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지난 3월에 대략적인 시안 관련 글을 올렸었습니다만, 죄다 건너뛰고 작업기를 올리게 되는군요. 


사실 시안 작업도중 작업자의 사정에 의해 측면과 전면 범퍼정도만 완성된 시안을 받았고 나머지는 비비데칼 사장님께 담배 부탁드렸습니다. 그렇게 잊고 지내다가 날려버린 페인트가 차체에 묻은 뒤 며칠 지나지 않아 타이밍이 맞아 입고를 시켰고요. 


떼어내느니 차라리 가리는 방법을 선택했습니다. 그동안의 경험으로 랩핑이 붙은 상태로 몇년 놔둔 뒤 떼어내면 자잘한 입자는 스티커와 같이 떨어지겠거니 생각하고 말이죠.


작업은 별다른 수정 없이 당장 출력이 가능한 측면 먼저 이루어지고 디자인을 다듬어 나머지 부분을 랩핑하는 방식으로 진행하기로 했습니다. 캐릭터는 지난번 시안 그대로 갑니다. '시라이 쿠로코'


이미 여러번 방문하여 익숙한 비비데칼. 풍기동 이마트 근처에 소재하고 있습니다.




보셨을지 모르겠지만 비교적 최근 커뮤니티 사이트를 뜨겁게 달구던 이미지입니다.


중국에서 벽걸이 에어컨에 스카우터를 사용하는 드래곤볼 베지터의 모습을 단색 데칼로 표현한 모습을 보고 훨씬 더 퀄리티 높은 컬러판을 제작하여 붙인 내용으로 인싸 반열에 오르셨습니다. 판매 요청도 많이 받았다고 하는데, 판권이 무서워 그냥 혼자 만들어 붙이는걸로 만족하셨다고 하네요.


P.S 누군가 표절하여 겁없이 판다고 하던데... 여튼 그렇습니다.



처음 왔던 5년 전에 비하면 장비도 늘었고, 휑하던 작업장 역시 무언가가 많이 늘어났습니다.


초창기만 하더라도 실사출력물은 외주를 받아오셨는데 지금은 실사 스티커 역시 현장에서 출력,코팅,컷팅이 이루어집니다. 가면 갈수록 무언가 늘어나는 느낌입니다.



비를 맞고 입고.


비를 맞은 관계로 부착작업은 다음날부터 진행하기로 합니다. 물기가 묻은지라 당일 부착은 어렵고, 잘 말리고 닦아낸 뒤 일단 주요 부품들부터 탈거하기로 합니다.



생각보다 도어캐치 탈거가 쉽더군요.


문짝 안쪽에 동그란 커버를 열고 십자드라이버로 풀어준 뒤 도어캐치가 들리는 부분의 커버를 뜯어내고 잡아당기면 쉽게 떨어집니다. 도어트림을 뜯고 뭐고 할 거 없이 이렇게 쉽게 떨어지는줄은 처음 알았습니다.



도어캐치 탈거 완료.


도어캐치에 붙은 스위치 역시 컨넥터 방식으로 연결되어 있어 컨넥터만 빼주면 쉽게 탈거가 됩니다. 오래 전 나온 차량들도 이렇게 쉽게 빠질지 모르겠습니다만, 여러모로 추우 DIY를 위한 탈거시에도 쉽게 뺄 수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더럽게 안떨어지던 후미등 역시 틈 사이에 타올을 끼워서 잡아당긴 뒤 탈거합니다.



트렁크 커버 탈거.


트렁크 커버의 핀을 모두 제거한 뒤 손잡이 커버를 열고 그 속 10mm 피스 두개를 풀어줍니다. 탈거 방법에 대한 공부 역시 제대로 하고 왔습니다.



트렁크 버튼 겸 현대 엠블렘 탈거.


뉴라이즈를 시작으로 삼각떼 그리고 DN8까지 현대에서 출시되는 세단차종들의 경우 일체형 트렁크버튼이 적용됩니다. 물론 처음 접하는 경우 버튼이 어디 있는지 한참 헤메이는 경우가 많습니다만, 디자인적으로도 깔끔하니 괜찮고 앞으로 현대 세단의 상징이 될 아이템이 아닐까 싶습니다.



트렁크 커버를 분해한 뒤 볼트 두개를 풀어주니 정말 쉽게 탈거됩니다.


구조가 꽤나 복잡할 줄 알았습니다만 의외로 간단하더군요. 버튼 모듈 위에 양면테이프로 현대 엠블렘이 붙어있는 구조입니다. 엠블렘을 떼어낸 뒤 랩핑을 하고 다시 엠블렘을 붙여주면 됩니다.



그저 철판에 스위치를 심어놓았다 생각했는데 이런 플라스틱 스위치가 하나 더 들어가는 겁니다.



