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오늘의 올드카 목격담은 광주광역시의 한 아파트 주차장에서 목격한 봉고 프런티어입니다.

 

그냥 흔히 볼 수 있는 트럭인 봉고 프런티어가 대수냐 하겠지만, 각별한 차량관리로 방송에 나왔던 차량입니다. 이 방송을 본방송으로 봤던 저 역시 9년이 지났어도 생생히 기억하고 있을 정도입니다.

 

2012년 2월 16일 SBS '세상에 이런 일이' 679회에 '14년 된 새 차!'라는 제목으로 방영되었고, 당시 어머니 산소에 가던 길에 진흙탕을 만나 차를 세워놓고 걸어가시던 모습과 타이어에 낀 작은 돌까지 빼내시는 모습에 감탄했었습니다. 14년간 주행했던 주행거리가 1만 7천 km. 9년이 넘었으니 지금은 이보다 더 타셨겠지만, 주행거리는 크게 늘어나지 않았으리라 생각됩니다.

 

킥보드 거래를 위해 광주에 내려갔다가 그냥 올라가려던 참에 이 영상이 촬영되었던 장소가 1km 거리에 있어 잠시 들려 차량이 세워진 모습만 보고 왔습니다.

 

2012년 2월 16일 방송 당시 영상

과연 이 봉고 프런티어가 아직까지 살아있을까? 싶은 생각에 해당 아파트로 향했습니다.

 

allvod.sbs.co.kr/allvod/vodEndPage.do?mdaId=22000003005

 

679회 순간포착 세상에 이런 일이 : All VOD

 색깔맞춤 부부 [충청북도 청주시] 언제 어디서든! 머리부터 발끝까지! 빨강으로 도배한 부부! 두 사람의 사랑만큼 불타는 빨강으로 색맞춤을 한 부부를 소개합니다! 

allvod.sbs.co.kr

광고가 좀 많긴 하지만 24분부터 보시면 이 봉고 프런티어를 애지중지 하시는 차주분의 영상을 볼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보유하고 계신다면 2021년인 현재 기준으로 23년 가까운 세월을 타고 계시다고 봐야겠죠.

 

그 모습 그대로 존재한다.

그 모습 그대로 프론티어 더블캡이 세워져 있습니다.

 

멀리서 봐도 빛이 나는 수준입니다. 다만 조수석 문짝의 색이 조금 다르네요. 방송 당시 우측 사이드미러에 모비스 딱지가 붙어있는 것으로 보아 누군가 주차장에서 차를 빼다가 긁고 가서 수리를 받았던 자리가 아닌가 싶습니다. 방송 당시에는 얼마 지나지 않았던 시점인지라 색 차이가 없었지만, 세월이 흐르며 미묘한 색 차이가 나는 게 아닐까 생각됩니다.

 

스포티지보다 더 영롱하게 빛난다.

옆에 세워진 스포티지보다 더 영롱하게 빛이 납니다.

 

앞유리 상단에 붙은 교통방송 스티커도 그대로 남아있고, 방송 당시와 차이점이라면 파란색 문콕 방지 스펀지가 붙은 모습 말곤 딱히 없어 보입니다. 내려서 좀 자세히 보고 오고 싶었지만, 앞에 사람도 있고 시간도 촉박했던지라 그냥 민트급 봉고 프런티어가 그대로 살아있다는 사실만 확인하고 왔습니다.

 

지나면서 잠시 본게 전부.

지나면서 잠시 보고 온 게 전부입니다만, 아직도 그 상태 그대로 깔끔하게 유지 중이셨습니다.

 

신차를 그냥 냉동차 수준으로 애지중지 관리하셨던 차주분도 뵙고싶습니다. 다만 이렇게 애지중지 지하주차장에 세워만 놓았음에도 5등급 노후 경유차로 낙인찍혀 퇴출 대상으로 찍혀버린 마당에 앞으로의 미래가 밝지만은 않습니다. 그냥 신차라 해도 될 컨디션임에도 운행에 지장을 받겠지요. 부디 앞으로도 차주분과 함께 오랜 세월 사랑받으며 지하주차장을 지켰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오늘의 올드카 목격담은 1996년에 생산된 진청색 포터 더블캡입니다.


