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평화로운 주말. 세차를 하러 합덕이니 당진이니 어디까지 가고 싶은 마음은 없고, 내포신도시에서 세차를 해결해보기로 합니다. 다만, 내포신도시에는 세차장따위가 없으니 홍성으로 나가야겠죠.


일반 손세차업소는 지나다니면서 많이 봤지만, 고로 홍성에 셀프세차장이 어디에 있는지 찾아봅니다.



광천으로 뜨는 곳을 제외한다면 딱 네군데가 검색됩니다.


일단 가장 가까운 코스모셀프세차장으로 향합니다. 홍성 시내 초입에서 좌회전해서 홍성역 방면으로 가다보면 길 건너편에 소재하고 있더군요. 홍주의사총 근처입니다.




3베이짜리 셀프세차장입니다. 


딱 봐도 상당히 노후화된 시설임을 알 수 있습니다. 코스모셀프세타차운 홍성점 글자 밑에 전화번호 국번 역시 두자리 국번이네요. 본격적인 세자리 국번 통합작업이 진행되기 시작한게 1998년이니 최소 20년은 묵은 셀프세차장이 아닌가 싶습니다.



시설이 상당히 노후화된 만큼 기본요금 또한 저렴합니다.


500원짜리 동전 두개. 천원에 1분 30초를 제공합니다. 오백원짜리 동전 다섯개를 넣고 여유롭게 세차를 진행합니다. 큰차라면 부족한 시간일지 모르겠는데 경차에게는 꽤나 여유로운 시간입니다.



거품솔은 의외로 부드럽습니다. 거품도 초반에는 잘 안나오다가 시간이 지나면 넘쳐나는 수준으로 잘 나오구요. 고압분무기의 성능 역시 오래된 세차장임에도 최근 지어진 세차장이나 비슷한 수준으로 준수한 편입니다.



이제 본격적으로 실내세차를 하러 왔는데.. 정말 오래되어 보이는 청소기가 보이는군요.


불과 10년전에 놓은 설비들만 해도 에어건과 함께 겸용으로 사용이 가능한데 이건 진공청소기의 목적으로만 사용이 가능합니다. 카운터는 요즘 나오는 기계들과 동일합니다만..



좀 잡아당긴다고 잡아당기니 봉이 움직이는게 아니라 이렇게 청소기용 닥트호스가 찢어져 있더군요.


찢어진걸 절연테이프로 칭칭 감고 PVC 파이프로 고정해서 꼽아둔거였습니다..;;;


뭐 세차도 거의 다 끝났고.. 어이가 없어서 그냥 왔네요. 다음번엔 다른 세차장에 한번 가 보도록 해야겠습니다. 청소기호스 몇푼이나 한다고 그거좀 바꿔주면 어디 덧나나요ㅠㅠ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일반국도 제 32호선은 충청남도 태안군 소원면의 만리포에서 시작하여 대전광역시 한복판인 서대전네거리까지 이어지는 국도입니다. 본래 경북 문경(점촌)까지 연장하려는 계획이 있었으나 예산부족으로 대전-문경 구간은 국가지원지방도로 지정되어 각 시,도에서 관리하고 있습니다.


태안에서 문경까지라면 상황이 달라지겠지만 동에서 서로 횡단하는 다른 동서축의 국도에 비교하자면 꽤 짧고 전국적인 인지도는 거의 바닥수준인 국도입니다. 그래도 고속도로 개통 이전에 충남 서북부 권역에서 대전으로 가기 위해선 필히 거쳐야 하는 국도입니다.


90년대 중후반부터 왕복 2차선인 국도의 시내구간은 우회하고 4차선으로 확장하기 위한 공사가 꾸준히 진행되어 왔습니다. 현재는 공사가 진행중인 만리포 종점 일부구간을 제외한 전 구간의 왕복 4차선 확장공사가 끝났습니다.



이러한 국도 32호선을 대표하는 고갯길이자 

가장 최근에 확장공사가 끝난 '차동고개' 구간이 이번 이야기의 주인공입니다.


차동고개는 예산군 신양면 - 공주시 유구읍을 잇는 작은 고개입니다. 산을 타고 올라가는 약 10km 구간이 2014년 12월 29일자로 확장 개통되었습니다. 험하다는 여타 다른 고개에 비한다면 선형개량도 비교적 잘 된 편인지라 명함도 내밀지 못하지만 그래도 완만한 선형을 가진 이 국도 구간에서 손에 꼽는 난코스입니다.



