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디젤차 오너라면 DPF 관리를 위해 거의 필수품으로 여겨지는 물건.

바로 OBD 단자를 통해 받는 차량의 정보를 표시해주는 '차량용 정보 표시장치'가 아닐까 싶습니다.


말이 거창하긴 합니다만, ECU에 전달된 차량의 각종 센서들의 정보를 자세히 볼 수 있는 장치이지요. 물론 가솔린과 LPG 차량에도 연료소모량과 엑셀레이터의 상태를 확인 할 수 있어 경제운전을 돕는데 큰 역활을 하고, 더 나아가 정비소에서 물리는 스캐너처럼 고장코드를 확인하는 기능도 가지고 있습니다.


물론 이러한 기능에 더 나아가 디젤차에 장착되는 매연저감장치(DPF) 내 쌓여있는 매연의 양과 작동 여부를 확인 할 수 있고 냉각수 수온과 배기온도로 예후열 타이밍을 잡을 수 있기에 어지간한 디젤차 오너들에게는 필수품처럼 여겨지고 있습니다.


물론 신차 출고시에 구매했더라면 더욱 좋았겠지만, 가뜩이나 어려운 사정 속에서 갑작스레 신차를 출고하여 여러모로 돈관리가 되지 않았는데 요즘들어 경제적으로 조금씩 풀리고 있기에 요 근래 와서 구매를 하게 되었습니다.




오픈마켓(옥션,G마켓,11번가,인터파크) 판매가격은 184,800원.

DAG 사용자 정보공유 카페의 공동구매 가격은 165,000원.


암만 오픈마켓 쿠폰과 포인트를 싹 쓸어서 쓰더라도 카페 공동구매가 훨씬 더 저렴하기에 카페 공동구매로 진행을 하려던 중 혹시나 싶어 검색했더니만, 다음 쇼핑하우와 네이버쇼핑을 통해 접속하면 2만4천원짜리 즉시할인 쿠폰이 붙어 훨씬 더 저렴한 가격에 판매중이였습니다. 다나와에서는 쿠폰이 붙지 않더군요.


같은 상품인데.. 네이버쇼핑이나 다음 쇼핑하우를 통해 접속하면 160,600원!!! 


뽐거지모드에 빙의하여 계산기를 두들겨 봅니다. 십일절 행사 쿠폰을 다 써도 공동구매 가격보다 한참 더 비싼데 공동구매가보다 4,400원이 더 저렴하고 카드 할부를 끊을 수 있습니다. 고민은 사치입니다. 바로 구매합니다.



그렇게 바로 구매버튼을 눌렀습니다. 신용카드 3개월 할부로 구매합니다.


물론 단말기 형태로 제작되어 나오는 다그게이지와 몬스터게이지로 대표되는 블루투스 동글형 정보전송장치를 놓고 고민도 많이 했었습니다.


흑백액정인 DAG3+ 게이지보다 블루투스 동글로 송신하여 받아오는 정보를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표출해주는 형태의 몬스터게이지가 시안성은 훨씬 우수합니다만, 마땅한 공기계도 없을뿐더러 일일히스마트폰을 하나 더 달아놓고 또 충전에 신경을 쓰느니 독립적인 단말기가 낫겠다 싶어 다그게이지로 결정했습니다.


물론 가격차이는 얼마 나지 않습니다. 다그게이지가 약간 더 비싼 수준이지요.



퇴근을 하여 집에 돌아오니 현관 앞에 택배가 놓여져 있었습니다.

물건 자체가 작은편에 속해서 그런지 상자 역시 작습니다. 


발신자는 코드시스템주식회사. 본래는 RF카드 리더기를 개발하고 만드는 회사인데, RF카드와는 전혀 관련이 없는 분야의 차량용 정보 표시장치가 현재는 사실상 주력 판매제품이 된 느낌입니다. 그냥 코드시스템 홈페이지는 2000년대 초반 이후로 전혀 개편이 없었던듯 보이는데 DAG 전용 홈페이지를 따로 만들 정도니 말이죠.


물론 카드리더기도 우리 생활과 밀접한 분야에서 사용된다 하지만 개인이 구매하기보다는 기업이나 관공서에서 구매를 하기에 우리같은 일반인들이 접할 기회는 거의 없지만, 이러한 차량용품은 개인들이 구매하는 물건이지요.



포장 박스를 뜯으니 파란색 박스가 하나 더 나타납니다.


제품명은 DAG3+ (다그3플러스). DAG가 'Driver Assist Gauge'의 약자였군요.


2008년 처음 개발된 1세대 모델로 시작하여 2012년에 3세대 모델이 탄생하였고, 현재는 3세대 모델의 액정 밝기를 개선한 개선품이 판매되고 있습니다. 그래서 DAG3 옆에 플러스(PLUS)가 붙는다는군요.



물론 거치대는 별매품인지라 따로 준비합니다.


개인적으로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는 원가와 품질대비 비싼 물건이라 생각하는데, 스파크에 달고다니다가 차량을 정리하면서 떼어온 집게형 거치대가 있기에 이 거치대를 사용하기로 합니다. 


