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디젤차 오너라면 DPF 관리를 위해 거의 필수품으로 여겨지는 물건.

바로 OBD 단자를 통해 받는 차량의 정보를 표시해주는 '차량용 정보 표시장치'가 아닐까 싶습니다.


말이 거창하긴 합니다만, ECU에 전달된 차량의 각종 센서들의 정보를 자세히 볼 수 있는 장치이지요. 물론 가솔린과 LPG 차량에도 연료소모량과 엑셀레이터의 상태를 확인 할 수 있어 경제운전을 돕는데 큰 역활을 하고, 더 나아가 정비소에서 물리는 스캐너처럼 고장코드를 확인하는 기능도 가지고 있습니다.


물론 이러한 기능에 더 나아가 디젤차에 장착되는 매연저감장치(DPF) 내 쌓여있는 매연의 양과 작동 여부를 확인 할 수 있고 냉각수 수온과 배기온도로 예후열 타이밍을 잡을 수 있기에 어지간한 디젤차 오너들에게는 필수품처럼 여겨지고 있습니다.


물론 신차 출고시에 구매했더라면 더욱 좋았겠지만, 가뜩이나 어려운 사정 속에서 갑작스레 신차를 출고하여 여러모로 돈관리가 되지 않았는데 요즘들어 경제적으로 조금씩 풀리고 있기에 요 근래 와서 구매를 하게 되었습니다.




오픈마켓(옥션,G마켓,11번가,인터파크) 판매가격은 184,800원.

DAG 사용자 정보공유 카페의 공동구매 가격은 165,000원.


암만 오픈마켓 쿠폰과 포인트를 싹 쓸어서 쓰더라도 카페 공동구매가 훨씬 더 저렴하기에 카페 공동구매로 진행을 하려던 중 혹시나 싶어 검색했더니만, 다음 쇼핑하우와 네이버쇼핑을 통해 접속하면 2만4천원짜리 즉시할인 쿠폰이 붙어 훨씬 더 저렴한 가격에 판매중이였습니다. 다나와에서는 쿠폰이 붙지 않더군요.


같은 상품인데.. 네이버쇼핑이나 다음 쇼핑하우를 통해 접속하면 160,600원!!! 


뽐거지모드에 빙의하여 계산기를 두들겨 봅니다. 십일절 행사 쿠폰을 다 써도 공동구매 가격보다 한참 더 비싼데 공동구매가보다 4,400원이 더 저렴하고 카드 할부를 끊을 수 있습니다. 고민은 사치입니다. 바로 구매합니다.



그렇게 바로 구매버튼을 눌렀습니다. 신용카드 3개월 할부로 구매합니다.


물론 단말기 형태로 제작되어 나오는 다그게이지와 몬스터게이지로 대표되는 블루투스 동글형 정보전송장치를 놓고 고민도 많이 했었습니다.


흑백액정인 DAG3+ 게이지보다 블루투스 동글로 송신하여 받아오는 정보를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표출해주는 형태의 몬스터게이지가 시안성은 훨씬 우수합니다만, 마땅한 공기계도 없을뿐더러 일일히스마트폰을 하나 더 달아놓고 또 충전에 신경을 쓰느니 독립적인 단말기가 낫겠다 싶어 다그게이지로 결정했습니다.


물론 가격차이는 얼마 나지 않습니다. 다그게이지가 약간 더 비싼 수준이지요.



퇴근을 하여 집에 돌아오니 현관 앞에 택배가 놓여져 있었습니다.

물건 자체가 작은편에 속해서 그런지 상자 역시 작습니다. 


발신자는 코드시스템주식회사. 본래는 RF카드 리더기를 개발하고 만드는 회사인데, RF카드와는 전혀 관련이 없는 분야의 차량용 정보 표시장치가 현재는 사실상 주력 판매제품이 된 느낌입니다. 그냥 코드시스템 홈페이지는 2000년대 초반 이후로 전혀 개편이 없었던듯 보이는데 DAG 전용 홈페이지를 따로 만들 정도니 말이죠.


물론 카드리더기도 우리 생활과 밀접한 분야에서 사용된다 하지만 개인이 구매하기보다는 기업이나 관공서에서 구매를 하기에 우리같은 일반인들이 접할 기회는 거의 없지만, 이러한 차량용품은 개인들이 구매하는 물건이지요.