후방카메라 역시 쉽게 탈거가 가능합니다.


고정 브라켓을 바깥쪽으로 밀어 제거하고 핀을 눌러 트렁크 바깥방향으로 밀어내면 탈거됩니다.



라이트는 범퍼를 내려야 하니 윗 볼트만 풀어버리고 스티커를 밀어넣는 방식으로 작업을 진행하기로 합니다.



이미 출력된 측면 실사랩핑지.


특유의 솔벤잉크 냄새가 납니다. 부디 갈라지지 않고 오래 버텨주었으면 좋겠네요.



측면 부착작업이 끝난 사진을 받았습니다.


빨강색처럼 보이는데 레드에서 힘이 좀 빠진 색입니다. 사진상으로는 소방차 느낌이지만, 실제 눈으로 본 컬러는 진한 주황색과 다홍색에 가깝습니다. 여튼 말로 설명하기엔 미묘한 색입니다. 순정보다는 당연히 밝지요.


이번 컨셉은 팝아트. 팝아트틱한 캐릭터와 팝아트스러운 보색들을 사용하여 동적인 레이싱카 비슷한 느낌을 주고 있습니다. 완성 된 뒤에 자세히 보여드릴게요. 여튼 작업은 진행되고 있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평소에 내장탕 곱창 순대와 같은 음식을 매우 좋아합니다만, 지금까지 먹어 본 내장탕 중 단연 최상위에 올려도 손색이 없을 내장탕을 만나게 되어 기록으로 남겨둡니다. 7천원이라는 가격에 정말 퍼준다 싶을 수준으로 내장이 많이 들어있는 내장탕은 처음 먹어보았습니다.


홍성군 광천읍. 아직도 초등학교 교과서에 광천 토굴새우젓과 관련된 이야기가 나오는지 모르겠습니다만, 토굴 새우젓으로 유명한 광천읍 외곽에 소재한 식당입니다.



어느 동네를 가나 보일법한 오래되고 평범한 동네 식당입니다.


식당 상호가 곱창집인만큼 중심이 되는 메뉴는 곱창구이와 찌개 그리고 내장을 가지고 만드는 내장탕입니다. 점심시간대 손님들은 대다수가 그냥 인원수만 얘기하고 내장탕을 먹습니다.






식당 내부도 평범합니다. 그리 많지 않은 테이블들. 조금 늦게 오면 자리가 없습니다.


일단 자리에 착석한 뒤 내장탕을 주문합니다. 식당에 들어오면 곱창 특유의 냄새가 납니다만, 저는 그 냄새를 싫어하기보다는 좋아하기에 큰 문제가 될 건 없었습니다. 곱창 냄새를 싫어하시는 분이라면 추천드리지 못하겠지만 특유의 그 냄새도 여의치 않는 곱창매니아라면 한번쯤 가보심을 추천드립니다.



메뉴판. 전반적으로 혜자입니다.


곱창구이가 1인분에 8천원. 곱창전골은 소(小)가 2만원. 밴뎅이와 동태찌개는 1인분에 6천원입니다. 그 외에도 점심식사를 위한 내장탕과 소머리국밥은 7천원에 판매중이죠.



반찬은 평범합니다.


깍두기에 열무김치. 그리고 청양고추 다대기가 전부입니다. 뭐 국밥에 더 큰 반찬이 필요있을까요.



내장탕이 나왔습니다.


곱창 특유의 냄새는 좀 있습니다만, 자극적이지 않은 국물. 그리고 정말 국물과 파 아니면 내장과 선지인 내장탕입니다. 7천원짜리 국밥인데도 마치 곱빼기마냥 많은 양의 내장을 넣어주네요. 물가가 오르기 전에는 이보더 더 많은 양을 넣어줬다고 합니다.



어느정도 먹었음에도 저렇게 많이 남아있습니다.


선지도 돼지선지인지 꽤나 부드럽게 넘어가네요. 따로 곁들여지는 채소는 파가 전부이고, 국믈도 자극적이지 않습니다. 자극적이지 않아 매운 음식을 잘 먹지 못하는 저도 문제없이 먹을 수준이였고 내장 본연의 쫄깃한 맛을 느낄 수 있음이 이 식당의 내장탕이 가진 장점이 아닐까 싶습니다.


일부 식자재마트에서 판매하는 냉동내장탕을 끓여주는 식당에서 먹는 경우 기름이 지나치게 많이 떠다니고 맵고 자극적인 국물과 내장보다는 우거지같은 곁들이는 채소가 많은 경우가 다반사인데 이 식당의 내장탕은 말 그대로 내장으로만 채워진 내장탕입니다.


너무 맛있어서 이틀 연속 이 식당에서 내장탕을 먹었습니다. 다음에 기회가 된다면 포장을 해 온 뒤 집에서도 먹고싶네요.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