스파크 쪽유리에 붙이고 다녔던 물건인데 꽤 오래 썼습니다. 아마 제 돈 주고 산 물건은 아닌것으로 기억하고요.. 누구한테 받았거나 뽑기로 뽑은 물건이 아닐까 싶네요.



파란 박스 속 구성품은 매우 간단합니다.


간단한 사용설명서와 DAG3PLUS 본체. OBD2 연결선. 미니5핀 PC 연결선.



DAG3+ 본체입니다. 아주 가벼우리라 생각했는데 무게감이 좀 느껴지네요.


처음 보자마자 연상되던것은 포켓 와이파이. LTE 신호를 받아 와이파이로 변환해주는 라우터처럼 생겼습니다. 생김새도 그렇고 무게도 그렇고 그냥 들고다니면서 에그라고 구라쳐도 낚일 수준입니다.



후면으로는 작은 구멍이 뚫려있고, KC인증번호와 제품의 일련번호가 적혀있었습니다.


OBD단자와 PC와의 연결을 위한 USB단자는 서로 반대편에 자리를 잡고 있더군요. 별매품으로 DAG게이지와 호환되는 HUD를 연결하는 단자도 OBD 단자 옆에 자리잡고 있었습니다.


구매시 차량정보를 입력하였기에 따로 차량정보를 변경 할 필요는 없습니다만, 그래도 궁굼하니 셋업프로그램을 설치하여 기기의 정보를 확인하기로 합니다.



별도의 드라이버 설치 없이 실행되는 간단한 프로그램입니다.


차량 정보와 관련된 기능을 설정 할 수 있고, 액정에 표시되는 정보의 위치 역시 수정이 가능합니다. 아직 써보지 않았으니 어떤 정보를 1페이지에서 숨겨야 할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내일 가지고 나가서 직접 장착해보고 이야기 하도록 하지요.



요약.

1. 160,600원에 다그게이지 샀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지난 주말. 차로 5분거리의 온천욕장인 세심천에 들렸습니다만, 영업을 하고 있지 않더군요.



새 도로가 뚫려 이 앞으로 지나다니지 않은지도 오래되었고.. 여튼 오랜만에 왔습니다만...


공사용 비계가 건물을 감싸고 있고, 내부 철거작업이 진행중이더군요. 8월 말까지 리모델링을 진행한 후 9월부터 다시 손님을 맞는다고 합니다. 덕산온천을 구성하고 있는 대표적인 온천욕장 중 하나인 세심천은 덕산온천관광단지 그리고 덕산 시내와도 그리 멀리 떨어져있지 않으며 예산군 덕산면이 아닌 삽교읍에 소재해 있습니다.


행정구역상 일부 지역은 내포신도시에 편입된 삽교읍 신리입니다.





항상 주말이면 주차장에 자리가 없을 정도로 북적이던 공간인데 공사 관련 차량들만 주차되어 있습니다.


그런고로 수암산 등산로 앞 작은 공터에는 세심천 주차장에 주차를 하지 못하고 등산을 온 등산객들의 차량이 평소에는 한두대 수준이지만 가득 매울 수준으로 많더군요. 등산-온천욕을 하러 오는사람들이 세심천 주차장에 차를 세우는 경우가 많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습니다.



출입구는 열려있고 불은 켜져있습니다만, 사람들의 모습은 보이지 않습니다.


처음 이 온천이 개장했던 시기가 기억납니다. 당시 저는 여섯살. 새로 생긴 목욕탕이래서 갔던 어릴적 기억이 생생합니다. 초등학교에 입학식 직전 일요일에 목욕을 와서 부모님이 해주셨던 이야기도 생생히 기억나고요. 여러모로 어릴적부터 주기적으로 이 목욕탕에 다녔던지라 생각외로 기억 나는 일화는 많습니다.


기억을 상기시켜보니 정확히 20년동안 이 온천탕을 다니면서 간간히 외벽이나 욕탕의 소소한 변화 말고는 별다른 변화가 없었네요. 어릴적 기억 속의 공간과 요 근래 방문 당시의 모습이 크게 달라지진 않았으니 말이죠.



매점 역시 문을 닫았습니다.


바로 아래에 편의점이 생겨 근래에는 종전만큼 장사가 잘 되진 않았지만, 그래도 갖가지 먹을거리와 등산용품을 판매했던 자리입니다. 리모델링 후 매점 역시 새로운 모습으로 영업을 재개할지, 조립식 건물인지라 철거 수순을 밟을지는 두고 봐야겠지요.



밖에서 지켜봐서는 공사가 진행중이라는 느낌은 적지만, 내부에서는 공사가 한참 진행중입니다.


욕탕에서 나온 폐기물이 떨어져 내려오는 파이프도 보이고, 이미 철거된 폐기물들이 산을 이루고 있는 모습도 보입니다. 과연 어떤 모습으로 새 단장을 하고 손님을 맞을지.. 다가오는 9월에 다시 찾아가도록 합시다.


P.S 덕산온천의 원조격인 원탕을 갔더니 그곳은 이미 지난해에 폐업.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