포장 박스를 뜯으니 파란색 박스가 하나 더 나타납니다.


제품명은 DAG3+ (다그3플러스). DAG가 'Driver Assist Gauge'의 약자였군요.


2008년 처음 개발된 1세대 모델로 시작하여 2012년에 3세대 모델이 탄생하였고, 현재는 3세대 모델의 액정 밝기를 개선한 개선품이 판매되고 있습니다. 그래서 DAG3 옆에 플러스(PLUS)가 붙는다는군요.



물론 거치대는 별매품인지라 따로 준비합니다.


개인적으로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는 원가와 품질대비 비싼 물건이라 생각하는데, 스파크에 달고다니다가 차량을 정리하면서 떼어온 집게형 거치대가 있기에 이 거치대를 사용하기로 합니다. 


스파크 쪽유리에 붙이고 다녔던 물건인데 꽤 오래 썼습니다. 아마 제 돈 주고 산 물건은 아닌것으로 기억하고요.. 누구한테 받았거나 뽑기로 뽑은 물건이 아닐까 싶네요.



파란 박스 속 구성품은 매우 간단합니다.


간단한 사용설명서와 DAG3PLUS 본체. OBD2 연결선. 미니5핀 PC 연결선.



DAG3+ 본체입니다. 아주 가벼우리라 생각했는데 무게감이 좀 느껴지네요.


처음 보자마자 연상되던것은 포켓 와이파이. LTE 신호를 받아 와이파이로 변환해주는 라우터처럼 생겼습니다. 생김새도 그렇고 무게도 그렇고 그냥 들고다니면서 에그라고 구라쳐도 낚일 수준입니다.



후면으로는 작은 구멍이 뚫려있고, KC인증번호와 제품의 일련번호가 적혀있었습니다.


OBD단자와 PC와의 연결을 위한 USB단자는 서로 반대편에 자리를 잡고 있더군요. 별매품으로 DAG게이지와 호환되는 HUD를 연결하는 단자도 OBD 단자 옆에 자리잡고 있었습니다.


구매시 차량정보를 입력하였기에 따로 차량정보를 변경 할 필요는 없습니다만, 그래도 궁굼하니 셋업프로그램을 설치하여 기기의 정보를 확인하기로 합니다.



별도의 드라이버 설치 없이 실행되는 간단한 프로그램입니다.


차량 정보와 관련된 기능을 설정 할 수 있고, 액정에 표시되는 정보의 위치 역시 수정이 가능합니다. 아직 써보지 않았으니 어떤 정보를 1페이지에서 숨겨야 할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내일 가지고 나가서 직접 장착해보고 이야기 하도록 하지요.



요약.

1. 160,600원에 다그게이지 샀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2019/04/13 - [티스도리의 여행이야기] - 후쿠오카+사가 여행기 (1) 인천공항. 에어서울 항공기의 지연.

2019/04/15 - [티스도리의 여행이야기] - 후쿠오카+사가 여행기 (2) 후쿠오카 도착! 혼다 피트 렌터카

2019/04/17 - [티스도리의 여행이야기] - 후쿠오카+사가 여행기 (3) 텐진 아파트먼트(Tenjin Apartment), 나카스 포장마차 거리-1

2019/04/19 - [티스도리의 여행이야기] - 후쿠오카+사가 여행기 (4) 나카스 포장마차 거리 -2, 焼鳥まことちゃん(야키도리마코토짱)

2019/04/23 - [티스도리의 여행이야기] - 후쿠오카+사가 여행기 (5) 2일차 시작, 일본의 당진(唐津) 가라쓰로 가는 길

2019/04/28 - [티스도리의 여행이야기] - 후쿠오카+사가 여행기 (6) 하마사키 해수욕장(浜崎海水浴場), 니지노마쓰바라(虹の松原), 가라쓰버거(からつバーガー)

2019/05/03 - [티스도리의 여행이야기] - 후쿠오카+사가 여행기 (7) 가라쓰성(唐津城)

