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04년 오산터미널 건물이 헐리고 10년이 넘는 기간동안의 오산터미널 가건물 생활을 청산하고 지난해 11월 1일 오산역환승센터가 문을 열었습니다. 전국에서 유일한 철로 위에 지어진 환승센터라는 기록도 가지게 되었구요. 전철을 타러 나가기도 매우 용이합니다.





오산 구도심 도로사정이 매우 좋지 않은지라 연착이 잦은편입니다.


그럼에도 적당한 규모에 전철을 타러 내려가기도 매우 용이한. 개념환승이 가능한 터미널입니다.



아래로는 기차가 지나가고, 위로는 버스가 정차합니다.



시간표는 수도권 강원권 방향의 상행과, 충청도 전라도 경상도 방향의 하행으로 나뉩니다.


장지,가락시장,잠실 동서울행이 15~30분 간격으로 10시까지 다니고, 인천공항행 버스는 이른시간부터 10분에서 30분 간격으로 꽤 촘촘히 들어오네요. 수원을 거쳐 인천터미널로 가는 버스도 일 4회 존재합니다.


김포공항을 거쳐 고양터미널로 가는 버스 역시 일 9회 운행하고, 성남(야탑)행 버스 역시 일 17회 운행합니다. 의정부를 거쳐 양주와 동두천을 가는 버스 역시 존재하고, 광명역과 철산역으로 향하는 버스도 일 5회 경유하며 김포를 거쳐 강화도로 가는 차도 있네요.


그 외엔 강원도 대표도시인 강릉,원주행 시외버스가 일 6회. 춘천행은 일 3회. 속초까지 가는 버스는 일 1회 정차합니다. 



대부분 수원이나 안산을 거쳐 내려가는 하행선의 경우 심야버스까지 존재합니다.


충청권으로는 일 26회의 청주 가경터미널행과, 일 20회의 대전행. 그리고 일 15회 중 4회는 세종정부청사와 세종시를 경유하기도 하는 공주경유 부여로행 버스와, 일죽터미널을 거쳐 충주로 가는 차량이 일 6회. 평택 안성 장호원을 거쳐 제천까지 넘어가는 버스도 일 2회 있습니다.


호남권으로는 일 7회 광주행, 일 6회 전주행. 그리고 일 5회 군산을 경유하여 익산으로 가는 차량과 일 3회 운행하는 남원으로 가는 차량이 있네요.


그 외에는 경상도행 차량들입니다. 일 4회 서대구행과 일 2회 북대구행. 2회의 노포동터미널행과 10회의 해운대행이 존재하는 부산행 버스와 일 7회의 울산행. 일 3회의 진주행과 일 5회의 김해행. 구미를 거쳐 의성과 안동으로 가는 6대의 버스와 마산을 거쳐 창원으로 가는 버스가 이 11회 정차합니다.


그 외에도 북대구,경주,울산,부산,김해,마산행 노선의 심야버스가 존재합니다. 



요금표입니다. 현재 운행하지 않는 노선의 요금까지 나와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인구 17만. 충남 서해안의 대표도시 서산시.


최근 당진 인구가 서산 턱밑까지 바짝 추격해왔지만, 전통적인 충남 서해안권의 중추도시는 서산시입니다. 현대오일뱅크, 롯데케미칼, 한화토탈(구 삼성토탈)과 같은 중화학 공장이 소재해 있고, 현대차그룹 계열사인 파워텍과 파텍스. 모닝과 레이를 생산하는 동희오토까지. 한번쯤 이름을 들어봤을법한 대기업 공장과 제 20 전투비행단이 소재해 있습니다.


여튼 그런 서산시에 터미널은 단 하나. 해미에 공항과 연계된 환승센터를 만든다는 등 여러 구상은 많지만 조만간 생활권이 다르고 대기업 공장이 다수 몰려있는 대산읍에 터미널이 하나 더 생긴다고 합니다만, 서산시내에는 아주 오래된 터미널만 하나 소재해 있습니다.


정식 명칭은 서산공용버스터미널. 시외버스와 시내버스가 한 건물을 같이 쓰는 공용터미널입니다.



80년 완공된 노후화된 2층건물.


이 역시 현재는 어느정도 리모델링을 거친 상태라 외관은 그럭저럭 정리가 된 모양새지만, 그래도 세월의 흔적이 보이는 건물임에는 틀림없습니다.



