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오늘의 올드카 목격담은 서산의 한 아파트 지하주차장에서 목격한 91년식 초기형 콩코드입니다.


신군부의 자동차공업 합리화조치가 해제된 이후 1987년. 기아자동차 역시 다양한 승용차를 출시합니다. 프라이드도 이 시기에 출시되었고요. 오늘의 주인공인 콩코드 역시 같은 시기에 출시되었습니다. 


당시 막 단종되었던 마쯔다(MAZDA) 카펠라의 3세대 모델인 GC형을 그대로 도입하여 라이센스 생산하였는데, 당대 함께 경쟁하던 중형차인 대우자동차의 로얄과 현대의 소나타가 고급스러움과 크고 넓은 공간으로 승부를 보던 시기에 준중형차 수준의 짧은 전장과 휠베이스로 크고 넓은 차를 선호하는 한국 시장의 특성상 열세를 보일 수 밖에 없었습니다. 이후 콩코드보다 조금 작은 캐피탈의 등장으로 같은 차체로 중형차와 준중형차를 판매하게 됩니다.


엔진 역시 마쯔다에서 사용하던 1.8 SOHC, 2.0 SOHC F엔진이 초기형에 적용되었고, 이후 2.0 DOHC와 택시형 모델을 위한 1.8 LPG와 2.0 디젤인진이 추가되었습니다. 이번에 본 차량은 초기형 1.8 SOHC 모델입니다.



그렇습니다. 뉴 콩코드도 아니고 초기형 콩코드의 모습입니다.

최초등록은 90년 4월. 만 30년이 넘은 진귀한 올드카입니다.


하얀색 전국번호판이 상대적으로 깔끔한 상태인지라 아마 비교적 근래에 복원을 위해 누군가가 이 콩코드를 구입하여 아파트 지하주차장에 세워두지 않았나 싶습니다. 흰색 전국번호판이 깔끔하다는 얘기는 오래된 지역번호판을 철거했다는 얘기겠지요.



다만, 콩코드 옆으로 엔진오일로 보이는 기름이 누유되고 있었습니다.


떨어지는 수준이 아닌 흘러내리는 수준이네요. 자력으로 운행을 하다간 폐차장에 갈 처지이니 아마 추후 견인차의 힘을 빌려 지하주차장을 빠져나가지 않을까 싶습니다. 이렇게 오일이 흘러내리는데 관리사무소에서도 아무런 얘기가 나오지 않는다는게 신기하게도 느껴지네요.



전반적인 상태는 좋지 못합니다.


여기저기 기스와 스월마크 칠이 벗겨진 부분들과 덧칠의 흔적들. 간간히 부식도 보이네요. 최대한 출고칠을 살리면 좋겠다만 이렇게 가망이 없는 경우에는 부식을 잡고 새로 칠을 하여 깔끔한 차량을 만드는것이 최선책입니다. 여러모로 이 콩코드를 가져온 차주분 역시 큰 돈 들여 복원작업을 할 생각을 가지고 차를 구입하셨겠지요.



주유구 주변으로 보이는 무수히 많은 기스. 주유구 역시 단차가 맞지 않습니다.


주유구가 고장이 나 직접 수동으로 열어야 할지도 모릅니다. 혼자 푹 들어가 있는 모습이네요.



뒤로 넘어와 봅니다. 콩코드 레터링과 옛 기아자동차 굴뚝로고.

그리고 마치 스모키 필름을 씌운 느낌의 후미등의 모습도 보입니다.


물론 실제로 양카들처럼 스모키필름을 덮어씌우지는 않았습니다만, 본래 신차 시절에도 콩코드의 후미등은 조금 어두운 느낌이였습니다. 거기에 세월이 흐르며 점점 더 검게 그을려 마치 스모키 필름을 씌운 느낌의 후미등으로 변하게 되는것이죠. 혼자만 상대적으로 색상이 보이는 우측 후미등은 아마 중간에 교체하지 않았나 싶습니다.



그리고 차보다 더 귀한 휴지곽을 만났습니다.


LG정유가 계열분리로 GS그룹으로 넘어간게 2004년. 그 이전에 LG정유 보너스 카드 광고가 대략 제가 일곱살때 TV에서 흘러나왔고, 신중현이 부른 미인이야라는 곡의 가사를 개사한 그 노래를 유치원 버스에서 다같이 흥얼거렸던게 기억납니다. 대략 98년 99년 광고 모음을 보니 그 시기에 LG정유 보너스카드 광고가 방송을 탔던 흔적이 보이네요.



위 영상은 당시 최고의 인기를 구가하던 개그맨 김진수가 출연하였고, 한석규 강부자 전원주 버젼이 있었음을 기억합니다. 아마 그 즈음에 주유 후 증정용으로 제작된 휴지곽으로 보이네요. 휘발유 브랜드를 테크론에서 시그마6로 변경한 뒤 광고 역시 시그마6로, 휴지곽 역시 시그마6 로고로 바뀐걸로 기억합니다. 못해도 20년 이상 된 휴지곽이라 보면 되겠죠. 제가 어릴때 봤던 휴지곽이니 말입니다.


