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에 해당되는 글 267건

반응형


당진시와 예산군의 군계. 신촌이라 부르는 작은 시골마을에서 목격한 점보타이탄입니다. 


지난해 여름에는 아시아자동차의 AM420CS 견인차와 함께 피견인차로 사용되던 후기형 점보타이탄을 짧게나마 보고 갔었고, 올해 2월에는 점보타이탄의 후속모델인 트레이드를 목격했었죠. 안타깝게도 천안에서 목격했던 2.5톤 트레이드는 얼마 전 폐차장의 이슬로 사라졌고 그 자리를 2012년식 마이티가 대신하고 있었습니다.



여튼 이번에 목격한 점보타이탄은 동명의 마쓰다 타이탄을 기반으로 제작된 차량입니다. 기아자동차는 1세대 타이탄을 1971년 출시하여 판매하였고, 처음에는 사실상 마쓰다 타이탄과 큰 차이가 없었지만 기아자동차의 독자적인 부분변경 움직임에 의해 1987년 우리가 흔히 볼 수 있는 점보타이탄이 탄생했습니다. 이후 자잘한 변화를 거쳐가며 후속모델인 트레이드의 출시 이후로도 1997년까지 생산 및 판매되었습니다.


물론 트레이드 역시 2세대 점보타이탄을 기반으로 생산된 차량이지만, 장축 및 고급형 차량으로 후속모델인 트레이드를 판매하면서 6년 이상 1세대 타이탄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구형 모델인 점보타이탄을 병행하여 판매하였습니다. 지금도 현대자동차에서 신형 마이티(WQ)를 판매하면서 폭이 좁은 내로우캡 전용 2톤 모델로 구형 차량을 판매하는것과 같은 상황이라 보면 되겠습니다.



한적한 시골 도로변에 세워진 점보타이탄 1.4톤 모델입니다.


물론 지금은 봉고 기반의 1.4톤 트럭이 생산되고 있습니다만, 이 시절만 하더라도 타이탄의 고유 영역이였습니다. 아직 마쓰다의 색채가 강하게 남아있던 초기형 타이탄과 슈퍼타이탄을 시작으로 일본에서 2세대 모델의 등장으로 사실상 구형모델을 판매하게 된 시점부터 동명의 마쓰다 타이탄과는 다른 독자적인 디자인을 가지기 시작했습니다.


물론 지금 도로 위에 보이는 타이탄들은 위와 같은 87년 이후 생산된 점보타이탄입니다. 점보타이탄 역시 기아자동차 로고가 바뀌기 전의 초기형과 타원형 로고가 적용된 중기형 그리고 그릴의 형상이 변경된 후기형으로 나누자면 나눌 수 있는데, 이 차량은 1991년 8월 최초로 등록되었으나 그릴은 타원형 로고가 박힌 그릴이 장착되어 있습니다.



적재함은 예전에 다른 목적으로 사용되다가 덧칠을 올린건지 옛 칠의 흔적드이 보이기도 하네요.


여러모로 시골에서 농기계를 옮기는 목적으로 사용되는 점보타이탄입니다만, 지금의 임무를 부여받기 전에는 회사 도색을 하고 돌아다녔으리라 유추가 가능합니다. 적재함의 형태와 구조는 같은 년식의 2.5톤 트레이드와 큰 차이가 없습니다.



등화관제등은 우측만 살아있네요.


물론 정상적으로 작동하리라는 보장은 없습니다. 그래도 우측 등화관제등만이 살아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차령 30년을 바라보고 있는데다가 누가 보더라도 등화관제등이 작동하는게 신기하게 여겨지는 상태이니 말이죠.



이미 다 부식된 휠과 하체. 시골에서 굴리는 낡은 트럭들의 상태가 뭐 다 그렇지요..


생각보다 시골에서도 차를 오래탑니다. 물론 농번기에 여러 농기계를 수송하는 목적으로나 사용하고 별다른 주행이 없다보니 큰 고장이 나지 않는 이상 차를 바꿀 이유가 없지요. 도시에 비한다면 검사 기준도 느슨하고 진짜 최소한의 차량관리만 된다면 굴러다니는 상황입니다.


물론 이러한 낡은 농업용 트럭들 역시 근 1~2년 내에 대다수가 폐차될 위기에 처했습니다. 올해 7월 1일부터 충청남도는 금산군을 제외한 모든 시/군이 대기관리권역에 포함됩니다. 다른 도에서는 주요 공업도시와 그 주변의 군단위 지방자치단체만 대기관리권역에 포함되지만, 충청남도만 내륙 오지인 금산군을 제외하고 모든 지자체가 대기관리권역에 포함된다고 하네요. 


물론 대기권리권역에 포함된다면 수도권과 광역시 그리고 인구 50만 이상의 특례시에 적용되는 부하검사 방식으로 훨씬 엄격한 기준의 종합검사를 통과해야만 합니다. 검사비용은 두배 수준이고, 여러모로 어지간히 매연을 뿜는 차가 아닌이상 대부분 합격 기준 안에는 들어오는 정기검사 허용치의 절반 수준인지라 시골의 관리 안된 대다수의 차량들이 부적합 판정을 받으리라 생각되네요. 


