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에 해당되는 글 2505건

반응형


보령(대천)에 딱히 뭐 먹으러 갈 데가 있냐고 물어보면 여기를 제일 먼저 손에 꼽고 싶습니다.


옛 고택을 보수하여 식당으로 운영중인 곳인데, 주로 메뉴로 묵요리와 백숙을 파는 식당입니다. 주교면에 소재한 이 식당은 보령 시내인 대천에서도 차를 타고 간다면 그리 멀리 떨어져있지 않은편이고 홍성쪽에서 가기도 주교 면소재지에서 오천방면으로 들어가다보면 그리 멀지 않으니 여러모로 위치 자체는 외딴곳에 있지만 접근성은 그리 나쁘지 않습니다.



시골 지방도 한복판에 보이는 기와집이 바로 이 식당입니다.


'흥업'은 지명입니다. 강원도 원주시 흥업면인데 이 흥업면에도 흥업묵집이라는 묵요리 전문점이 있다고 하네요. 그 흥업식 묵요리를 해서 흥업묵집인지 아니면 다른 의미를 내포한 한자어인지까진 잘 모르겠습니다. 뭐 '강원흥업'이라는 버스회사도 원주시 흥업면과 관련이 있을 줄 알았으나 원주시 흥업면하고는 하나도 관계 없던데요 뭐.


다음지도상으로는 원조흥업묵집이라는 상호로 검색됩니다.



고택 앞 정원에 사는 진돗개 두마리와 살이 오를대로 오른 수컷 고양이가 손님을 맞아줍니다. 


진돗개와 고양이를 거쳐 식당 안으로 들어오면 향토적인 분위기의 식당이 펼쳐집니다.



그렇습니다. 보기만 해도 건강해지는 느낌의 인테리어입니다.


나름 현대적인 마룻바닥과 식탁 그리고 전등까지. 전통적인 요소와 현대적인 요소가 잘 아우러진 모습입니다.



흥업묵집의 상차림표입니다.


백숙과 초계탕을 제외하면 메밀로 만든 요리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흥업정식은 백숙과 묵무침 메밀전과 죽이 코스로 나오고, 초계탕과 닭 매운탕은 계절요리네요.


전반적으로 가격대가 그리 저렴하지는 않습니다. 국산 메밀로 만들어 재료비가 비싼 까닭도 있겠지요. 물론 공장에서 만든 메밀묵과는 달리 직접 식당에서 만든 묵으로 요리하는지라 차별화된 맛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메밀전과 함께 묵밥을 주문했습니다. 메밀전은 사실상 술안주격인 메뉴입니다만, 술 없이 먹었습니다.



메밀전 먼저 나오네요.


정확히는 김치메밀전입니다. 얇게 편 부침개 반죽 위에 배추김치와 쪽파를 곁들여 부쳐낸 음식입니다. 간장이 곁들여 나오지만, 김치 자체의 짭짤한 맛이 있어 굳이 간장을 찍지 않아도 간이 맞습니다.



묵밥도 곧 나옵니다.


묵밥에 곁들여 먹을 김치도 같이 나왔네요. 신맛이 좀 나는 묵은 김치였습니다.



묵밥에 저 김치를 곁들여 먹으면 됩니다.


따뜻한 육수를 부어 만든 묵밥입니다. 이게 과연 맛이 있을까? 생각하시는 여러분들도 한번 드셔보시면 꽤나 괜찮은 맛을 내는 음식인것을 아시게 될 것입니다. 뜨겁지 않은 육수 속의 메밀묵과 밥 한수저를 함께 떠 먹으면 이만큼 맛있는 음식도 없습니다. 


밥이 조금 적기는 합니다만, 부족하다면 조금 더 주기도 한다고 합니다. 사발의 육수 한방울까지 남기지 않고 비워냈네요.


묵밥 한그릇에 건강해지는 느낌입니다. 다음에는 더 많은 사람들과 함께 묵밥을 먹으러 왔으면 좋겠네요.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지난 연휴에 갑자기 떠오른 생각에 티스도리닷컴 스티커를 다시 만들었습니다.


이미 약 5년 전에 만들었던 스티커를 아직도 붙이고 다니는 지인들이 있어 그런 차를 목격했다고 저에게 연락이 오는 모습을 보게 되었네요. 정작 저는 그 스티커 다 나누어 주고, 스파크에 붙어있던것도 차를 팔면서 보내버린지라 딱히 붙이고 있거나 가지고 있지도 않은데 말이죠.


동호회 스티커도 아니고 개인 블로그 스티커인데다가 매우 조잡한 스티커였지만, 그래도 스티커의 위력을 확인했으니 신차도 나왔고 해서 다시 스티커를 제작하기로 결정했습니다.



2013년 11월에 처음 만들어 붙였으니 5년도 넘었군요. 


종전과 같은 컬러에 같은 재질로 반사 컷팅 스티커를 제작하기로 하고 시안을 만들어 보았습니다.



그렇게 완성된 시안은 대충 이런 느낌.


거지라 많이는 뽑지 못하고 그래도 만나는 사람들 하나씩 나누어 줄 정도로는 만들었습니다. 일사천리로 오더를 넣어 컷팅된 스티커를 택배로 받았고, 더 뉴 아반떼에 먼저 부착하기로 합니다.



시트지가 붙은 상태로 발송되어 왔습니다.


큰거 맏기는 업체야 바쁘다보니 이런 작은건 얘기하기도 뭐하고 최소 5~6년째 가끔씩 자잘한 소량 출력을 맏기는 업체인데 항상 이렇게 시트지까지 발라서 옵니다. 장당 단가가 조금 비싸도 딱히 손이 갈 일이 없다는게 이 업체의 장점이라면 장점이지요.



바로 지하주차장으로 달려나가 스티커를 부착할 위치를 잡아봅니다.


세단형 차량의 경우 보조제동등이 들어오는곳 바로 위. 열선 라인과 시트지의 눈금선을 맞춰줍니다.



부착 위치를 잡은 뒤 잘 떼어내어 유리에 붙여줍니다.


근데 부착위치 주위를 물티슈로 닦아주고 물기를 제거하지 않고 그냥 시트지를 붙여버렸습니다.. 쉽게 붙일 수 있는데 괜히 일을 크게 만들어 큰 난관에 봉착했지만, 조심스럽게 부착을 마쳤습니다.



부착완료.


반사스티커라 빛이 뿜어져 나옵니다. 낮에 보더라도 그리 디자인적으로 떨어지는 스티커도 아니고요.



가까이에서 봐도 마음에 듭니다.


O부분이 시트지를 떼어내면서 조금 꺾였지만, 그래도 부착에는 문제 없더군요. 해치백 차량에는 전통적인 스티커 부착 위치인 유리 상단 측면에 붙여주면 될테고요. 조잡하지 않은 세련된 디자인이 마음에 듭니다.



멀리서 보면 이런 느낌이네요. 마음에 듭니다.


만나는 순서대로 원하신다면 새 티스도리닷컴 스티커를 드립니다. 5년이 흐르고 10년이 흐른 뒤에도 스티커가 붙은 차를 알아보고 이런 차를 봤다며 연락을 받는 일이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오래 보아도 조잡하거나 질리지 않는 디자인이니 시대가 흘러도 그리 오래되었다는 느낌이 들지는 않을겁니다. 물론 제 생각이지만 말이죠.


P.S 다음날 세차를 하면서 고압수를 쏘아본 바 떨어지지 않는다. 다행이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