하차장과 택시승강장.


하차장의 버스가 다니는 통로로 횡단보도가 설치되어있어 가끔 위험한 장면이 연출되기도 합니다.



터미널 내부.


역시 근래 리모델링 공사를 마친지라 더럽거나 깨진 부분은 없습니다. 다양한 매점과 약국 그리고 롯데리아가 터미널 건물 내에 입주해 있습니다. 다만 요즘 짓는 건물에 비해 천장이 낮게 느껴지네요.



서울 센트럴시티행 버스는 20~30분 간격으로 운행중이고, 동서울행은 일 4회, 남부터미널행은 24회 운행합니다.


이외에도 성남(야탑), 인천, 김포공항,고양행 시외버스도 운행중입니다. 경상도권으로 구미 경유 포항행과 신복 울산행 버스도 운행됩니다. 센트럴시티행과 인천 직행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당진 기지시까지 경유하여 올라갑니다.



약 1시간 10분 간격으로 존재하는 인천공항행 버스와 1시간 간격으로 광명을 거쳐 안양까지 가는 버스도 있습니다.


그 외 수원행과 부천 안산행은 해미 혹은 운산 때로는 당진까지 경유하는 노선들과 직통차량이 공존합니다. 대전행 노선은 고속버스와 완행 혹은 무정차 직통 시외버스 노선이 함께 존재하며, 전라도 광주행은 일 6회 존재합니다. 



천안행 노선의 경우 다양합니다.


서산 태안 직통노선부터 시작하여 해미 홍성 내포 혹은 응봉을 거쳐 가는 노선과 당진 합덕 혹은 삽교천을 거쳐 가는 노선이 다양하게 존재합니다. 이 외에도 다양한 바리에이션이 있는데 천안종착에서 더 나아가 안성 혹은 춘천 때로는 청주까지 넘어갑니다.


그 외에도 해미 홍성을 경유하여 청양,부여,서대전으로 가는 버스와, 의정부 동두천행 버스도 존재합니다.

  


덕산경유 천안행과 서대전행 동대구행 버스 그리고 보령(대천) 군산행 버스의 시간표도 나타나 있습니다.


태안행 버스는 약 15분에 한대꼴. 몽산포,안면도행 버스는 3~40분에 한대꼴로 존재한다네요.



요금표입니다.


사실상 충남고속의 허브터미널이기도 한지라 서산을 시점으로 경상도 전라도의 중소도시행 노선은 없지만 웬만한 대도시(대구,울산,광주,포항)행 노선은 다 있습니다. 다만 아쉬운점은 부산행 노선이 당진종착으로 바뀐지라 부산에 가려면 사실상 수시로 있는 당진행 버스를 타고 당진까지 나가서 부산으로 가야합니다.



시내버스 시간표입니다. 시내구간을 도는 버스들은 꽤 촘촘히 존재합니다.



태안방면은 태안여객과 공동배차. 시내구간을 거쳐 운산,해미,구도,덕지천 방면으로 나가는 버스들도 있습니다.


해미방향의 경우 좌석버스와 초저상버스가 배차되기도 합니다.



대산방면은 900번대 좌석버스 노선의 시간표도 함께 섞여있습니다. 


그 외 부석 및 성연방면 버스 역시 빠르면 5분 간격으로 들어와 외지로 나가는 버스 치곤 상당히 촘촘하게 짜여져 있습니다. 



좌석버스 시간표입니다.


삼길포 혹은 독곶리. 더 나아가 시계를 넘어 당진의 도비도까지 넘어가는 경우도 있습니다. 추후 대산버스터미널이 생겨난다면 직접적으로 시외버스와 경쟁하지 않을까 싶네요.



승강장에 붙여진 보령 군산행 시간표. 해미를 경유합니다.



태안발 서산경유 아산,천안 직통차량 역시 일부는 한서대학교를 경유합니다.



한서대학교 학생들을 위한 서산터미널발 한서대행 시외버스 시간표.



내포신도시로 향하는 버스 시간표입니다. 


2시 44분 버스 이후로 15시 30분 버스가 사라져 낭패를 보기 쉽상이니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한서대학교 기준 버스시간표입니다.


시내버스 운임은 현금기준 1,400원. 좌석버스는 1,800원. 시외버스는 1,900원입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