중국발 미세먼지에는 별다른 언급이 없고, 국내 요인만 휘어잡다보니 중국하고 바다를 두고 맞닿은 충청남도의 시골까지도 수도권 및 광역시 수준의 까다로운 검사기준을 요구합니다. 노후경유차는 아니 저감장치가 달린 요즘 나온 경유차까지도 적폐이자 미세먼지의 주범취급을 당하고 있습니다.



번호판은 '충남80 가'

위에 링크를 걸어놓은 천안에서 목격했던 트레이드와 같은 기관에서 발급된 번호판입니다. 


천안에서 대략 96년 즈음에 발급된 번호판인데, 아마 그 즈음에 번호가 변경되어 대략 25년을 같은 번호판을 달고 운행되지 않았나 싶습니다. 그릴의 기아자동차 엠블렘은 타원형인 신형입니다. 와이퍼암 한쪽은 도망간지 오래고 캡 역시 흰색으로 재도장이 된 상태인데 그 위로 부식이 올라오고 있습니다. 누가 보더라도 매우 노후된 상태임을 알 수 있습니다.



타이탄 1.4톤 모델의 모델명인 K2500. 그리고 낡은 사이드미러.


백색 도장이 벗겨진 상태를 보아하니 캡도 한번 더 도색이 된 상태로 보입니다. 아마 적재함과 짝을 이룬 도색이였을건데 세월은 흐르고 흘러 덧칠 속에 숨어있는 본래의 색상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시골에서 농번기에나 사용되는 목적으로도 20년이 넘었으니 상대적으로 주행거리는 짧고 실내의 노후화는 도시에서 매일같이 주행을 하는 차량에 비한다면 덜 되었겠지만, 외관은 매우 험합니다. 



낡은 휠과 트레드가 얼마 남지 않은 낡은 타이어. 

현재도 생산중인 타이어 모델인 한국타이어의 AH03이지만 옛 로고가 박혀있습니다.


한국타이어의 로고가 소문자로 표기된지도 10년이 넘어습니다. 그 이전에는 한국타이어의 영문 상호를 대문자로 표기하였는데 OO자리를 타이어 모양으로 표기하게 된 것은 대략 20여년 전 일입니다. 그런고로 최소 15년정도 지난 타이어라는 이야기겠죠. 타이어의 트레드도 거의 다 닳았습니다만, 아마 새 타이어로 교체되는 일은 없을 것 같은 느낌입니다.



내부 상태는 농업용임을 감안해도 깔끔한 축에 속합니다.


후속모델이자 병행 생산되었던 트레이드와 같은 핸들이 적용되었습니다. 그 외의 차이점이라면 1971년 출시부터 97년 단종시까지 핸들컬럼식 수동변속기가 적용다는 부분입니다. 실내 디자인 역시 그 당시의 기아차와 별 차이 없는 형태로 디자인 되었고, 여러모로 70년대 초반 출시되어 부분변경만 여러번 거친 차량이라는 생각이 들지 않는 수준의 내부 인테리어입니다.



가죽 아니 비닐시트와 도어트림의 상태도 30년 된 차량 치곤 준수했습니다.


시트 아래가 조금 찢어진것을 제외하면 순정상태의 시트와 도어트림은 잘 보존되어 있습니다. 물론 얼마 타지 않더라도 시트가 찢어지거나 도어트림이 갈라지는 문제가 생기는 차량도 많은데 암만 시골 농업용 트럭이라 한들 그래도 그늘이나 차고같은곳에 세워 상대적으로 온전한 실내상태를 보이지 않나 싶네요.


못해도 1년 안에 최소한 충청남도 안에서는 이러한 시골 트럭들이 사라질 위기에 처했습니다. 


정기검사 대신 종합검사가 시행된다면 검사에 합격하기 위해 큰 돈을 들여 차를 고칠 확률보다 검사를 포기하고 폐차를 하게 될 확률이 높으니 말이죠. 시골에 숨어서 단거리만을 움직여 잘 포착되지 않는데다가 승용차가 아니라 큰 관심을 받지 못하고 저같은 사람들이나 주목하는 이런 낡은 트럭들 역시 금산을 제외하고 모든 시/군이 수도권 및 광역시와 동일한 기준에서 검사를 통과해야 하는 충청남도에 한해서는 대부분 자취를 감추리라 생각됩니다.


30여년의 세월을 뒤로하고 떠나갈 점보타이탄의 명목을 빕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8세대 쏘나타(DN8)의 출시 이후 택시모델의 출시는 없으리라 현대차에서 못을 박았습니다. 

물론 올해 출시된 기아차의 3세대 K5(DL3) 역시 택시모델을 출시하지 않을 것이라 하네요. 


