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지난 주말. 차로 5분거리의 온천욕장인 세심천에 들렸습니다만, 영업을 하고 있지 않더군요.



새 도로가 뚫려 이 앞으로 지나다니지 않은지도 오래되었고.. 여튼 오랜만에 왔습니다만...


공사용 비계가 건물을 감싸고 있고, 내부 철거작업이 진행중이더군요. 8월 말까지 리모델링을 진행한 후 9월부터 다시 손님을 맞는다고 합니다. 덕산온천을 구성하고 있는 대표적인 온천욕장 중 하나인 세심천은 덕산온천관광단지 그리고 덕산 시내와도 그리 멀리 떨어져있지 않으며 예산군 덕산면이 아닌 삽교읍에 소재해 있습니다.


행정구역상 일부 지역은 내포신도시에 편입된 삽교읍 신리입니다.





항상 주말이면 주차장에 자리가 없을 정도로 북적이던 공간인데 공사 관련 차량들만 주차되어 있습니다.


그런고로 수암산 등산로 앞 작은 공터에는 세심천 주차장에 주차를 하지 못하고 등산을 온 등산객들의 차량이 평소에는 한두대 수준이지만 가득 매울 수준으로 많더군요. 등산-온천욕을 하러 오는사람들이 세심천 주차장에 차를 세우는 경우가 많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습니다.



출입구는 열려있고 불은 켜져있습니다만, 사람들의 모습은 보이지 않습니다.


처음 이 온천이 개장했던 시기가 기억납니다. 당시 저는 여섯살. 새로 생긴 목욕탕이래서 갔던 어릴적 기억이 생생합니다. 초등학교에 입학식 직전 일요일에 목욕을 와서 부모님이 해주셨던 이야기도 생생히 기억나고요. 여러모로 어릴적부터 주기적으로 이 목욕탕에 다녔던지라 생각외로 기억 나는 일화는 많습니다.


기억을 상기시켜보니 정확히 20년동안 이 온천탕을 다니면서 간간히 외벽이나 욕탕의 소소한 변화 말고는 별다른 변화가 없었네요. 어릴적 기억 속의 공간과 요 근래 방문 당시의 모습이 크게 달라지진 않았으니 말이죠.



매점 역시 문을 닫았습니다.


바로 아래에 편의점이 생겨 근래에는 종전만큼 장사가 잘 되진 않았지만, 그래도 갖가지 먹을거리와 등산용품을 판매했던 자리입니다. 리모델링 후 매점 역시 새로운 모습으로 영업을 재개할지, 조립식 건물인지라 철거 수순을 밟을지는 두고 봐야겠지요.



밖에서 지켜봐서는 공사가 진행중이라는 느낌은 적지만, 내부에서는 공사가 한참 진행중입니다.


욕탕에서 나온 폐기물이 떨어져 내려오는 파이프도 보이고, 이미 철거된 폐기물들이 산을 이루고 있는 모습도 보입니다. 과연 어떤 모습으로 새 단장을 하고 손님을 맞을지.. 다가오는 9월에 다시 찾아가도록 합시다.


P.S 덕산온천의 원조격인 원탕을 갔더니 그곳은 이미 지난해에 폐업.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아직 목격담에 들어갈만한 차는 아니지만 그래도 근래들어 꽤 보기 힘들어진 1세대 아반떼. 구아방입니다.


현재 근무중인 회사 건물의 지하주차장으로 나오는데 장애인주차구역에 주차되어 있더군요. 물론 주차증이 있는 차량인지라 주차 자체에 문제가 될 건 없었습니다.



그저 평범한 구아방으로 보입니다만...


96년부터 2003년까지 발급되었던 신형 지역번호판에 문자가 가로 시작하는걸로 보아 초창기에 나온 번호대역입니다. 즉 25년 가까운 세월을 번호판 하나 바뀌지 않고 1인신조로 관리가 된 차량이라는 이야기겠죠.


전반적으로 상태는 매우 우수했습니다. 휠의 분진을 제외한다면 전반적인 세월의 흔적조차 자잘하게 긁히고 찍힌 부분조차 없었고 차에서 광이 나고 있으니 말이죠. 급하게 나가는지라 사진을 제대로 찍지는 못했습니다만, 여러모로 우수한 관리상태를 자랑하고 있었습니다.



급해서 그냥 지나가려는데 눈길을 끄는 부분이 있었습니다.

하나 썩지도 않고 오그라들지도 않은 신차급 상태로 남아있는 연비스티커와 출고 바코드네요.


당시 구형 아반떼 오토매틱의 연비는 12.5km/. 물론 지금의 측정기준과 비교하면 어느정도의 허수가 가미된 수치입니다. 그럼 대략 실연비는 10km/ℓ정도 나왔겠지요. 요즘 기준으로 치자면 그리 연비가 뛰어난 수준은 아닙니다.


물론 그 시절보다 까다로워졌고 실연비에 가까워진 현재의 기준으로 측정된 삼각떼 가솔린의 복합연비는 14.0km/ℓ를 나타냅니다. 그만큼 엔진과 변속기의 효율이 좋아졌다는 이야기겠죠. 세월이 갈수록 퇴보하진 않을테니 말이죠.


여튼 선명한 연비스티커와 선명한 바코드. 현대나 기아차의 경우 연비스티커의 품번이 뜨고 가끔 재고를 가지고 있는 부품대리점들이 있어 쉽게 구할 수 있지만, 오래된 대우차는 구해서 붙이고 싶은 마음은 굴뚝같아도 구하지 못하는 귀한 스티커입니다. 바코드는 비슷하게 만드는 시도를 하는 사람들도 있지만, 다시 구할 수 없는 물건이기도 하고요.


여튼 노후 경유차도 아니고 휘발유 차량이니 강제로 폐차를 당할 일은 없겠지요. 한때 발에 치이던 구아방 역시 찾아보기 힘든 수준으로 세월이 흘렀습니다. 부디 오랜 세월 잘 보존되어 굴러다녔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