97년형이고 같은 해 2월에 등록되었다고 나오네요.


여튼 제가 어디서 구라를 치는게 아니냐고 하실 분들께 1997년 뉴포터 더블캡 출시 당시 기사 링크를 걸어놓아 봅니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01&aid=0004241000



최후기형 차량의 특징으로 초장축 모델의 울트라 롱(ULTRA LONG) 스티커와 진청색의 바디컬러가 대표적입니다.


1993년부터 95년까지의 2세대 부분변경 모델의 경우 초장축 스티커 자리에 한글로 포터라 적힌 스티커가 붙고, 백색과 함께 하늘색 계통의 바디컬러가 적용되었습니다. 3세대 모델에 적용된 진청색과 비슷한 바디컬러가 적용된 2세대 구형 모델의 경우 96년 이후 생산된 차량이라 봐도 무방하지요. 



차량 상태는 뭐.. 그럭저럭이긴 했습니다만, 생각보다 잘 달렸습니다.


상태야 뭐 그럭저럭이지만, 눈이 잘 내리지 않는 경상도 지역인지라 부식은 크게 없었습니다. 같은 엔진에 터보가 달려 약 10마력정도 출력이 높은 갤로퍼가 그래도 쉽게 추월은 합니다만, 짐이 있어도 훨씬 가볍다보니 그래도 100km/h 이상 달리며 노장의 저력을 보여주고 있었습니다.



그렇게 엎치락 뒤치락 잘 달리다가 헤어졌습니다.


97년 2월 등록. 2세대 최후기형 더블캡 포터는 어딘지 모를 목적지를 향해 잘 달려갔겠지요. 22년간 달려온 만큼 큰 문제가 없다면 아마 앞으로도 오랜 세월을 주인과 함께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여튼 무탈히 사랑받으며 지냈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구금강3교에서 발견한 와이드봉고입니다.


와이드봉고는 마쯔다의 3세대 봉고를 기반으로 1989년 출시되어, 95년 부분변경 모델인 'J2'를 포함하여 97년까지 판매된 기아자동차의 소형트럭입니다. 보통 J2는 별개로 치고 와이드봉고라 하면 89년부터 94년식 모델까지를 칭하기도 하지요. 여튼 92년형을 기점으로 기존 와이드봉고 헤드라이트가 조금 더 와이드하게 변하기도 했습니다.



충북 8. 구형 지역번호판을 달고있는 매우 깔끔한 상태의 중기형 와이드봉고.


그렇습니다. 초기형은 헤드램프가 조금 작고, 흔히 보았던 중기형 와이드봉고의 모습입니다. 조회해보니 92년 8월에 등록된 모델이네요. 여튼 광은 나지 않아도 육안상 큰 흠집 하나 없이 잘 보존된 차량입니다. 번호판 역시 크게 바랬다는 느낌이 없었고요. 적재함에는 호루가 씌워져 있어 아마 포장마차 형태로 사용하는 트럭으로 보입니다.



잘 살아있는 OK스티커.


근 30년 가까운 세월동안 빛을 보아온지라 변형은 있었지만 공장기아 로고까지 선명히 살아있습니다.



차량 내부에는 낚시 찌를 비롯하여 낚시용품들이 놓여져 있었습니다.



깔끔한 내부. 도어트림에 들뜬곳 하나 없고, 시트도 대시보드도 어디 하나 깨지고 찢어진 부위 하나 없습니다.


경이롭습니다. 먼지 하나 없다니... 비록 영업을 위한 수단이지만, 차주분께서 소중히 다루시는 모습이 사진 너머까지 느껴집니다. 특성상 주행거리는 약 9만km 수준으로, 많이 타지 않을 걸 떠나 아직도 좋은 컨디션을 유지하고 있으리라 여겨집니다.



유리창에는 사각형 모양의 썬팅지가 붙어있는데....


이미 오래전 에쓰오일로 사명을 변경한 쌍용정유의 로고가 붙어있습니다. IMF 여파로 인한 쌍용양회의 지분매각으로 사실상 그룹 계열사에서 벗어나 지금의 사명으로 변경된게 2000년이니 썬팅지가 부착된지 최소 18년의 세월이 흘렀습니다.



전반적으로 눈에띄는 부식 하나 없이 양호한 상태입니다.


여기저기 찍힌 부분이 존재하긴 하고 문짝과 차체 그리고 적재함의 칠 색이 좀 다르지만, 30년 다 된 트럭이 이 상태라면 주변의 시선을 끌기에도 충분합니다. 거기에 분진 하나 없이 잘 관리된 휠 상태 역시 완벽한 수준입니다.



후미등 주변으로는 깨진부위와 락카칠을 했던 흔적이 보이긴 합니다.


그래도 제치 스티커도 다 살아있고, 이정도면 준수하지요.



전착도장 적재함임을 자랑스럽게 내세우고 있습니다.


그렇습니다. 지금이야 뭐 전착도장이 일반적인 제작공정입니다만, 당시만 하더라도 이렇게 내세울만한 자랑거리였습니다. 큰 부식 없이 잘 관리된 이시절 전착도장 적재함이, 툭하면 썩어버리는 요즘의 포터와 봉고 적재함보다 품질면에서는 더 우수하지 않은가 싶네요.



최대적재량 1000kg 스티커 역시 잘 붙어있습니다.


세월이 세월인지라 스티커도 바래고 일부 뜯겨나가긴 했지만 말이죠.



반대편은 상대적으로 색바램이 덜합니다.



와이드봉고 레터링과 파워스티어링 레터링.


파워스티어링 레터링은 새로 가져다 붙인듯 보입니다.



칠의 상태는 반대편 대비 온전하다만, 상대적으로 기스나 흠집은 반대편 대비 많이 보이네요.


그렇습니다. 밤새 내리던 비를 피해 금강변에서 위로 올려둔 차량입니다만, 며칠 뒤 다시 가보면 금강휴게소 뒷편 금강변에서 천막을 펼쳐놓고 손님을 맞이하고 있겠죠. 부디 앞으로도 지금까지의 세월에 준하는 오랜세월을 금강휴게소 근처에서 손님을 맞으며 오래오래 살아있었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