국도 제 70호선과 분기되는 칠성암 삼거리에서 출발하여

산 정상의 차동휴게소를 거쳐 확장구간에 편입된 녹천교차로까지가 이번 탐방 구간입니다.


사실 차동1이니 녹천1이니 교차로 이름에 아라비아 숫자를 붙여두었는데, 2교차로는 없습니다. 대신에 터널에서 이어지는 교량에 2교라는 이름을 붙였네요. 고로 중요도가 떨어진다는 이야기겠죠.



칠성암 삼거리에서 대덕교차로 구간은 이미 2008년에 국도에서 폐지된 구간입니다.


2008년 4차선 확장공사 개통 이후 신양면 소재지를 외곽으로 돌아서 나가기에 구길이 되어버렸죠. 그럼에도 국도시절 주요 경유지별 거리를 나타내주는 이정표는 별 탈 없이 서 있습니다.


지나가는 차도, 사람도 없습니다. 그 흔한 경운기 하나 없는 적막한 도로입니다. 



'대전'이 종점인 고속도로가 저 하늘 높이로 지나갑니다.


물론 국도 제 32호선이 확장공사 이후로 선형도 괜찮아지고 고속도로나 별반 다를게 없는 자동차 전용도로가 되었습니다만, 험난한 차동고개는 그대로였기에 고속도로 개통 이후 대전 혹은 그 이남으로 내려가는 차량들은 거의 대다수가 고속도로를 이용하게 됩니다.


그나마 유구읍에 거주중인 주민들이나, 고속버스 노선으로 전환되고 겨우 몇개 남은 대전 혹은 공주로 향하는 노선을 타는 시외버스 혹은 하루에 몇회 운행하는게 전부인 농어촌/시내버스가 이 도로를 이용하는 차량의 전부가 되겠지요.



대덕교차로에서 구길의 흔적은 사라집니다.


확장된 4차로에 종전에 차량 통제를 위해 그려두었던 중앙선과, 오랜 세월 자리를 지키고 있는 주유소가 존재하긴 합니다만, 그 시절 그 모습은 더이상 찾아보기 어렵습니다.



뻥 뚫렸습니다.


사실상 고속도로 개통 이후 고속도로로만 대전 혹은 그 이남을 다니다 보니 차동터널 개통이후로는 사실상 처음 방문하게 되었네요. 종전에는 고갯길을 넘어다니던 시외버스 역시 요즘에는 터널을 이용하는걸로 보입니다.



2010년 5월. 다음 로드뷰.


저 멀리 보이는 높은 교각만이 같은 장소라는 사실을 알려주고 있습니다. 아름드리 은행나무도 모두 잘려나갔고, 저 옆에 보이는 창고는 현재 길바닥이 되어있겠죠. 



바로 옆. 차동리 마을로 들어가는 길목 나름 번듯하게 확장 그리고 포장이 되었습니다.


평범한 마을 진입로가 교차로로 승격된 모습을 여러분께서는 보고 계십니다.



그냥 작은 다리를 건너서 진입하던 마을 진입로는 상당히 복잡해졌습니다.


기존의 도로는 확장구간에 편입되었고, 은행나무가 있었던 자리. 그리고 그 옆에 붙어있었던 논이 매립되어 지금 제가 서 있는 도로가 되었습니다. 또 하나의 흥미로운 사실을 이야기 하자면, 확장 전에 과속 단속용 카메라가 설치되어있던 그 자리에 교차로가 생겼고, 그 교차로에 신호위반까지 같이 잡아내는 단속카메라가 설치되어 있습니다.



어디까지나 옛 고갯길 진입을 위해 특별히 새로 깔아준 도로입니다.


비록 본인처럼 취미생활로 구길을 타는 경우가 아니라 단순히 이동을 목적으로 이 길을 다닐 사람은 없더라도 산 중턱에 거주중인 신양면 차동리 주민들이나 유구읍 녹천리 주민들에게는 꼭 필요한 도로겠죠.


이정표 이후부턴 기존의 2차선 도로가 계속 이어집니다. 옛 로드뷰 이미지를 확인한 바 기존 도로 우측으로 성토를 해둔 모습이 확인됩니다.



고갯길 구간에 진입합니다.


확장공사 마무리 직전 포장을 새롭게 한 듯 보입니다. 이 도로가 폐쇄되기 전까지 앞으로 새롭게 포장공사를 할 일은 없겠지요. 노면만 깔끔할 뿐 수풀이 가드레일을 다 집어삼킨지 오래고 나무도 막 자라버린지라 그냥 노관리 그 자체입니다. 


2부에서 이어집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