2019/05/07 - [티스도리의 여행이야기] - 후쿠오카+사가 여행기 (8) 북오프 가라쓰점(BOOK OFF 唐津店), 구 미쓰비시 합자회사 가라쓰지점 본관(旧三菱合資会社唐津支店本館) / 좀비랜드사가 - 타츠미 코타로의 저택

2019/05/15 - [티스도리의 여행이야기] - 후쿠오카+사가 여행기 (9) 이마리시(伊万里市) 드라이브 인 토리(ドライブイン鳥), 이마리 유메미사키공원(いまり夢みさき公園)

2019/05/21 - [티스도리의 여행이야기] - 후쿠오카+사가 여행기 (10) 우레시노온천(嬉野温泉), 시볼트노유(シーボルトの湯) 공중목욕탕

2019/05/27 - [티스도리의 여행이야기] - 후쿠오카+사가 여행기 (11) 토요타마히메 신사(豊玉姫神社,메기신사), 무텐쿠라스시(無添 くら寿司), 2일차 마무리

2019/06/07 - [티스도리의 여행이야기] - 후쿠오카+사가 여행기 (12) 3일차 시작, 기타큐슈시립 자연사박물관 -1


지난 12부에서 계속 이어집니다.



밑도 끝도 없이 정말 많은것들이 전시되어 있습니다.


생물들의 표본에 이어 패류의 껍데기 역시 전시되어 있습니다.



인류의 진화과정을 소개해둔 공간도 있었습니다.


어찌보면 한 박물관에 중구난방으로 너무 많은 주제를 다루는게 아닐까 싶습니다만, 시립박물관 치고는 꽤 높은 퀄리티와 규모를 자랑합니다.



미생물에 관련된 짧막한 소개.



버섯을 비롯한 균계의 소개.



바닷가재와 여러 종류의 게 역시 박제로 남아 전시되어 있었습니다.



커다란 조개껍데기와 산호초는 덤.



바닷거북과 악어. 그리고 대표적인 파충류인 뱀의 박제 역시 자리잡고 있었습니다.



밑으로도 바다생물 박제가 전시되어 있고, 위로는 대형 어류들이 떠다닙니다.



기타큐슈 지역에 자생하고 있는 나무들의 나뭇잎 표본.


대략 이쯤 둘러보고 3층으로 올라갑니다.



3층에서 바라본 2층과 1층의 모습.


1층에서 2층은 중생대 공룡의 뼈를 보며 올라왔습니다. 3층 통로에서 바라본 지나 온 공간의 모습들은 정말 웅장하게 느껴지기만 합니다. 밤 늦게 온다면 영화 '박물관이 살아있다'를 실제 경험하게 될지 모르죠.



통로 바로 옆 부담스럽게 자리잡고 있는 개복치.


저 개복치는 과연 어떤 이유로 죽어 박제가 되었을까요.



자연발견관 & 생명의 다양성관으로 이동합니다.


여기까지 자연사박물관 파트가 끝났고 앞으로 보게 될 공간은 생태관에 가깝습니다.



이렇게 기타큐슈 지역의 생태계를 그대로 옮겨놓았습니다.



지역에 사는 작은 민물고기를 비롯하여 새와 같은 작은 동물들의 박제도 있고요.



지역에서 채집된 작은 벌레들의 표본까지 전시되어 있었습니다.


물론 죽어서 박제된 동물들만 있는것은 아녔습니다. 살아있는 동물들도 존재했지요.



마치 뱀처럼 목이 길은 이질적인 느낌의 뱀목거북.



이 물고기는 아프리카 아로와나(Heterotis niloticus)라고 하네요.


대표적인 대형 열대어인데 다른 아로와나종 물고기보다 훨씬 더 크고 폐로 호흡이 가능하다고 하네요.



이건 일본장수도롱뇽(andrias japonicus)이라고 하네요.


일본에만 서식하는 개체인데 최대 몸길이 1.5m까지 자란다 하네요. 양서류 중 두번째로 크다고 합니다. 물론 첫번째도 같은 종류의 중국장수도롱뇽...



다시금 큐슈지역의 생태계를 다룬곳으로 돌아옵니다.


큐슈섬의 지형도와 주요 지명이 표시되어 있습니다. 



