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인구 31만의 충청남도 제 2의 도시 아산시의 유일한 시외버스터미널 시간표입니다.


자잘한 정류장들은 많습니다. 경부고속선과 장항선 철도에 수도권 전철까지 지나가는지라 기차역도 꽤 있고요. 여튼 이러한 아산시 중심부. 온양이라 불리는 옛 온양시 지역의 중심에 있는 터미널이 오늘의 주인공입니다.


지난 1989년 온양시외버스터미널로 영업을 시작하였으며 노후화된 터미널 건물은 2012년 재건축에 들어가 2014년 지금의 건물로 새롭게 태어났습니다. 이후 명칭이 온양에서 아산으로 바뀌게 되었고, 바로 옆 고속버스 터미널도 새 건물을 지어 2016년에는 시외버스와 고속버스 터미널 모두 크고 아름다운 지금의 모습을 가지게 되었답니다.


여튼 오늘은 2014년 멀티플렉스로 다시 태어난 아산시외버스터미널의 시간표를 가져왔습니다.



최근 터미널 앞으로 시내버스 환승센터가 생겨났습니다.


뭐 인구 30만 도시에 버스가 다녀봐야 얼마나 다니겠습니까. 어쩌다 한 두대 들어오고 말더군요.



지상 8층규모의 거대한 멀티플렉스 터미널입니다.


롯데시네마와 롯데마트 그리고 이랜드 복합관과 웨딩홀이 이 거대한 건물 안에 다 들어가 있습니다. 물론 터미널이 본래 목적인 건물이지만, 터미널 면적은 어중간한 중소도시 터미널 수준밖에 되지 않더군요. 여튼 건물은 크지만 순수 터미널의 목적으로 사용하는 공간은 그리 넓지 않습니다.





매표소와 약국. 건너편으로는 작은 분식점과 식당이 터미널 대합실 주변 상가의 전부입니다.


뭐 좀만 걸어 나가면 마트도 있는데 딱히 터미널 내 상가가 크게 필요하진 않겠죠.



아산시외버스터미널의 요금표입니다.


서해안 및 충청권 노선의 경우 모두 천안을 거쳐오며, 그 외 수도권 지역의 경우 모두 천안터미널을 경유합니다. 그러니까 이 터미널을 거치는 버스들은 백이면 백 천안터미널을 거쳐오거나 거쳐갑니다. 그런고로 출퇴근 시간대에는 이곳에 정차하는 시외버스가 시내버스를 대신하여 천안과 아산을 오가는 무정차 급행버스의 역활도 합니다. 



인천공항과 동서울행 노선은 30~50분 간격으로 존재합니다. 청주행과 성남(야탑)행은 일 16회 운행하지요.


그 외에도 일 7회의 남부터미널행과 4회의 김포공항행. 

일 3회의 인천,수원,안산행 노선과 일 2회 용인행 노선이 존재합니다.



대전 복합터미널행은 일 8회. 유성행은 일 4회. 서대전행은 일 2회 운행되며,

유구행 버스는 일 10회. 운곡 혹은 광시를 거쳐 청양과 부여로 가는 버스는 일 8회 운행됩니다.


천안경유 안성행이 일 9회, 원주행과 이천 춘천행이 일 1회 운행되며,

나머지는 서해안 방면 시간표를 보고 시간대별로 맞는 버스를 타면 됩니다.



당진 서산 태안 예산 홍성 보령방향 시간표입니다.


최종 종착지는 같더라도 무정차 혹은 완행 노선이 다양하게 존재하는지라 시간표를 잘 보고 타셔야 합니다. 서산 태안 직통노선과, 한서대 해미 경유노선. 예산과 홍성을 거쳐 서산까지 가는 버스도 있고요. 삽교천을 거치거나 신례원과 합덕을 거쳐 당진으로 가는 노선도 있습니다. 여튼 복잡하니 시간대에 맞추어 보시길 추천드립니다.



