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글'에 해당되는 글 2802건

반응형

올드카 목격담에 들어가기는 애매하지만, 이 조합은 상당히 보기 힘듭니다.


출시 이후 대략 보름동안 부착된 뒤 번호판 규격이 변경되어 보기 귀한 녹색 전국번호판 베라크루즈가 이 분야에서는 아무래도 가장 귀한 챠량이겠습니다만, 그에 버금가게 보기 힘든 조합의 번호판과 차량을 꼽자면 지역번호판을 부착한 쎄라토가 아닐까 싶습니다.


녹색 번호판의 베라크루즈는 그래도 여러번 보았던 기억은 있습니다만, 지역번호판을 부착한 쎄라토는 딱 세번째로 목격하게 되는 상황이네요. 기아자동차의 쎄라토는 2003년 11월에 출시되었고 2004년 1월부터 흔히 바보번호판. 칠판번호판이라 하는 녹색 전국번호판이 발급되기 시작하였으니 말이죠.


연말을 앞둔 시점에 출시되었고, 거기다가 번호판 규격이 바뀌는지라 2003년 12월 중순 이후 쎄라토를 출고한 차주들은 졸지에 구형 티가 나는 모습을 보고싶지 않을테니 대다수가 2004년에 등록하여 전국번호판을 받았으리라 생각됩니다. 거기에 전국번호판과 달리 차주가 이사를 가거나, 다른 지역에 사는 사람에게 양도되는 경우 전국번호판으로 교체가 되어 2003년에 출고되었어도 전국번호판을 달고 있는 경우도 많겠죠.


여튼 녹색번호판이 부착되었어도 지역 및 소유주의 변경시 번호판을 바꿔야 하는 의무가 없는 녹색 번호판의 베라크루즈보다 훨씬 더 적은 수의 개체가 살아있다고 여겨지는 지역번호판이 부착된 쎄라토를 보았습니다.



2004년형 2003년 등록. 초기형 쎄라토입니다.


뭔가 녹색 전국번호판으로 흔히 보이던 차량인지라, 지역번호판이 부착된 모습은 낮설게 느껴지기만 합니다. 물론 신차 출고 이후 주인이 단 한번도 바뀌지 않았거나, 주인이 바뀌었다 한들 같은 경기도 지역 내에서 변경되었고 번호판을 그대로 사용하는 경우가 아닐까 싶습니다. 


여튼 매우 보기 귀한 케이스로, 경기 36. 안양시 지역에서 발급되었던 번호판입니다. 안양시에서 먼저 부여된 경기 35로 시작하는 번호판은 지금도 종종 보입니다만, 경기 36은 2003년에만 잠시 풀렸던 번호대역인지라 쉽게 볼 수 없는 숫자입니다.


뒤 휀다 부분에 약간의 부식은 있었지만, 전반적으로 깔끔한 상태의 흰색 쎄라토였습니다. 현대자동차의 기아자동차 인수 이후 XD 플랫폼으로 처음 개발된 차량이 바로 쎄라토였습니다. 물론 이 당시만 하더라도 기아차는 같은 성능을 지녔지만 편의사양이나 디자인에서 한단계 떨어지는 현대의 아류 느낌이 강하게 느껴지던 시기였습니다. 


물론 이와 같은 의도적인 핸디캡 탓에 판매량도 그리 좋지 못했던게 2000년대 초중반의 기아차였고, 2008년 디자이너 피터 슈라이어를 영입해온 뒤 날렵하고 독창적인 디자인으로 승부수를 띄워 현대의 아류작 취급이였던 기아차가 본격적으로 특색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지금은 동급의 경쟁 차량들과 마찬가지로 중고차 수출 효자품목으로 여겨져 어지간해서는 수출길에 오르고 있습니다. 이는 2003년 출시된 초기형, 2005년 일부 부분변경을 거친 중기형, 2006년부터 포르테 출시 직전까지 판매되었던 싸이가 광고를 촬영했던 후기형 모두 공통적으로 해당되는 부분입니다.


벌써 17년차에 접어드는 노후차량인지라 2020년대를 모두 보내지 못하고 사라지겠지만, 부디 오랜 세월 지역번호판을 부착한 흔치 않은 모습 그대로 잘 달려주었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업무용 똥차를 하나 샀습니다.


