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20년 처음이자 통산 여섯번째 엔진오일 교체.



그렇습니다. 지난 12월 엔진오일을 교체하고 대략 7000km 가까이 주행했습니다. 물론 이전에는 정말 오일을 갈러 갈 시간이 없어서 한참 더 굴리곤 했습니다만, 오전에 일이 없어 한가하던 지난 목요일. 집 뒷편의 블루핸즈 내포현대서비스를 찾았습니다.





모처럼만에 미세먼지 없는 푸른 하늘. 그리고 항상 북적이지만 웬일로 한적한 내포현대서비스.


그렇습니다. 점심시간을 대략 한시간정도 앞둔 시간에 갔습니다만, 작업장에 차가 그렇게 많지 않습니다. 보통 작업장이 가득 차고 판금을 기다리는 차량들까지 부지를 가득 매우고 있어야 하는데 말이죠. 아마 명절이 끼었던지라 설 전에 대다수의 차량을 출고해서 그렇지 않나 싶습니다.



뭐.. 이제는 접수만 하면 알아서 가지고 가서 띄워줍니다.


제가 딱히 별다른 얘기를 하지 않아도 알아서 가지고 가 줍니다. 이번에는 에코 프리미엄 엔진오일 대신 중간에 한번 넣었던 "ZEO DX 5W30 API CJ-4" 요 오일을 한번 더 넣어보려 합니다. 에코 프리미엄에 비해 무거운 엔진오일이긴 합니다만, 그래도 고속에서는 꽤나 조용하고 안정적이면서도 우월한 가속력을 보여줍니다.


뭐 연비 내려고 타는 디젤딸딸이 가지고 밟을 일은 그리 많지 않지만 말이죠.



오늘은 더뉴아반떼의 가격표를 구경합니다.

렌터카용 말고 일반인용 LPG 모델은 생각보다 비싸네요.


삼각떼도 이제 끝물입니다. 아마 2월에 신형 아반떼 CN7이 공개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삼각떼도 뚜벅이들이 그렇게 욕을 해댔는데, 신형 아반떼의 디자인은 좀 더 개성있는 모습이 나올텐데 그걸 보곤 뭐라 할지 모르겠네요.


여튼 오늘도 저를 추월하려 하던 LPG 삼각떼 렌터카를 가지고 놀았습니다. 가속을 하면 월등한 토크빨로 쭉 밟아주고, 속도를 줄이면 발을 떼고.. 스포츠한테는 토크밴드를 넘어서는 고속으로 가면 조리돌림 당하는데, 뭐 만만한 까스차랑 놀아야죠..


그렇게 가격표를 보고 있는데, 오일이 비친다고 저를 부립니다.



엔진오일이 흥건하게 타고 내려온다고 합니다.


이제 겨우 1년 탄 차가 뭐 벌써 오일이 비치나 싶네요. 일단은 오일을 모두 닦아내고 점심시간이 지난 뒤 시동을 걸어 오일이 어디에서 새는지 확인하기로 합니다. 점심시간 전에 차를 받을 줄 알았습니다만, 졸지에 정비소 점심시간동안 다른 볼일을 보고 와야 하는 처지가 되었습니다.



언더커버에도 엔진오일이 흥건하게 묻어있습니다.


대체 이유가 뭐길래 이렇게 많은 오일이 새어나왔을까요. 일단 트렁크에서 교체할 엔진오일을 꺼내두고 볼일을 보러 다녀왔습니다. 이정도면 바닥에 떨어지는 모습을 확인하고 일찌감치 정비소에 왔을텐데, 바닥으로까지 떨어지지 않고 커버에만 떨어진듯한 느낌입니다.



점심시간이 끝나고. 시동을 걸은 뒤 차량을 리프트에 올립니다.


그리고 누유가 되는 모습을 찾기 위해 정비부에 계신 모든 정비사분들이 삼각떼 앞에 모여 누유가 되는 부분을 확인하기 위해 한참을 주시하였지만, 누유가 되는 모습을 찾지는 못했다고 합니다. 오일필터 씰에서 압력을 이기지 못하고 누유가 되었을 확률도 있고, 일단은 혹시 모르니 며칠 타 보고 다시 들어와서 확인을 해보자고 합니다. 


뭐 찜찜하긴 합니다만, 며칠 타보고 다시 가서 띄워봐야죠. 뭔 새차가 벌써부터 오일이 비치나 싶은 생각이기도 합니다만, 보증은 충분히 남아있습니다. 엔진룸은 새차때부터 주기적으로 털어주고 닦아줘야 지워지지도 않는 묵은때가 묻지 않아 꽤나 신경써서 닦아주고 있었습니다만, 이미 아래는 오일 범벅이가 되어 제대로 닦지 않는 이상 쉽게 지워지지 않는 묵은때가 묻어버리게 된 처지입니다.