예전에 한 번 97년식 차량으로 다뤘던 적이 있었죠. 미쓰비시 델리카의 2세대 모델을 기반으로 만들었던 각포터의 부분변경 모델입니다. 흔히 개구리 포터라 불리던 신형 모델이 96년 출시되었고 델리카 3세대를 기반으로 생산했지만, 더블캡 모델은 97년까지 구형 포터로 판매한 뒤 출시되었습니다.



여튼 이번에 목격한 차량은 정상적인 주행이 가능한 차량이 아닌 방치차량이였습니다.



대천 외곽. 서해안고속도로 교각 아래에 버려진 진청색 포터가 눈길을 끌었습니다.


그렇습니다. 최후기형 차량에 아주 잠시 적용되었던 진청색입니다. 96년 7월에 등록된 차량입니다. 두자리 지역번호판이 발급되던 시기에 나왔던 차량입니다. 경기도 지역번호판을 부착하고 왜 멀리 충청도 외곽에 버려졌는지는 잘 모르겠습니다만, 버려진지 꽤 오랜 세월이 지났음을 한 눈에 봐도 알 수 있을 정도입니다.



적재함 상태도 그리 좋아보이지는 않습니다.


적재함 문짝은 다 떨어진 상태에 자세히 보면 프레임이 휘어 차량이 약간 접혀있는 느낌입니다. 가까이 다가가 보기로 합니다.



적재함 바닥에 뚫려버린 구멍 아래로 보아하니 프레임이 휘어있는 모습이 보입니다.


대체 어떻게 해야 이렇게 휘어버릴까요. 사고 충격으로 휘어버렸다고 보기에는 너무 멀쩡합니다. 아무래도 압류와 저당이 해결되지 않아 정상적인 폐차는 불가하니 이렇게 외딴곳에 버려두고 도망갔겠지만, 처량한 상태로 굴다리 아래에서 쓸쓸히 여생을 보내고 있습니다.



신차 출고 당시 부착했던 바코드의 흔적도 볼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기록되었던 내용은 확인 할 수 없는 상태였습니다.



무단방치차량 자진처리 안내문이 붙어있네요.


2020년 6월 4일까지 처리하지 않으면 강제처리 및 범칙금을 부과하겠다는 내용의 계고장인데 처리예정일이 한참 지났지만 아직 강제로 폐차장에 보내지지는 않았습니다. 주인이 있어도 사정이 있으니 이런곳에 버리고 간 것인데, 자진해서 처리를 하는 경우는 극소수를 제외하곤 없습니다.



차체 이곳저곳에 부식이 올라오고 있습니다만, 색만 바랬을 뿐 데칼은 온전히 살아있습니다.


가끔 재도장 이후 일반 싱글캡용 데칼을 붙여놓는 경우도 보이는데, 이 차량은 제치 데칼이 붙어있었습니다.



운전석 방향으로 진입하려 했지만, 하천으로 내려가는 급격한 경사로와 우거진 수풀이 가로막네요.


그렇습니다. 최소 풀들이 자라나기 전 방치되기 시작했다는 얘기겠지요. 운전석 문짝에는 데칼이 떨어져 나간 상태입니다. 여러모로 좀 더 자세히 탐구를 하고 싶었지만, 많은 제약이 있어 더이상의 탐구는 포기하기로 합니다.



앞유리는 누군가가 던진 아스팔트 덩어리에 의해 깨져있는 상태입니다.


차량 실내로 빗물과 먼지가 유입된 모습입니다. 여러모로 안타까운 몰골로 자리를 지키고 있습니다만, 강제처리가 예고 된 상황이라 근 시일 내에 사라지지 않을까 싶습니다. 차생의 마지막을 굴다리 아래에서 처참한 몰골로 보내고 있는 포터가 매우 안타깝게 느껴지네요.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