폐차장 가기는 아까운 굴러가는 차. 업무의 편의를 위해 어디 주요 요충지에 세워두고 탈 수 있는 차. 저는 그런 차를 원했습니다. 최소 서너번만 잘 타고 들어와도 본전은 뺄테고 폐차를 해도 별 손해가 없고 다시 되팔아도 그가격에 혹은 그가격에 팔 수 있으리라 생각해서 말이죠.


딱 그런 차가 하나 나오더군요. 2004년 11월식. 밝은 하늘색의 후기형 마티즈2입니다. 흠이라면 문제가 많은 무단변속기가 달린 모델이네요. 인천대교 버스 참사의 원인 역시 이 무단변속기가 달린 마티즈였습니다.


물론 한국GM에서 보상판매라는 명목 하에 집중적으로 사다 누르고, 말이 무상수리지 소모품인 파우더클러치의 수리비용이나 차량의 가치가 어느정도 비등해진데다가 수출길에 오르다보니 요즘은 꽤 보기 힘들어졌습니다만 그래도 2세대 스파크까지 나온 마당에 대우/한국GM의 경차 계보를 놓고 봐도 가장 귀엽고 경차스러웠던 차량이 아닐까 싶습니다.


2003년 이후 에어백이 기본적용되고 컬러팩이 들어간 차량은 지금 봐도 준수하게 여겨집니다. 마침 제 눈에 걸린 이 차량도 그런 밝은 하늘색의 후기형 차량이였네요.



2004년 11월 11일에 최초등록된 GM대우 마티즈2 BEST 고급형 모델입니다.


당시 차값으로 896만원. BEST 고급형 오토모델에 컬러팩과 에어컨만 추가했네요. 특유의 투톤 몰딩과 함께 컬러팩이 들어간 차량인지라 실내 역시 알록달록합니다. 이시절 컬러팩이 적용된 마티즈를 가장 좋아합니다. 



주행거리 11만 3천km 수준.


대략 15년 넘은 자동차가 이정도 주행거리라면 뭐 거의 세워뒀다 봐도 무방합니다. 다만 클럭스프링에 문제가 있는지 아니면 다른 부분에 문제가 있는지 에어백 경고등이 점등되어 있네요. 경적은 정상 작동합니다. 원인이 무엇인지 모르겠지만 그냥 타던지 정 거슬린다면 고치던지 해야겠죠.




순정 오디오. 그리고 수동 공조기와 크롬으로 마감된 버튼들과 크롬 에어덕트.


그래도 나름 고급사양 모델임을 알 수 있습니다. mp3 지원 오디오가 아닌 이상 깡통부터 최고사양까지 이 오디오가 적용되었습니다. 여튼 스피커 네개 다 잘 나오고 하니 딱히 바꿀 필요도 없습니다. 걍 탈거에요.



광고용으로 방치중인 빨간 마티즈와 함께...


마티즈 보기 참 힘들어졌습니다. 둥글둥글하고 귀여운 이미지의 마티즈도 2020년대 후반에는 아마 올드카 대접을 받지 않을까 조심스레 예측해 봅니다. 뭐 여튼.. 큰 문제는 없었습니다. 고질병인 와이퍼 링게이지의 고장이라던가 핸들이 좀 떠는 문제는 감수하고 넘어갈 수준이고요.


CVT 사망을 암시하는 시동시 벨트소음도 없고 그럭저럭 살살 타면 문제될건 없다 보네요. 다만 인수시 전차주가 뒷 드럼 라이닝과 휠실린더를 교체했다는데 브레이크 오일이 없었던 부분이 걸리기에 정비소를 찾았습니다.



다행히 우측 뒷드럼으로 이어지는 브레이크 파이프가 제대로 조여져있지 않아 누유되었다 하네요.


누유되던 부분을 잘 조여주고 부족하다 싶은 제동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에어만 빼주기로 합니다. 그래도 아주 잘 선다는 수준은 아니지만, 타는데 큰 문제는 없어졌습니다. 이 차를 주요 요충지에 세워둠으로서 조금이라도 더 편하게 일을 할 수 있겠죠. 아무렴 밋션 퍼지지 않도록 잘 타봐야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