그렇게 찜찜하지만 오일 교체를 마치고 정비내역서와 교환주기 스티커를 받았습니다.


비용은 4만원. 블루멤버스 현대카드의 혜택으로 나오는 2만원 정비쿠폰을 사용하고 남은 2만원만 결제하고 왔습니다. 엔진오일은 고객소유라 0원. 오일필터와 에어크리너값과 공임만 받았습니다. 전국의 블루핸즈가 대략 비슷한 비용을 받고 있습니다. 가끔 백원단위에서 차이가 나곤 하지만 크게 신경쓰이는 수준은 아니니깐요.


여튼 그렇습니다. 언제 시간이 될지 모르겠습니다만, 다음주중에 다시 한번 더 블루핸즈를 찾아가기로 합시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올드카 목격담에 들어가기는 애매하지만, 이 조합은 상당히 보기 힘듭니다.


출시 이후 대략 보름동안 부착된 뒤 번호판 규격이 변경되어 보기 귀한 녹색 전국번호판 베라크루즈가 이 분야에서는 아무래도 가장 귀한 챠량이겠습니다만, 그에 버금가게 보기 힘든 조합의 번호판과 차량을 꼽자면 지역번호판을 부착한 쎄라토가 아닐까 싶습니다.


녹색 번호판의 베라크루즈는 그래도 여러번 보았던 기억은 있습니다만, 지역번호판을 부착한 쎄라토는 딱 세번째로 목격하게 되는 상황이네요. 기아자동차의 쎄라토는 2003년 11월에 출시되었고 2004년 1월부터 흔히 바보번호판. 칠판번호판이라 하는 녹색 전국번호판이 발급되기 시작하였으니 말이죠.


연말을 앞둔 시점에 출시되었고, 거기다가 번호판 규격이 바뀌는지라 2003년 12월 중순 이후 쎄라토를 출고한 차주들은 졸지에 구형 티가 나는 모습을 보고싶지 않을테니 대다수가 2004년에 등록하여 전국번호판을 받았으리라 생각됩니다. 거기에 전국번호판과 달리 차주가 이사를 가거나, 다른 지역에 사는 사람에게 양도되는 경우 전국번호판으로 교체가 되어 2003년에 출고되었어도 전국번호판을 달고 있는 경우도 많겠죠.


여튼 녹색번호판이 부착되었어도 지역 및 소유주의 변경시 번호판을 바꿔야 하는 의무가 없는 녹색 번호판의 베라크루즈보다 훨씬 더 적은 수의 개체가 살아있다고 여겨지는 지역번호판이 부착된 쎄라토를 보았습니다.



2004년형 2003년 등록. 초기형 쎄라토입니다.


뭔가 녹색 전국번호판으로 흔히 보이던 차량인지라, 지역번호판이 부착된 모습은 낮설게 느껴지기만 합니다. 물론 신차 출고 이후 주인이 단 한번도 바뀌지 않았거나, 주인이 바뀌었다 한들 같은 경기도 지역 내에서 변경되었고 번호판을 그대로 사용하는 경우가 아닐까 싶습니다. 


여튼 매우 보기 귀한 케이스로, 경기 36. 안양시 지역에서 발급되었던 번호판입니다. 안양시에서 먼저 부여된 경기 35로 시작하는 번호판은 지금도 종종 보입니다만, 경기 36은 2003년에만 잠시 풀렸던 번호대역인지라 쉽게 볼 수 없는 숫자입니다.


뒤 휀다 부분에 약간의 부식은 있었지만, 전반적으로 깔끔한 상태의 흰색 쎄라토였습니다. 현대자동차의 기아자동차 인수 이후 XD 플랫폼으로 처음 개발된 차량이 바로 쎄라토였습니다. 물론 이 당시만 하더라도 기아차는 같은 성능을 지녔지만 편의사양이나 디자인에서 한단계 떨어지는 현대의 아류 느낌이 강하게 느껴지던 시기였습니다. 


물론 이와 같은 의도적인 핸디캡 탓에 판매량도 그리 좋지 못했던게 2000년대 초중반의 기아차였고, 2008년 디자이너 피터 슈라이어를 영입해온 뒤 날렵하고 독창적인 디자인으로 승부수를 띄워 현대의 아류작 취급이였던 기아차가 본격적으로 특색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지금은 동급의 경쟁 차량들과 마찬가지로 중고차 수출 효자품목으로 여겨져 어지간해서는 수출길에 오르고 있습니다. 이는 2003년 출시된 초기형, 2005년 일부 부분변경을 거친 중기형, 2006년부터 포르테 출시 직전까지 판매되었던 싸이가 광고를 촬영했던 후기형 모두 공통적으로 해당되는 부분입니다.


벌써 17년차에 접어드는 노후차량인지라 2020년대를 모두 보내지 못하고 사라지겠지만, 부디 오랜 세월 지역번호판을 부착한 흔치 않은 모습 그대로 잘 달려주었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