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오늘은 당진터미널입니다.


당진터미널은 주소는 수청동이지만 90년대 중반부터 2000년대 초반에 걸쳐 계획 및 실시된 도시계획에 따라 조성된 원당지구에 소재해 있습니다. 본래 터미널은 읍내동. 구도심의 로타리 앞. 현재의 진원스타타워 자리에 소재해 있었지만, 심각한 교통체증의 원인이 됨에 따라 95년 출범한 민선 1기 시절부터 꾸준히 이전 계획을 세워 2003년 9월. 현 위치로 이전하여 영업을 개시했습니다.


터미널을 필두로 도시스러운 개발이 진행된 원당동 및 수청동 일대 원당지구는 15년이 넘는 세월동안 '신터'라 불리우며 2000년대 후반까지 당진시 상권의 중심을 장악하고 있었습니다. 지금은 CGV를 필두로 한 우두동 일대로 상권의 중심을 많이 빼앗겼지만, 그럼에도 당진시 주요 상권을 대표하는 그러한 당진터미널 이야기입니다.




처음 영업을 개시했던 당시만 하더라도 깔끔하고 산뜻했던 2000년대 스타일의 터미널이였는데..


세월은 많이 흐르고 흘러 엄청난 규모를 자랑하는 민자터미널이 많이 생겨남에 따라 비좁고 부족해보이는건 사실입니다. 지난해까지 충남고속이 위탁운영을 해 왔으나, 현재는 당진시에서 직접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 당진 종합버스터미널은 당진군민의 생활편의에 기여하고자 발전소 주변지역지원에관한 법률에 의하여 

총 사업비 172억원중 96.5억원을 당진발전본부에서 지원받아 건립한 건축물입니다.


준공년월일 2003.5.17


이제 지어진지 15년. 생각해보니 벌써 세월이 그리 흘렀나 싶습니다만, 15년이라는 세월이 흘렀습니다.



현재 터미널 주기장 내 아스팔트 포장을 새로 하고, 화장실의 리모델링 등 여러모로 리모델링 공사가 진행중입니다.


시간표 역시 근래에 새로 단장한 모습이지만, 그 사이에 시간표의 변동이 생겨버렸네요.



일부 태안 혹은 서산발로 당진을 경유하는 차량도 섞여있지만, 당진 자체에서도 수요가 나오는 몇몇 노선의 경우 당진에서 직접 출발하기도 합니다.


서울 강남(센트럴시티) - 오전 6시부터 2~30분 간격. 일 9회 기지시 경유.

서울 남부터미널(서초동) - 일 10회. 기지시 경유. 일 1회 신평,삽교천 경유.

동서울터미널(구의동) - 일 6회. 기지시 경유. 일 1회 신평,합덕 경유.

 

인천터미널(관교동) - 일 17회. 기지시 경유. 일 4회 신평,삽교천 경유.

의정부터미널,동두천 - 일 3회. 기지시 경유. 일 1회 동두천착.

안중터미널,평택터미널 - 일 13회. 기지시,신평,삽교천,밀두리 경유

인천공항(T1,T2) - 일 12회. 기지시 경유.

김포공항,고양 백석터미널 - 일 12회. 기지시 경유.

수원터미널 - 일 10회. 기지시,신평,삽교천 경유.

광명터미널,안양역 - 일 15회. 기지시 경유.

부천터미널(소풍) - 일 11회. 기지시 경유.

성남터미널(야탑) - 일 8회. 기지시 경유.

안산터미널 - 일 13회. 기지시,신평 경유.


광주광역시(유스퀘어) - 일 6회. 당진착 서산경유 광주행

 




대전복합터미널(동대전) - 일 15회. 1시간간격. 일 6회 기지시 경유

예산,공주,세종,유성 경유 대전복합터미널 - 기지시,신평,합덕,예산경유 일 2회. 공주행 일 3회. 세종시 일 1회.


내포시,보령(대천),군산 - 일 2회. 고속도로 경유.

천안행 - 합덕경유 일 14회. 삽교천경유 일 10회. 아산 직통 일 1회. 각 일 1회 천안경유 안성,춘천착.

서산,태안행 - 7시 20분부터 밤 10시까지 수시운행.

제천행 - 일 3회. 평택 직통.


동부산(노포동) - 일 4회. 기지시 경유.

서부산(사상) - 일 2회. 기지시 경유.


구미터미널,포항터미널 - 일 1회. 기지시 경유

동대구터미널 - 일 6회. 기지시 경유

울산터미널 - 일 1회. 기지시,신복 경유




요금표입니다. 일부 우등과 일반차량이 함께 다니는 노선의 경우 잘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터미널 플랫홈은 15개. 빠른 번호부터 8번까지는 시외버스 및 고속버스가 사용하고, 나머지는 시내버스용입니다.



시내버스 시간표가 복잡하게 있긴 합니다만, 당진시청 홈페이지에서 보시는게 훨씬 깔끔하고 빠릅니다.


가야하는 방향이 어느 방향인지 잘 확인하시고 아래 페이지에서 .pdf 파일을 확인하십시오. 일부 노선의 경우 구터미널을 경유하여 터미널로 들어오지만, 대다수의 노선이 당진터미널에서 출발하여 구터미널을 경유합니다.


https://www.dangjin.go.kr/kor/sub05_07_04.do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그렇게 한해가 흘러간다.


무더웠던 여름을 뒤로하고, 부쩍 추워진 날씨와 바람에 날리는 낙엽들을 바라보니 더더욱이 슬퍼진다. 우여곡절도 많았고, 어려워진 경기가 체감이 되어 더 그리 느껴지기도 한다. 나만 어려운건 아닐테지만 말이다.


거기에 주변에서 들려오는 인간관계와 관련된 여러 이야기들, 네이버 검색정책의 변화와 티스토리의 대대적인 개편 이후 반토막 난 블로그 방문자 및 수익문제로 기분도 영 좋지 않다.



그렇다고는 해도 집에서 바라보는 해가 지는 모습은 찾아와서 볼 수준은 아녀도 나름 괜찮은 분위기를 만들어준다.


저 멀리 용봉산 너머로 사라져가는 태양은 내일도 또 모습을 비추겠지만, 나의 내일에도 해가 뜰까. 앞으로 60번 남짓 해가 더 뜨면 1년이 지나고 나이를 또 먹어갈텐데 지금보다 더 나은 삶을 영위하고 있을까. 저 멀리 사라지는 해가 만드는 노을과 점점 어두워지는 하늘을 지켜보며 여러 생각에 잠겨보곤 합니다.



한철 푸른 이파리를 뽐내던 단풍나무의 나뭇잎 역시 빨갛게 익어버렸습니다.


하늘도 빨갛고, 땅도 빨갛습니다. 노랗게 물든 나무도 있고, 이미 정들었던 나뭇잎을 놓아 준 나무들도 있습니다. 놀이터에서 노는 아이들도 앞으로 몇 주 안으로 집에 들어가 놀겠죠. 가을은 그렇게 점점 깊어져만 가고, 추운 겨울 어떻게 보내야 할지 걱정만 늘어가고 있습니다. 여러분은 어떠신가요. 단풍을 봐도, 붉은 노을을 봐도 기분이 그리 좋지만은 않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