차는 그래도 몇대 남아있겠지만, 저 휴지곽은 아마 유일하게 콩코드 안에 남아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여러모로 여기저기 바래고 긁히고 덧칠을 하게 된 흔적들이 보입니다.


뒷범퍼의 크롬라인은 이미 락카칠로 더럽혀진 상태. 아마 신품 범퍼 구하기가 하늘의 별따기인지라 복원을 한다 해도 이 범퍼와 크롬몰딩을 어떻게든 살려내야만 합니다. 당시 콩코드의 고급형 모델에는 알루미늄휠과 전자식 계기판이 적용되었지만, 1.8 SOHC 엔트리 모델인 이 콩코드는 스틸휠과 휠커버가 적용되었습니다.



크롬과 락카는 반응하지 않습니다. 락카 덧칠이 크롬에 드문드문 묻은것을 볼 수 있네요.


락카신나로 닦으면 닦이려나요? 비슷한 굵기의 크롬 몰딩을 사다 붙이는것도 한 방법이겠지만, 차량의 본질을 흐리지 않고 복원하기 위해서는 꽤나 고된 작업이 예상됩니다.



넥센타이어 CP661. 지금은 경차 깡통모델에나 적용되는 14인치 휠과 타이어입니다.


생각보다 촘촘하게 구성되어있는 휠커버. 물론 황변현상이 오긴 했지만, 충분히 칠만 잘 해준다면 깔끔했던 상태 그대를 어느정도 재현하는데에 큰 문제는 없으리라 생각됩니다. 유독 기아차 휠커버가 저렇게 황변이 오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어릴적 패밀리카였던 세피아의 휠커버 역시 저랬으니 말이죠.



나름 깡통모델로 보여도 당대 최신기술인 자동변속기가 적용된 오토매틱(AUTOMATIC) 차량입니다.


지금은 9단 10단 자동변속기도 선보이고, 높은 연료 효율을 만들기 위해 탄생한 무단변속기와 빠른 변속을 위한 수동변속기 기반의 자동변속기인 DCT도 등장했습니다. 애초에 자율주행 기술도 자동변속기에 기반을 둔 기술이고 막상 수동변속기 차를 사고싶어도 살 수 없는 상황입니다만, 대다수의 자동차가 수동변속기를 사용하던 이 시절만 하더라도 일일히 클러치를 밟고 변속을 해 줘야 하는 수동변속기와 달리 악셀만 밟고 있으면 알아서 변속이 되는 오토매틱은 엄청난 자랑거리였습니다.



짧고 뭉툭하고 각진 사이드미러.


물론 원본 모델인 카펠라 GC형은 앞 휀다에 미러가 달려있었습니다. 이미 마쯔다는 신형 차량을 생산하기 시작했고 한물 간 카펠라를 라이센스 생산하던 기아차가 사이드미러의 자리를 옮긴것이라 봐야 맞겠습니다. 80년대 자동차의 사이드미러는 모두 이런 각진 형태를 지니고 있었습니다. 그나마 90년대 초반에 출시되는 차량들부터 더욱 커지고 다양해진 사이드미러가 등장했지요.



실내 상태는 매우 준수했습니다.


특유의 노티나는 직물시트. 도어트림도 큰 훼손 없이 유지중이였고요. 특유의 3스포크 핸들과 뼈다귀만 앙상하게 보이는 자동변속기의 모습도 보입니다. 



다시 앞으로 돌아왔습니다. 전조등과 앞범퍼의 상태는 상대적으로 준수합니다.


앞범퍼 역시 코너에 긁힌 부분이 있지만 덧칠을 했던 흔적도 없고 크롬라인까지 살아있습니다.



공장기아 엠블렘과 세로로 나열된 라인까지 크롬이 살아있습니다.


크롬광택제로만 한번 잘 닦아준다면 별 문제 없어보이는 상태네요.



우측 방향지시등도 깨져있습니다.


아무래도 본격적인 리스토어 작업을 위해 잠시 쉬고 있는 상황으로 보여집니다. 전반적인 상태는 그리 좋은 수준이 아니지만, 말끔한 모습으로 다시 태어나 지나온 30년의 세월만큼 오래오래 살아남았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이거때문에 블루핸즈를 대략 세번 더 다녀왔습니다.



엔진오일 교체 당시 발견했던 전방 센서 문제로 센터를 무려 세번씩이나 갔네요. 일단 배선 혹은 센서 자체의 문제 둘 중 하나인데 빠른 교체를 위해 센서를 주문했습니다. 센서가 왔다는 얘기를 듣고 시간을 내서 내포현대서비스에 방문했었죠.



뭐 한참을 확인하더니 판금도장부로 가서 차를 뜯기 시작합니다.


그냥 센서만 갈면 될 줄 알았죠. 근데 센서를 갈아도 경고등이 계속 뜬다고 합니다. 한참을 뜯고 다시 끼우고 어쩌고를 반복합니다. 처음에는 그릴 안으로 손을 넣어서 센서만 빼고 교체하더니 그마저도 여의치 않는지 계속 이거저거 시도를 하는 모습이더군요.



