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태풍이 북상하던 지난 토요일. 동네 선배와 대하를 먹기로 약속하고 맷돌포로 향했습니다.


사실상 믿을만한 자연산이 아니고는 '대하' '왕새우'라고 파는 큰 새우는 죄다 중남미가 원산지인 '흰다리새우'를 양식하여 판매합니다. 멀리까지 대하축제를 찾아가서 비싼 돈 주고 자연산을 먹지 않는게 아닌 양식대하를 먹으나 집 근처 횟집에서 파는 대하구이를 먹으나 별 차이는 없는것이죠.


물론 '대하'와 '흰다리새우'는 생긴것도 비슷하고 맛의 차이도 없습니다. 그냥 한푼이라도 더 싼 새우를 먹는것이 이득이라면 이득입니다.





양식장으로 갈까 하다가 약속장소는 이곳으로 정해졌습니다.

맷돌포구는 삽교호관광지와 송악ic 사이에 있습니다.


사람들로 북적이는 삽교호관광지와는 달리 맷돌포는 조용한 분위기의 작은 어항입니다. 항상 조용한 편인 맷돌포구에 혜주네맛집이라는 식당이 약속장소입니다. 그냥 작은 어항 앞에 있는 횟집은 아니고 해산물 요리 전문점입니다.



먼저 와서 주문을 합니다. 대하는 싯가로 1kg에 35,000원.


지난주 삽교천의 모 횟집에서 먹었던 가격이 5만원이였는데.. 그냥 통수맞은 느낌이네요. 여튼 주문을 한지 얼마 지나지 않아 기다리던 선배 역시 도착합니다. 비가 내리고 바람이 부는 궂은 날씨에 애매한 시간임에도 식당에 손님들이 몰려오더랍니다.


사실 이 식당의 대표 메뉴는 장어탕과 장어구이라고 합니다. 아나고 혹은 붕장어라고 부르는 바다장어가 상대적으로 영양분이 훨씬 많고 맛도 뛰어난 민물장어보다 저렴한 축에 속하지만, 이 식당의 바다장어는 민물장어급 맛을 낸다고 합니다.



기본적인 반찬이 셋팅됩니다.


양식장에서는 이렇게 반찬을 챙겨주지는 않지요. 횟집에서 먹는것보다는 반찬이 적은편이긴 합니다만, 대하구이를 먹다보면 반찬은 크게 먹지를 않으니 이정도면 충분합니다. 미역국과 미역무침. 감자조림과 겉절이 김치. 그리고 생양파와 당근. 이정도 반찬이면 대하가 익기 전까지 에피타이저로 먹기에는 충분합니다.



살아서 날뛰던 대하가 냄비 안으로 들어갑니다.


어찌보면 참 잔인합니다. 물 속에 있던 대하를 그대로 뜨거운 냄비 안에 집어넣으니 말이죠. 보통 다른 식당은 손님 상 위에 버너를 올리고 그 자리에서 대하를 냄비에 투입합니다만, 이 식당은 조금 떨어진 테이블에 버너를 차려놓고 대하를 냄비에 투입한 뒤 어느정도 안정이 되면 버너째 들어다 옮겨주더군요.



어느정도 익었습니다. 대가리만 놔두고 몸통만 먼저 잘라먹습니다.


어릴적에는 대하 머리를 대체 무슨맛으로 먹는지 싶었습니다만, 어느정도 나이를 먹고 보니 부드럽고 통통한 살이 일품이던 몸통도 몸통이지만은 바삭하게 익힌 머리가 훨씬 더 맛있게 느껴집니다.



대가리 하나 남기지 않고 정신없이 먹었습니다.


손으로 껍질을 까고 얘기를 나누느냐 더이상의 사진은 없습니다. 대하 1kg과 해물칼국수 1인분으로 배 터지게 먹었습니다. 해물칼국수 역시 7000원이라는 가격치고 꽤 많이 들어간 바지락과 기계로 뽑은 면이 아닌 손으로 반죽하여 자른 면의 굵기와 크기가 일정하지 않은 손칼국수라 훨씬 더 맛있게 먹을 수 있었습니다.