특정 지역의 생태계를 그대로 본따 옮겨왔습니다.



늪지대와 강 그리고 계곡은 물론이고요.



바닷가 갯벌(간석지)의 생태계 역시 그대로 가져왔습니다.



심지어 따개비까지 리얼합니다..



투구게의 박제 역시 자리잡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도 분포하는 생물이지만 이렇게 큰 투구게의 모습은 처음봅니다. 이름은 '게' 입니다만, 거미와 전갈에 좀 더 유전적으로 가깝다고 하네요.



해안가에 떠내려온 쓰레기들 중 한국에서 떠내려온 쓰레기들도 보입니다.


대부분 한국의 경상남도 혹은 부산지역에서 떠내려온 쓰레기일겁니다. 대체 언제 나온건지 족히 20년은 되어보이는 샤밀이라는 이름의 샴푸통과 어구들이 보입니다. 물론 더 멀리 중국에서 건너온 쓰레기들도 있네요.



다음은 기타큐슈의 숲을 그대로 옮겨놓은 자리입니다.


여우도 보이고, 꿩도 보이고. 족제비도 보이네요.



너구리가 옮기는 식물의 씨앗들.



두루미와 학.



80년대 냄새가 풍겨오는 지질조사를 위해 필요한 준비물들.



기타큐슈에 서식중인 바다새들.



독수리의 위엄 ㄷㄷㄷㄷㄷ



그대로 옮겨놓은 석회동굴의 내부 단면을 지나 역사관으로 들어갑니다.



우리내 민속박물관에서 볼 수 있는 움막집이 그대로 복원되어 있습니다.


기원전 3세기. 한반도에서 건너온 사람들이 일본 열도에 정착하게 된 야요이시대의 움막이랍니다.



기타 석기 도구는 우리나라 박물관에서 보던것과 큰 차이는 없지요.



철기와 청동기 역시 한반도에서 전해져온 물건이기에 우리내 박물관에서 보던 물건들과 별반 다르지 않습니다.



중세까지는 사실상 한반도의 역사와 크게 차이가 없기에 건너뛰기로 합니다.



신라의 기와무늬와도 크게 다르지 않아보이네요.


대륙의 끝 한반도를 통해 열도로 문물이 전해졌기에 한반도와 일본열도는 많은 역사를 공유했습니다.



쭉 건너 근대까지 넘어옵니다. 김첨지의 영업수단이던 인력거의 모습.



일찍이 서구의 문물을 도입한 일본인지라 이런 서양식 접시도 유물로 남아있네요.


우리나라는 일제강점기가 오고 난 뒤에서야 일본을 통해 들어온 저런 도자기를 사용했으려나요.



그리고 1950년대 생활상이 담긴 주택이 복원되어 있습니다.



그시절 미쓰비시 로고는 지금과 다르지 않았습니다.



엄복동이라면 금방 훔쳐갈 짐자전거.


우리내 시골에 아직도 수십년 된 자전거를 타고 나오시는 어르신들이 계시긴 하죠.



구조는 현관 부엌과 둘 사이의 다다미 방으로되어 있고, 중산층 가정의 주택이라 합니다.


1958(쇼와 33)년 10월 20일의 하루를 재현하고 있습니다.



여러모로 대한민국의 1958년과는 다른 양상입니다.


전쟁이 끝난 뒤 이정도 살림살이를 지니고 살만한 사람들이 당시 대한민국에는 얼마나 있었을까요.



집 담장을 타는 고양이.



그 옆으로 당시 상영하던 영화의 포스터도 붙어있습니다.



그렇게 길고 긴 박물관 관람을 마치고 나왔네요.


사진은 400장 이상 촬영하여 나왔습니다만, 시간관계상 언급하지 않고 넘어간 부분이 더 많습니다. 비싸봐야 밥 한끼 수준인 600엔의 입장료에 자연사와 역사 그리고 생태계와 환경을 모두 아우르고 있습니다. 


사실상 3일차 사진의 70%를 이곳에서 촬영하여 앞으로의 3일차 일정은 빠르게 진행될듯 보이네요.


여튼 14부에서는 시립박물관을 나와 고쿠라성으로 향하는 이야기로 이어집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