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신차 출고 이후 12번째 엔진오일 교체입니다.



여튼 보증기간도 화려하게 끝났고, 이제 자잘한 고장은 제 돈을 주고 고쳐야 하는 상황입니다. 대략 한달 반정도 타면 7,000km 교체주기에 도래하는데 이번에는 조금 바빠서 대략 500km 이상 더 타고 내포현대서비스를 찾았습니다. 


조금만 이상이 감지되어도 보증수리를 받았던 종전과는 달리 아마 앞으로는 주기적인 소모품 교환과 큰 이상이 생겼을 때를 제외하고는 찾는 빈도가 조금 줄어들겠지만, 그래도 집에서 매우 가깝다보니 특별한 경우가 아닌 이상 이곳으로 계속 다니지 않을까 싶습니다.


뭐 이제는 접수창구 여직원도 제 차 번호를 딱히 물어보지 않고 알아서 기재하네요.



대략 다섯시 가까워진 시간에 블루핸즈를 찾았습니다.


엔진오일은 지난번에 구입해두었던 에코 프리미엄 디젤 0W30을 사용하기로 합니다. 블루핸즈에서 구입하여 교체하는 비용과 대략 만원정도 차이가 납니다. 오일필터나 에어크리너는 인터넷 최저가보다 정비소에서 청구받는 비용이 훨씬 더 저렴하더군요. 


큰 차이는 아니더라도 여유가 있다면 이렇게 오일만 따로 구입하여 교체를 해 볼 생각입니다.



차가 그리 많지 않으니 금방 입고됩니다.


한쪽에서는 코나 일렉트릭의 범퍼를 탈거하여 작업중이였고, 아반떼 MD는 제 차가 리프트에 올라가고 얼마 지나지 않아 작업이 완료되었습니다. 여튼 엔진오일 교체작업은 그리 어렵지도 특별하지도 않습니다. 리프트에 올린 다음 코크를 개봉하여 기존 폐유를 배출하고, 조금 놔뒀다가 오일필터를 탈거하여 마저 남은 오일도 내려줍니다.


그렇게 잔유 배출이 끝나면 다시 드레인 코크를 닫고 차량을 내려 신유를 주입하고 용량을 확인한 뒤 에어크리너를 교체하여 출고합니다. 어렵지도 특별하지도 않은 작업이지요.



그렇게 에어크리너와 오일필터 구입비용 및 공임 4만원 돈을 지불합니다.


대략 1년 6개월동안 오만잡다한 보증수리에 감사한 마음을 담아 직원 수에 가깝게 구입한 빵도 드리고 왔습니다. 이러한 추세대로면 다음 엔진오일 교환은 10월 중순정도. 그리고 12월 초에 한번 더 교체하고 아마 연말에 10만km를 넘거나 혹은 임박한 수치로 한 해를 마무리 할 것 같습니다.


다음에는 DCT 변속기 오일까지 같이 가지고 들어와 교체해야겠습니다. 작년 10월에 4만km를 운행하고 교체했었는데, 종전에도 변속기 오일은 거진 1년 주기로 교체했었으니 말이죠. 


역시나 다음 오일 교환주기까지 무탈히 운행했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출고 5개월차 삼각떼. 엔진오일 교환은 이번이 세번째.


그렇습니다. 출고 후 약 3,000km 주행 후 엔진오일을 교체했고, 그 이후 약 7,000km를 주행한 뒤 엔진오일을 교체했습니다. 그게 예비군 훈련 받던 3월 초에 있었던 얘기인데, 벌써 얼추 1만km를 주행하여 엔진오일을 교체하기로 합니다.




조금 일찍 퇴근을 하던 길에, 홍성 시내의 블루핸즈 오관점에 들렸습니다.


홍성읍 오관리. 법원 가는 길목에 보이던 블루핸즈입니다. 공업사급 정비소가 아닌 부분정비업소인데 규모가 생각보다 크더군요. 여러모로 지나가며 보았을 때 규모가 그리 크다고 느끼진 않았는데 생각보다 규모가 컸습니다. 무려 리프트가 8개나 됩니다. 어지간한 1급 공업사들도 이주식 사주식 다 해서 8개씩 가지고 있는 경우는 드문데 말이죠.





오일교체를 위해 방문했다고 차량번호와 함께 접수를 한 뒤 잠시 기다립니다.


물론 사업소급의 전문블루핸즈만큼은 아니지만 고객대기실도 규모에 걸맞게 넓었습니다. 종전까지 스파크를 타며 자주 갔었던 쉐보레 홍성서비스센터보다도 넓은 수준이니 말이죠. 이번에는 트렁크에 묵혀두었던 오일을 사용하기로 합니다. 그런고로 오일필터와 에어크리너만 이곳에서 구매하여 장착하면 됩니다.