내가 타는 차가 택시로 돌아다니는 모습을 보면 품격이 떨어진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의외로 많은것도 놀랍습니다만, 택시나 렌터카로 타는 차라는 이미지를 탈피하기 위함과 함께 택시 전용모델을 만들어 보급한다는 계획인데 프리미엄 브랜드인 벤츠마저도 자사의 E클래스 세단을 택시를 보급하는 마당에 일개 대중 브랜드인 현대차의 주력 모델인 쏘나타에 택시모델을 출시하지 않는다 해서 품격이 올라가는지는 개인적으로 의문입니다.


쏘나타 K5 판매량의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게 택시 모델인지라 자가용 대신 영업용 택시나 렌터카의 이미지가 굳어진다는게 그 이유라고 합니다만, 그동안 자동차 시장의 트랜드는 세단형에서 SUV로 옮겨가며 세단인 쏘나타의 인기가 예전같지 않은 것도 있고 비슷한 가격대에 소비자가 살 수 있는 차종이 늘어난것도 사실입니다. 


물론 쉐보레는 자칭 미제 고급 브랜드를 표방하며 공격적인 마케팅으로 택시기사를 공략하던 대우시절을 잊고 팔리는둥 마는둥 하던 올란도 단종 이후 택시모델의 판매를 중단하였으며, 르노삼성은 신뢰의 1세대 SM5 이후 점유율이 하락하여 사실상 현대기아의 경쟁상대가 되진 못하는 상황입니다. 3세대 SM5 택시는 주로 개인택시로 많이 보였지만 부산지역에서는 L43 SM5가 법인택시로도 돌아다니는 모습이 보이기도 했습니다. SM5의 단종 이후 SM6과 SM7 택시는 사실상 개인택시 기사들을 타깃으로 소량 판매되고 있지요.


사실상 현대기아의 택시모델 경쟁상대는 르노삼성말곤 없습니다. 특이케이스로 전기택시로 쉐보레 볼트를 출고하는 경우가 있습니다만 이건 제외하기로 합시다. 트렁크 공간을 일반 휘발유 차량처럼 활용 할 수 있지만 상대적으로 연료탱크 용량이 작은 도넛탱크가 택시 영업에는 오히려 발목을 잡는 요소라고 하네요. 거기에 삼성차 특유의 비싼 수리비는 경제성을 중시하는 택시시장에서 경쟁력을 가장 크게 저하시키는 요소입니다. 


어디까지나 편의성에서 SM6 혹은 근래 LPG 모델이 택시로 자주 보이는 QM6로 대표되는 르노삼성의 택시모델이 쏘나타나 K5보다 뛰어날 수 있겠다만, 상대적으로 비싼 차값과 수리비는 내구성과 함께 경제성을 중시하는 택시로 쏘나타와 K5가 많이 보일 수 밖에 없는 이유입니다.


택시로 선택되는 차종은 내구성과 경제성을 인정받은 차량이라 생각됩니다. 비슷한 시기에 출고되었지만 현대기아의 택시모델은 연장검사를 거쳐 내구년한 만료 임박시점까지 타는 경우가 종종 보이는데 GM대우의 토스카는 2011년까지 판매되었지만 변속기 자체의 문제가 많았던지라 쉽게 볼 수 없게 된지 대략 3~4년은 지난 느낌입니다. 그만큼 내구성 좋은 택시가 내구연한을 다 채운다는 얘기겠지요.



여튼 본론으로 넘어가 홍성에서 DN8 택시를 보았습니다.

지난해 11월에 등록되어 대략 7개월째 영업중인데 저는 왜 처음 봤는지 모르겠습니다.


물론 저가형 모델인지라 말리부 휠과 비슷하게 생긴 16인치 알루미늄휠이 적용되었습니다. 그럼에도 택시전용 모델인 뉴라이즈 깡통보다는 300만원 이상 비싸고, 뉴라이즈 택시 최고사양인 프리미엄과 비슷한 가격대에 구입이 가능합니다. 뉴라이즈 고급형 택시를 구입하려는 상황이라면 DN8 LPG 모델을 구입하여 택시로 개조하여 영업하는것도 몇몇 옵션을 포기한다면 나쁘지 않은 선택이라 생각되네요.


LF쏘나타 출시 당시에도 택시모델을 출시하지 않는다고 했다가 판매량이 떨어지자 번복하고 택시모델을 내놓았던 전력이 있던지라 이후 판매량이 떨어진다면 택시모델을 판매할 확률도 존재하긴 하겠습니다만, 이렇게 개인택시 사업자가 택시로 사용하는 행위는 막지 않겠다고 합니다.


물론 현대차와 기아차의 택시가 내구성과 경제성을 모두 만족하는 매우 좋은 영업수단임은 인정하고 그러한 노하우를 바탕으로 택시 전용 모델을 개발한다는것에 그리 토를 달고 싶은 생각은 없습니다만, 종종 택시를 타는 제 입장에서는 대략 10여년 전 처럼 다양한 브랜드에서 출시된 다양한 차종의 택시를 타 볼 수 있었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