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글'에 해당되는 글 2802건

반응형


오늘의 목격담은 옛 아시아자동차의 중형버스 코스모스입니다.


코스모스(Cosmos)라고 하면 보통 가을에 피는 꽃을 연상합니다만, 그 코스모스가 아니라 우주를 의미하는 그리스어 κόσμος에서 따왔다고 합니다. 아 물론 지금 현대자동차에서 판매하는 대형버스의 이름 역시 우주를 의미하는 명사인 유니버스(UNIVERSE)입니다.


여튼 아시아자동차의 코스모스는 히노(HINO)의 레인보우 P-RJ170BA 모델을 기반으로 생산했던 차량입니다만, 당시 일본에서 출시된 후속모델인 P-RJ171CA와 비슷한 디자인으로 생산 판매하였습니다. 물론 1989년 아시아자동차에서 AM818이라는 코드네임으로 출시되어 99년 외관에 큰 변화를 거친 뒤 기아자동차로 흡수합병된 2002년까지 판매되었습니다. 


물론 자세히 설명하자면 95년형부터 대쉬보드가 그랜버드와 동일하게 변경되며 '뉴 코스모스'라는 이름으로 판매되기 시작했고, 98년에 같은 히노제 엔진을 사용하던 라이노와 함께 엔진 배기량이 늘어났습니다. 그렇게 2000년대까지도 눈에 보이는 자잘한 변화를 거치며 판매되었습니다.


이번에 목격한 차량은 초기형과 동일한 외관을 가지고 있는 98년 7월 등록 뉴 코스모스였습니다.



내포신도시의 한 공원을 지나던 중 전기형 외관으로 보이는 코스모스가 있어 바로 차를 돌렸습니다.


차를 세우고 가까이 다가가 전기형 외관을 그대로 가진 코스모스를 확인합니다. 일단 94년까지 생산된 구형은 아닌 느낌이고 루프탑 에어컨과 기아자동차 엠블렘이 붙어있는걸로 보아 99년 이전까지 생산되었던 차량이라는 사실을 알 수 있었습니다.


이후 확인해보니 98년 7월에 최초로 등록된 차량이더군요. 



여러모로 일본 시내버스 같은 느낌입니다.


애초에 일본 버스 기반이고, 당대 최신의 일본 버스 디자인을 참고했으니 그렇게 느껴질만 하겠죠. 이 시절만 하더라도 아시아자동차는 존재했지만, 기아자동차와 로고를 통일하여 아시아 대신 타원형 기아 엠블렘이 붙어있었습니다. 엠블렘만 보고 기아시절 생산한 차량으로 오해하기 쉽지만, 시기상 자회사인 아시아자동차에서 생산한 차량입니다.


법무부 호송차나 일부 경찰 수송버스에서 볼 수 있는 경광등도 달려있네요.



수사차량이라 적힌 패찰이 그대로 남아있습니다. 즉 경찰에서 지휘차량으로 사용하던 버스입니다.


보통 불용으로 민간에 매각하는 과정에서 경찰의 흔적을 모두 지우거나 제거하고 불하받아 가는데 이런게 남아있다니 신기하게 느껴집니다. 경찰에서는 대략 10년 혹은 10년보다 조금 더 차량을 사용한 뒤 매각하는데 98년식이니 아마 2000년대 후반이나 2010년대 초반 민간에 매각되지 않았나 싶습니다.



대시보드와 핸들은 대형버스인 그랜버드와 거의 동일합니다.


95년 부분변경 당시 막 출시되었던 그랜버드와 비슷한 디자인의 대시보드와 계기판이 적용되었고 핸들 역시 변경되었습니다. 핸들에도 기아 로고가 박혀있네요. 차량 내부는 현재 캠핑카로 사용중이였습니다. 뭐 경찰 지휘차량 역시 회의를 해야 하니 일반적인 승객수송용 버스와는 다른 구조였던지라 개조가 좀 더 용이했으리라 생각됩니다.



유리창에는 옛 아시아자동차 로고가 그대로 남아있네요.


물론 97년까지 사용되었고 이후 기아자동차와 같은 로고를 사용하게 되었습니다만, 찍어내는 부품들은 그대로기에 이렇게 옛 아시아자동차 로고까지 혼재되어 있습니다.



시트지가 붙어있지 않은 유리창 안을 보니 시트와 여러 생활용품의 모습이 보이는군요.


여러모로 이동식 사무실 혹은 캠핑카의 모습을 하고 있습니다.



99년 중기형 이전 모델인지라 89년부터 쭉 이어져 내려 오던 직사각형 형태의 후미등의 모습이 보입니다.


마치 초콜렛을 보는 느낌입니다. 최상단에는 방향지시등이, 가운데에는 제동등이, 그리고 밑으로는 반사판과 함께 후진등이 자리를 잡고 있습니다. 상당히 단순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모두 통으로 붙어있는게 아닌 방향지시등은 방향지시등대로 제동등은 제동등대로 분리되어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더랍니다.



정말 오랜만에 보는 느낌입니다.


