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조기폐차 지원사업에 선정되어 결국 아버지께서 차를 바꾸셨습니다.

다음 메인에도 올라갔습니다만, 메인에 올라간 모습을 저는 확인조차 하지 못했습니다.



여튼 조기폐차 보조금을 받기 위해서는 멀쩡한 기존 차량은 폐차를 해야만 합니다.

정부와 지자체에서 지원해주는 지원금과는 별도로 차량에 대한 고철값. 즉 폐차비를 받을 수 있습니다. 


물론 20년 이내 차령의 대형트럭들은 대부분 동남아시아나 아프리카를 비롯하여 제3세계 국가로 수출길에 올라 제 2의 차생을 살아갑니다. 소형차 위주의 승용차도 마찬가지로 중동이나 아프리카로 수출길에 오릅니다. 2007년식 트라고 트럭은 당연하게도 수출이 나가는 차량이고 수출말소로 보내면 훨씬 더 많은 돈을 받고 차량을 말소 시킬 수 있지만, 지원금을 받기 위해서는 수출말소가 아닌 폐차말소증이 필요합니다.


당연하게도 폐차장에서는 직접 해체하여 고철이나 부품을 판매하기보다는 수출이 나가는 차량이라면 수출업자에게 넘겨 마진을 남기는 편이 훨씬 더 이익입니다. 폐차말소증을 필요로 하는 조기폐차제도가 존재하기에 폐차장들은 말소만 시켜주고 차량을 그대로 수출업자에게 가져다 팔며 꽤 많은 마진을 남기고 있습니다.


그나마 폐차장을 거치며 폐차장의 배를 불려주면 다행이지, 가끔 비양심적인 폐차 영업사원들이 차량을 가로채어 어리숙한 고객에게는 폐차장으로 간다고 속이고 폐차비만 던져준 뒤 수출업자에게 넘겨 수출말소를 시키고 본인이 고철값과 수출단가 사이의 차액을 먹는 경우도 있긴 합니다. 


타고 계신 차량을 폐차하실 예정이라면 먼저 내 차가 수출이 나가는 차량인지, 수출여부 먼저 확인하시고 여러곳에 물어본 뒤 폐차를 진행하시는 것이 가장 현명한 방법입니다. 어지간한 국산 소형 및 준중형차라면 외국인 바이어들이 서로 가져가려고 경쟁하는 수출 효자품목입니다.


여튼 다시 본론으로 넘어갑시다.



그렇게 마지막 주행을 기다리는 차량이 대기중입니다.


마치 아낌없이 주는 나무처럼 타이어를 다른 차량에게 내어주고, 무시동히터를 비롯한 꽤나 값이 나가는 물건들도 필요로 하는 다른 차량들에게 이식해 주었습니다. 그럼에도 아직 블랙박스와 차선이탈경보장치를 비롯한 집기류를 탈거하지 않아 함께 탈거하기로 합니다. 



나름 정부 보조금을 받고 장착했던 차선이탈경보장치. 그리고 블랙박스.


신차는 신품 블랙박스가 장착되었고, 이 제품은 탈거하여 다른 차량에 부착하도록 합니다. 2020년부터 20톤 이상 대형차량에 의무적으로 장착해야하는 차선이탈경보장치 역시 보조금을 받고 설치한 제품입니다만, 의무화 이전에 철거당하는 신세입니다.


네오다스라는 회사의 제품인데 정확한 배선도는 인터넷에 굴러다니지 않지만 스펙상으로는 12V부터 24V까지 모두 지원하는 프리볼트 제품인지라 승용차에 가져다 장착하고 보험료 할인을 받아도 됩니다.



생각보다 배선이 많아 애를 먹었습니다.


운전석 대신 조수석쪽으로 지나가는 메인전장에서 죄다 선을 따서 썼네요. 필요한 선만 잘라낸 뒤 본격적으로 출발합니다. 많이 늦었습니다. 같이 가기로 했던 카고트럭은 먼저 근처에 도착했다고 하네요.



마지막으로 삶의 터전을 떠나는 오래된 트럭의 모습은 싸늘하기만 합니다.


유로3 끝물 모델. 2005년 이전 배출가스기준으로 제작되었기에 2007년식 차량의 조기폐차가 가능했습니다. 07년각자 08년 등록의 경우 조기폐차가 불가능하다는 얘기도 나오던데 지역마다 다른건지 잘 모르겠네요.



고속도로에 올라 마지막으로 원없이 달려봅니다.


폐차장에서 인천항으로 이동을 해야하니 한국에서의 마지막 주행은 당연하게도 아니겠지만, 신차시절부터 함께했던 주인과의 이별은 점점 더 가까워지고 있습니다. 이천시 부발읍의 한 폐차장을 향해 갑니다.


달리는 모습은 트위터 실시간 방송으로 녹화하였고, 가끔 생각 날 때 영상을 돌려보지 않을까 싶습니다.



제 발로 굴러서 폐차장을 향해 들어가는 모습입니다.


이천시 부발읍. 농경지대에 소재한 폐차장입니다. 부품용으로 꽤나 가치가 있는 수입차들이나 이미 해체된 승용차들도 보였지만 대형차 위주로 취급하는 폐차장으로 보이더군요. 곳곳에 해체된 쌍용트럭이나 옛 삼성트럭의 탑도 보였습니다. 