탈거된 센서와 신품 센서의 사진을 촬영하고 있습니다.


보증수리이다보니 아무래도 이렇게 교체되는 부품들의 사진을 찍어서 현대차에 보고를 해야만 하나봅니다. 그렇게 사진도 찍고 교체도 하고 했지만 경고등은 계속 들어오니 범퍼를 결국 내리네요. 범퍼를 내려서 확인합니다. 범퍼 탈거를 하는 판금부 직원들도 달려들지만 해결이 되지 않는지 일반 정비부 정비사님들도 달려들어 확인하더군요.



그렇게 한시간 넘게 범퍼를 탈거까지 해가며 찾은 원인은 배선이였습니다.


센서는 정상적으로 작동하는데, 라디에이터 그릴 오른쪽 센서로 가는 배선 하나가 단선된 모습이 보이더군요. 딱히 뜯거나 뭐 문제를 일으킬만한 행동을 했던 적도 없고, 어느날 갑자기 저 자리의 센서가 이상하다는 경고등이 떴는데 참 신기합니다.


여튼 50%의 확률로 센서 아니면 배선이라고 했는데, 50%의 확률로 틀려버렸더군요. 그렇게 부품을 반품한 뒤 다시 주문합니다. 이후 부품이 왔다는 연락을 받고 갔는데, 요즘 일이 바빠 시간을 내기 힘든데 판금부는 일이 많다고 꼭 예약한 날에 와야한다고 합니다. 그래서 결국은 두짝 구해왔던 중고타이어만 교체했네요.



그리고 세번째 방문입니다. 엔진오일 교체까지 포함하면 네번째 방문이네요.


본래 전날 갔어야 합니다만, 전날 업무가 너무 늦게 끝나 다음날 아침에 가겠다고 하고 금요일 오전에 센터가 오픈하자마자 달려갔습니다. 확실히 아침 일찍 가니 차도 많고 사람도 많네요. 그 많은 사람들과 자동차 사이에서 차례를 기다립니다. 어짜피 이젠 자주 가서.. 더군다나 요 근래에 자주 모습을 비췄던지라 창구만 가도 이제 알아서 해 줍니다.



91845 F2010 WIRING HARNESS-F.P.A.S

와이어링 하네스-F.P.A.S 22,770원


그렇습니다. 범퍼에 들어가는 배선뭉치입니다. 대부분 앞범퍼가 아작나면 함께 아작나기에 범퍼와 함께 나가는 물건 중 하나지요. 어디까지나 삼각떼의 전방센서를 연결하는 배선이니 삼각떼 전용 부품입니다. 그래도 생각보다 앞뒤빵 먹은 삼각떼가 많은지라 부품집에 상시 비치된 상태로 생각했는데 이것도 주문을 하고 한참 지나서 받아왔네요.



차는 판금도장부 작업장 앞으로 옮겨졌습니다.


어디선가 뒷빵을 맞고 작업중인 은색 삼각떼와 앞범퍼를 탈거중인 G70의 모습이 보입니다. 여러모로 큰 공업사 규모를 자랑하고 있고 긴급출동을 다니는 렉카까지 하나 가지고 있으니 사고차도 많이 들어옵니다. 그러니 판금부 일이 끊이지 않겠죠. 대체 언제 작업이 진행되나 기다리니 곧 작업이 시작됩니다.



범퍼를 탈거하여 작업대에 올린 뒤 배선을 교체합니다.


어짜피 일반보증 기간을 3년 6만km에서 2년 8만km로 바꿔놓았으니 아직 대략 1만km 수준의 보증기간이 남아있습니다. 현대자동차 홈페이지에 가서 기존의 3년 6만km의 일반보증기간을 2년 8만km 혹은 4년 4만km로 변경 할 수 있습니다. 모르는 분들이 생각보다 많으시고 일선 현장에서도 변경이 가능하다는 사실을 모르는 경우가 많습니다만 자신에게 유리하게 보증기간을 바꿀 수 있답니다.


물론 한 해에 2만km 수준을 타고 다닌다면 딱히 바꿀 이유가 없지만 주행거리가 많지 않으신 분들은 4년 4만km, 저처럼 주행거리가 많은 사람들은 2년 8만km로 설정하고 다니면 유리하게 보증수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여튼 작업을 마치고 나니 또 범퍼에 붙은 우측 센서가 반응이 느립니다. 사실 어제도 아무것도 없는데 센서가 반응하더니만 말이죠. 뭐 여튼 이것도 보증기간 만료 전에 와서 교체하기로 합니다.



자동차 점검 정비명세서를 받았습니다.


부품은 와이어링 하네스-F.P.A.S를 사용했고 작업은 FEM 와이어링 어셈블리 교체작업이 들어갔습니다. 공임은 얼마나 들어가는지 모르겠지만, 보증수리인지라 무상으로 처리되었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