플랫폼은 총 7개. 1번부터 5번까지의 플랫홈에는 천안방향 버스들이 시간과 상관없이 수시로 정차합니다.


1번홈 천안, 성남, 서울남부, 안산, 유구, 춘천

2번홈 천안

3번홈 천안, 동대전, 서대전, 유성, 안성, 원주, 청주, 용인, 이천

5번홈 천안, 동서울, 잠실, 송도, 가락시장, 김포공항, 인천, 수원, 인천공항

6번홈 예산, 홍성, 청양, 부여, 보령(대천), 서천, 군산

7번홈 삽교천, 합덕, 당진, 서산(직), 태안, 안면도


- 강남행 및 일부 인천행은 옆 고속터미널에서 운행.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1부에서 이어집니다.



여튼 휠과 타이어는 교체했고, 함께 교환했던 엔진오일과 뒷쇼바와 관련된 이야기입니다.



모터렉스의 셀렉트 SP-X 5W/30입니다.


꽤 비싼 오일이고, 보통 우리가 알고있는 참기름 색이 아닌 파란색 계열 색상의 오일입니다. 지난주에 청량리에 떨어졌을 때 오일마켓에 들려 사왔던 오일인데, 며칠 차에 묵혀두고 겸사겸사 꺼내서 씁니다. 여튼 대우 순정오일로 8,000km를 주행하고 왔는데, 대우 순정오일 대비 조금 묵직한 감이 느껴지긴 하네요.



폐유를 배출합니다.


잔유제거는 기계의 힘을 빌려 밀어낸 뒤 석션으로 빨아들이는 방식이 아닌 오일샤워로 한다고 해서 패스합니다. 저렴한 새 오일을 뜯어서 그냥 들이붓고 빼버리는 오일샤워는 돈낭비이자 석유 하나 나오지 않는 나라에서 쓸모없는 자원낭비라 생각하는 사람이라 그냥 드레인 방식으로 엔진오일 교체를 진행합니다.



어느정도 드레인 코크에서 떨어지는 오일 양이 줄었을 즈음 앞을 띄워서 마저 남은 잔유를 제거합니다.


잔유 제거 후 4리터 오일통을 그대로 부어주고 엔진오일 교체작업은 끝. 본격적으로 쇼바 교체에 나섭니다.



생각보다 쉽게 빠질 줄 알았더니 그렇지 않더군요.


트렁크의 짐을 모두 빼고 내장재를 탈거해야만 쇼바가 보인답니다. 그래도 뒷쇼바라 쉽게 끝날 줄 알았는데 생각보단 만만치 않습니다. 자리도 잘 나오지 않고, 볼트를 푸는데에 꽤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습니다.



먼저 탈거된 좌측쇼바.


이미 터져서 기름 범벅이가 되어있습니다. 그러니 급정거하면 뒤가 한번 덜컹하고 섰겠죠. 



바로 탈거된 우측쇼바.


우측은 먼지와 녹만 좀 슬었지 생각보단 멀쩡했습니다. 그럼에도 6년 20만km를 달리며 노후화 되었으니 함께 교체합니다. 어짜피 다운스프링이 장착되어 있어 쇼바를 교체한다고 크게 승차감이 나아진다는 부분은 없었습니다만, 그래도 요철을 넘을 땐 종전대비 확실히 나아졌음이 느껴집니다.



마지막으로 새 쇼바 장착 및 고정과 함께 범퍼에 피스를 박았습니다.


예전부터 덜렁거리던거 여기저기서 피스 박아준다고 할 때 고사했었는데, 현재는 아예 다 떨어져서 덜렁거리던 상황이라 박아달라고 부탁드렸네요. 일단 범퍼가 놀지는 않습니다. 다만 피스가 박혀 보기 흉하다는게 흠이라면 흠이지요. 이렇게 추운 겨울을 버틸 준비도 모두 끝났습니다. 올 겨울 역시 무탈히 보낼 수 있었음 좋겠네요.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