부분변경을 거친지도 20년이 넘었습니다. 당연히 교체주기가 빠른 버스의 특성상 2010년대 초반부터 자취를 감추기 시작했지요. 물론 대다수는 수출길에 올라 타국에서 제2의 차생을 살고 있을겁니다만, 국내에서는 어느 순간부터 직사각형 형태의 코스모스 후미등을 보기가 힘들어졌습니다.



색이 거의 다 날라가 사진의 명도를 낮췄습니다만, 매연저감장치 부착을 알리는 스티커입니다.


'맑은서울' '매연저감장치 장착차량'등의 문구가 적혀있습니다. 대략 이 스티커는 2006년부터 부착되기 시작했고, 2007년 이후 저감장치 제조사의 상호가 적힌 스티커가 부착되며 어느순간 사라졌습니다. 여러모로 적폐로 몰린 5등급 노후경유차지만, 오래 전 저감장치를 부착하여 마음껏 타고 다닐 수 있습니다.



NEW COSMOS


95년 이후 뉴 코스모스라는 이름으로 판매되기 시작하며 레터링 대신 이런 스티커가 부착되기 시작했습니다. 물론 이보다 전 모델의 경우 레터링과 코드명인 AM818이 붙었지만 말이죠. 여튼 스티커는 갈라지거나 소실된 부분 없이 차체에 잘 붙어있었습니다.



격동의 22년을 보내왔을 코스모스. 저감장치가 장착되어 생사 걱정은 하지 않아도 될 것 같습니다.


경찰 지휘용 버스로 태어나 임무를 다 하고 누군가의 캠핑카로 제 2의 차생을 살고 있지만 언제까지 지금과 같은 모습으로 이곳저곳을 누비고 다닐지는 모르겠습니다. 부디 소임을 다하는 그날까지 무탈히 도로를 누비고 다녔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8월 초 즈음부터 모바일게임 걸카페건(Girl Cafe Gun)을 하고 있습니다. 


11명의 소대원과 세계를 구하고 다시 재건하는 스토리를 가진 중국산 양산형 탄막슈팅게임인데, 부가적으로 카페를 운영하여 수입을 충당하는 카페 운영 시뮬레이션의 요소도 가지고 있습니다. 여튼 중국 게임이지만 일본풍 일러스트와 일본의 유명한 성우들을 기용하였고, 국내에서는 걸그룹 드림캐쳐가 OST를 불렀습니다.


단순한 제목 그대로 '소녀' '카페' '총'이 게임의 전부입니다. 


잠시 대기시간이 생길 때 시간을 떼우거나 특정 아이템이 필요하면 운행 중 반복 전투를 걸어놓고 신경을 끄고 다니기도 합니다. 평소에 게임에 딱히 재미를 느끼지 못해 대략 3~4일 몰입해서 하고 생각보다 빨리 질리는 성향을 가지고 있는데 지난달 상을 치루던 기간을 제외하고 매일같이 접속했을겁니다. 어지간한 게임은 일주일이면 질려서 지워버리는 제가 한달 넘게 질리지 않고 플레이 하는 모습이 저도 참 신기하게 느껴집니다.


남들은 공략집 보고 이래저래 연구해서 최고의 효율을 내며 게임을 한다만, 저는 뭐 여가생활인 게임까지도 그런거 봐가면서 스트레스 받으며 하고픈 생각은 없고 그냥 되는데로 플레이 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보니 레벨 20이 넘어서까지도 무기를 뽑는 방법도 없이 생 노가다로 버텼고, 무기 보급방법을 물어보고 무기를 뽑았습니다. 여튼 남들이 보기에는 흑우처럼 보이지만 게임까지 하면서 남들 눈치 볼 필요는 없다고 보네요.



그렇게 무과금 노가다로 레벨 60까지 키웠습니다.


거의 일주일에 레벨 10씩 꾸준히 올렸습니다. 물론 현질을 한다 쳐도 강화 아이템을 그리 많이 살 수 있지는 않지만 무과금으로 확률드랍에만 의존해야 하니 여러모로 과금을 하는 유저들보다는 레벨을 올리기 힘든 상황입니다. 그게 레벨 40 이후부터는 꽤 힘들게 느껴지더군요.


사실 초전자포 콜라보 한다고 해서 유입되었는데, 아직까지 확정되었다는 기사만 거창하게 나왔지 한달이 넘도록 구체적인 얘기는 없네요. 아마 만렙 찍는게 더 빠르지 않을까 싶습니다.



뮤직비디오나 보고 가세요. 


드림캐쳐를 GOOD NIGHT으로 알게 되었고, 그 노래를 통화연결음으로 설정하기까지 했었던지라 피리라던지 what이라던지 다른 노래들도 좋아하긴 합니다. 보통 2D 팬들은 왜 씹덕겜에 아이돌을 모델로 쓰느냐고 불만이고 3D 팬들 역시 반대로 생각하는 경우가 많은데 캐릭터 성우진이나 O.S.T를 부른 아이돌이나 저는 그냥저냥 만족스럽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