차령 20년 이내의 대형차가 폐차장으로 들어와 해체되는 일은 사실상 거의 없습니다. 사고나 중대한 고장으로 폐차장에 입고되어 사용 가능한 부품을 제외하고 분해되는 경우가 아닌 이상 굴러만 간다면 대부분 수출길에 오릅니다.





폐차장 입구 앞 공터에 차량을 세웁니다. 


이미 여러 차량들이 세워진 상태입니다. 레미콘 믹서의 경우 프레임과 탑만 남은 상태로 세워져 있다던지, 그 자체로도 수출 효자품목인 올뉴마티즈와 같이 눌릴 운명 대신 타국에서의 새로운 차생을 살 가능성이 있는 차량들이 세워지는 자리로 보입니다.


먼저 도착하여 상태를 보는 동남아에서 온 딜러. 한국어를 꽤 유창하게 구사했습니다.



그리고 근처에 계시던 동년식 카고트럭도 도착했네요.


카고트럭이 약 8개월 먼저 출고되었습니다. 그리고 이번 조기폐차로 기존 차량을 폐차하고 같이 엑시언트 프로를 출고하였습니다. 탑 상태가 좋지 않아 처음 폐차장에서 제시했던 금액보다 조금 감가가 되었습니다만, 그래도 잘 쳐주는 폐차장을 찾아 이천까지 왔습니다. 부산이던 목포던 폐차비만 잘 쳐주면 그만 아닙니까. 


2007년 10월 26일. 비가 내리던 날 임시번호판을 달고 있었던 하늘색 트라고를 생생히 기억합니다.

오히려 따끈따끈한 신차가 폐차장으로 향하는 모습까지 함께 지켜봤던지라 더 아쉽게 느껴집니다.


한국에서 12년간 120만km 넘는 거리를 주행하고, 타국에서 그 수준의 거리를 또 달린 뒤 차생을 마감하겠죠. 이 차로 은퇴하시겠다던 아버지보다 중국발 미세먼지 탓에 엄한 적폐로 몰린 차가 먼저 은퇴했습니다. 


그동안 보유했던 사업용 차량 중 가장 오랜 시간, 가장 많은 거리를 달려왔던 차량입니다. 트라고 이전 차량도 5년 조금 더 타고 수출을 보냈고 그 전에 있었던 차량은 약 3년을 탔으니 말이죠. 하늘색 트라고와는 작별했지만 우리 가족의 기억속에는 영원히 남아있으리라 생각됩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삼성상용차의 1톤트럭 야무진을 목격한 일은 그래도 생각보다 많았습니다. 2018년 1월에는 영업용 번호판을 달고 현역으로 뛰고 있는 야무진을 보았고, 2018년 12월에는 삼성상용차에서 순정 특장차로 판매했었던 야무진 견인차를 보았습니다. 대략적인 통계만 놓고 본다면 1년에 1~2회 수준으로 보이는 차가 아닐까 싶습니다.


이미 야무진을 다룬 포스팅도 많았고, TMI는 그곳에 다 남겨두었으니 삼성상용차의 1톤트럭 야무진이 궁굼하시다면 이전 글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이미 많이 다뤘지만 이번에도 지역번호판과 함께 전반적으로 상태도 준수했기에 이번에도 사진으로 남겨두었습니다.



경북 지역번호판. 그리고 어지간한 스티커는 다 살아있습니다. 심지어 흙받이 삼성 로고까지도요.


전반적으로 도장이 긁힌 자리에 녹이 생긴 것을 제외한다면 상태는 매우 준수했습니다. 같은 년식의 포터와 봉고는 적재함 문짝의 형태도 사라지고 적재함 바닥에는 구멍이, 운전자가 탑승하는 탑 아래 휠하우스는 흔적도 없이 사라지는데 말이죠. 이러한 문제는 2010년대에 출고된 1톤 트럭도 마찬가지입니다.



자잘한 표면의 녹과 살짝 긁힌 범퍼를 제외하면 준수한 상태를 자랑하고 있습니다.

삼성상용차의 파산이 2000년 12월인데, 그보다 10개월 전인 2000년 2월식에 등록되었습니다.


면세유를 먹는트럭임을 알 수 있는 표식도 붙어있고요. 중량짐을 싣거나 고물을 싣는 용도가 아닌 단순 농업용으로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어지간한 스무살짜리와 나이가 같습니다.



험한 짐을 싣지 않았기에 전반적으로 적재함 바닥도 깔끔합니다.


기아자동차 영업사원의 스티커가 붙은 이유는 모르겠네요. 내구성에서 포터와 봉고대비 약점이 드러났던 차량이지만, 그래도 험한 짐은 싣지 않고 다녔는지 준수한 상태로 버티고 있습니다.



탑승시 스치며 칠이 벗겨진 표면에 살짝 녹이 올라와있네요.


그라인더로 갈아내고 도장만 해주면 별 문제 없어보이는 부분입니다. 그리고 그레이스의 알루미늄휠과 흡사한 휠커버도 온전히 달려있네요.



잘 보이지 않지만 주행거리 22만km. 농업용 트럭임에도 먼지 하나 없이 깔끔했습니다.


디젤차가 적폐로 찍혀버려 언젠가 강제로 청산될 운명이라지만 가는 그날까지 준수한 모습으로 차주분과 함께했으면 좋겠습니다. 한 해에 하나 혹은 두대 보면 많이 볼 정도로 줄었지만, 언젠가 완전히 사라진 이후에도 이 사진은 누군가에게 좋은 자료로 남아있겠죠.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