삼각떼가 리프트에 올라갈 준비를 합니다.


교체방법은 평범하고도 간단합니다. 드레인코크를 열어 기존 오일을 배출해낸 뒤 별다른 잔유제거 없이 새 오일을 주입해주면 됩니다. 기존에 사용했었던 순정오일계의 끝판왕인 저점도 승용디젤용 엔진오일 '에코 프리미엄 디젤 0W30 (ECO PREMIUM DISEL ENGINE OIL 0W30)'은 상당히 만족스러웠습니다. 


딱히 고 RPM을 사용한다던가 때려밟지 않고 단지 연비 하나만 보고 디젤딸딸이를 선택한 저와 같은 성향의 운전자에게는 가볍고 연비 잘 뽑아주는 오일이면 더할나위없이 좋았던 오일입니다. 몇가지 더 넣어보고 선택을 해야겠지만 아무래도 지금껏 넣어본 오일이래봐야 이번 교체를 제외하곤 두번이지만 그 중 월등히 좋았습니다.



차량을 올린 뒤 본격적인 폐유 배출작업을 진행합니다.


오일이 튀기는것을 방지하기 위해 면장갑을 하나 덧대고 코크를 매우 조심스럽게 여시더군요.



폐유 배출중.


비슷한 시기에 신차를 출고한 남들은 이제 뭐 몇천키로 탔을텐데.. 저는 벌써 2만km를 바라보고 있습니다.



폐유 배출과 함께 함께 교체될 소모품의 준비도 같이 진행됩니다.


엔진오일 내 불순물을 걸러주는 임무를 수행하다 보면 검게 그을릴 오일필터의 그을리기 전 모습입니다. 공기압 점검도 함께 진행되었고요. 공기압 점검 후 드레인코크를 닫은 뒤 차량을 다시 내립니다.



이번에 주입할 오일입니다. "ZEO DX 5W30 API CJ-4"

여러분도 생소하실겁니다. 저도 생소합니다. 한번 넣어보라고 선물로 받은 오일입니다.


보통 이런 이름의 윤활유들은 미국제인데 그런가 하고 봤더니 국산입니다. 제조지는 부산광역시 사하구입니다. 경남 창녕의 한 윤활유 도매점에서 취급을 하고 있습니다. 그동안 블루핸즈 포인트로 오일을 교체했었으니 트렁크에 약 5개월동안 박아두었습니다. 


스파크를 가져가신분이 직접 배합했고 여러 조력자들의 힘을 얻어 만들어낸 오일이라고 주고 가셨던 물건입니다. 난생 처음 보는 이 오일을 과연 넣어도 될까 싶긴 한데, 코란도스포츠 마이티 포터같은 상용차와 삼각떼 디젤과 배기량 차이만 있지 같은 엔진인 스포티지1.7을 비롯하여 관리했거나 관리하고 있는 차량에는 모두 이 오일을 사용했고 개발 후 2년 넘게 사용하면서도 별다른 문제는 없었다고 합니다.


물론 정속 연비충보다는 쌔려밟는 운전스타일에 맞는 오일이라 합니다만, 저한테 폭탄을 주시는 분은 아니기도 하고 여러모로 'API CJ-4'라는 규격 역시 DPF 장착차량에 적용되는 규격인지라 일단 넣어보기로 합니다. 



이름도 처음 듣는 오일이고 정비사 아저씨도 되려 묻지만 규격에는 맞는 오일이니 주입합니다.


전반적으로 오일 색이 진한편인데 첨가제가 시중에 풀린 기존 오일 대비 약 1.3배 더 들어가서 그렇다고 하네요.



교체 후 테스트 겸 집에 들렸다 대천에 다녀왔는데 여러모로 묵직합니다.


가볍기로 소문난 모비스 순정 저점도 오일보다는 묵직하게 느껴집니다. 연비는 조금 굼뜨게 상승합니다만, 약 100km/h 언저리 고속에서의 항속성은 쉽게 체감이 될 수준으로 준수해졌음이 느껴집니다.



정비내역서를 받은 뒤 결제를 진행합니다.


차를 사면서 발급받은 현대카드가 1년에 한번 2만원짜리 블루핸즈 정비쿠폰이 나온다는 사실도 알려주셔서 2만원은 정비쿠폰을 사용했고, 부가세를 포함한 나머지 2만1천원은 카드로 결제했습니다. 


일단 쭉 타보고 영 아니다 싶은 오일이라면 중간에 교체하고요. 그렇지 않다면 종전처럼 약 1만km를 타고 교체하기로 합시다. 그래봐야 8월즈음이면 또 오일 갈러 간다고 포스팅 하고 있겠죠;;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