올해도 대하구이를 무려 두번씩이나 먹었으니 당분간 대하 생각은 없을겁니다. 여튼 배터지게 먹었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티스도리닷컴 새 콘텐츠 초딩일기는...


초등학교 재학 당시 작성했었던 일기장을 펼쳐 당시 있었던 일을 회상하고 여러분께 공유하자는 취지에서 공개하는 콘텐츠입니다. 좋은일도, 그렇지 않았던 일도 있었겠지만 한 시대를 살아가던 평범한 어린이의 일기장을 본다는 마음으로 재미나게 봐 주셨으면 좋겠습니다. 일기장은 무작위로 공개됩니다.


오늘의 초딩일기는 2005년 4월 24일에 심훈 선생의 생가에 방문했던 일을 작성했던 일기입니다. 


마침 9월 20일부터 22일까지 당진시 일원에서 소설 '상록수'와 시 '그날이 오면'을 쓴 심훈선생의 정신을 계승하자는 차원에서 개최되는 심훈상록문화제가 개최됩니다. 1977년을 시작으로 올해 43회를 맞는 이 행사는 의외로 소설의 배경이 된 지역이고 '상록구'와 '상록수역'이 소재한 안산시가 아닌 소설을 집필하던 당진시에서 개최됩니다. 


여튼 당진시 송악읍 부곡리에는 '필경사'라는 이름의 심훈선생이 소설을 집필하던 집을 복원해놓은 생가와 기념관이 있습니다. 물론 맞은편으로는 산업단지가 들어서 있습니다만, 그 이전에는 평범한 어촌마을의 모습이였다 합니다. 일기 내용부터 보고 오시죠.



제목 : 상록수


오늘 3학년때 이후(처음으)로 필경사에 가 보았다.

그때 당시 없던 것이 생기고, 같은 것은 사람이 휴일인데 오는 것을 보기가 힘들다.

(없었던 건물이 생겨나고, 방문하는 사람을 보기가 힘들다.)

살던 집은 그때보다 더 낙후되고, 통제되었다. 벌레가 생기고, 폐가 하나가 되어버렸다.

어느날 대청소를 해야되는데... 자꾸 까먹는 것 같다.

이곳에서 심훈선생이 쓴 글이 일제때 신문에 나온 것 <실제본>, 호적, 상록수 원고본 등이 있다.

오늘 이곳에(방명록) 기록하고 들어온 사람은 단 한~두명이고, 차가운 느낌이 들었다.

사람들이 필경사에 많이 찾아와서 필경사 시설이 좋아질 수 있으면 좋겠다.


선생님 말씀 - 선생님도 필경사에 못가봤는데 정수 말대로 필경사에 한번 가봐야 겠다.


결론은 초등학교 3학년 재학 당시 소풍으로 찾아간 뒤 약 3년만에 다시 필경사에 찾아간 이야기입니다. 


허름한 초가집 생가 하나만 있던 필경사에 없었던 새 건물(기념관)이 생겨났고, 심훈 선생과 관련된 여러 기록물들을 보았다는 평범한 이야기네요. 그렇지만 찾는 사람이 없고 생가의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현실에 대해 안타까움을 표현한 일기입니다. 물론 지금은 대대적인 예산을 투입하여 보수공사와 함께 공원화. 그리고 기존 부지 앞으로 주차장과 새 기념관을 지었다고 합니다. 이 이후로 14년동안 필경사에 간 일은 없었으니 조만간 다시 찾아 갈 생각입니다.


선생님께서도 필경사에 가보지 못했다고 하십니다만, 이후 필경사 근처의 학교에서 근무를 하셨던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물론 여러번 가 보셨으리라 생각되네요.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