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글'에 해당되는 글 2802건

반응형

그렇습니다. 지극히 평범한 토요일이였습니다.


뭐 어쩌다보니 아침일찍 일어나 설레발을 떨게 되었는데, 그와 관련된 이야기는 다음주에 하기로 하고요..


오늘은 이제 겨우 6만3천키로를 주행한 삼각떼에서 또 엔진오일이 비치는 모습을 보게 된 이야기를 좀 해보려 합니다. 아반떼 역사상 마지막 디젤 아반떼가 될 확률이 농후한 더뉴아반떼 디젤. 이제 대략 1년하고 조금 더 탄 차량으로 아시다시피 비닐도 하나 떼어내지 않고 애지중지 하며 타고있습니다만, 지난번에도 누유가 있었지만, 다행히 엔진오일 교체시 오링을 잘못끼워 오링에서 누유가 되던 부분이였고, 이번에는 거기에 더해 잠바가스켓커버 옆 진공펌프 가스켓 주변에서 오일 누유가 발견되었습니다.



아침 일정이 없던 일이 되어버려 수원에 들린 뒤 겸사겸사 세차를 하기로 합니다.

고척동 워시포레. 오랜만에 방문하는 워시포레에서 세차를 합니다.


북수원에서 고척동이 멀다면 먼 거리입니다만 겸사겸사 올라온 김에 세차카드에 잔액이 좀 남아있기에 카드 잔액도 소진하고 지난주에 세차를 하지 않아 차량 상태가 개판인지라 들렸고, 수많은 차들 사이에서 평범하게 외부세차를 마쳤습니다. 대략 한시간 넘는 실내외 세차를 마친 뒤 엔진룸의 먼지를 털어주기 위해 본넷을 열었습니다. 물론 거기까지는 평범했습니다. 



평범한 더뉴아반떼 디젤의 엔진룸.


딱히 특별할것도 없습니다. 아직 보증이 왕창 남아있기에 순정상태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뭐 디젤터보차에 휘발유차처럼 뭔가 다양한 시도를 해보기도 그렇고, 순정 출력 역시 크게 부족함을 느끼지 못하니 뭘 하고싶다는 생각도 없습니다. 그리고 엔진룸은 신차때부터 잘 관리를 해줘야 묵은때가 생기지 않아 생각 날 때 마다 에어로 불어주고 나름대로 관리에 심혈을 기울였습니다. 그래도 6만km 이상 타면서 제대로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은 차량에 비한다면 신차 수준의 엔진룸 상태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다만, 뭔가 이상한 부분이 보입니다. 엔진 로커암커버 옆으로 보이는 이것. 


휘발유차에는 따로 존재할 필요가 없어 볼 수 없지만 디젤차에는 따로 진공을 얻을 수 있는 부분이 없기에 항시 부착되어 나오는 진공펌프입니다. 이곳에서 만들어준 부압으로 브레이크를 작동하는지라 나름대로 차량 주행에 중요한 임무를 수행하는 부품입니다. 이러한 진공펌프 안쪽으로 검정색 오일이 비치더군요. 엔진오일을 빼거나 주입하면서 실수로 묻을 부위도 아닐뿐더러, 저기에 제가 갖다가 오일을 뿌릴 이유도 없습니다.



검은 엔진오일이 위에서부터 아래로 넓게 퍼져있습니다.


처음에는 로커암커버가스켓에서 새어나온 엔진오일이 옆으로 좀 번졌겠거니 생각했습니다만, 아무리 봐도 진공펌프가스켓에서 새어나오지 않았나 싶습니다. 물론 이 부분은 좆문가인 제가 백날 판단해봐야 해결이 될 부분은 아니고 하니 정비소에서 진단을 받아봐야 알겠죠. 다행히 보증이 남아있습니다. 보통 현대차의 일반보증이 3년 6만. 엔진이 10만 배출가스 관련 보증은 12만km까지 해준다고 알고 있습니다만, 일반보증의 경우 유동적으로 변경시킬수 있습니다.


저처럼 주행거리가 많은 운전자에게는 2년 8만km로 설정을 바꿀 수 있고, 주행거리가 적은 운전자는 4년 4만km로 보증기간을 바꿔 유리하게 일반보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 역시 어느 부분으로 들어가던간에 일반보증까지 2년 8만km로 바꿔놓았기에 모든 워런티가 다 살아있습니다. 그러니 큰 걱정 하지 않아도 되겠죠. 물론 보증 끝나고 터지면 입에서는 쌍욕이 나오리라 예상됩니다.



그 외에도 또 오일필터 부근에서 오일이 누유되는듯 보입니다.


지난달 말일에 엔진오일을 교체했던걸로 기억하는데 또 오링이 씹혔나봅니다. 지난번에도 같은 이유로 다시 방문하여 오일필터 오링을 교체했었는데 이번에도 역시 같은 문제로 보입니다. 중간에도 엔진룸을 열었던 기억이 있습니다만, 그 당시에는 이런 모습이 확인되지 않았었고 대략 20일이 지난 이 시점에서 오일 누유를 발견했네요.



이미 다 더러워진 상태입니다.


빨리 닦아줘야 묵은때로 진화하지 않습니다. 가급적이면 빠른 시일 내에 캬브레타 클리너나 엔진룸 클리너로 닦아줘야 합니다. 뭐 그건 정비소에 가면 알아서 원인을 찾는다고 닦아줄테니 큰 문제는 아니리라 봅니다. 오일필터 오링이 문제가 아니라면 지난번과 동일한 부위에서 오일이 누유된다는 이야기인데 그럼 일이 좀 더 커지겠지요. 부디 큰 일이 아니길 기원해봅니다.



언더커버 역시 오일이 묻은 자국이 흥건합니다.


꽤 많은 오일이 누유되었다는 이야기겠죠. 하부세차로 물기가 묻었던 자리는 대부분 건조되었습니다만, 엔진오일이 누유된 자리에만 물방울이 고여있습니다. 엔진룸 안쪽에서 에어건을 쏘아대다보니 언더커버 위에 고여있던 물들이 저렇게 타고 내려간 모습입니다. 여튼 집에 오던 길에 한 블루핸즈에 들렸습니다만, 마감시간이 다 되어 평일에 오라고 하더군요. 평일에 그쪽으로 가 보던지 집 뒤의 현대서비스를 가던지 어디를 가던지간에 일단 시간 날 때 입고시켜보기로 합시다.


이제 겨우 1년 조금 더 주행한 차가 벌써 엔진오일이 비치는 모습이 보이니 참 피곤합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오늘 인천의 한 골목길에서 본 차량입니다.


GM대우시절 아주 잠시 들여왔던 홀덴 카프리스의 뱃지 엔지니어링 모델인 GM대우의 스테이츠맨입니다. 2005년 출시되어 대략 1년간 판매되었던 비운의 모델인데, 이 차량에 대한 상세한 스토리는 2018년 가을 스테이츠맨을 폐차장에 가지고 갔던 이야기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그럭저럭 보기는 힘들어도 가끔 한두대씩 보이는 스테이츠맨입니다만, 뭔가 이상했습니다.


인상이 조금 달라보여 자세히 보니 1세대 SM5의 그릴을 가져다 끼워놓았네요.



뭐 어떻게.. 큰 위화감 없이 그릴이 맞는 느낌이네요.

마침 SM525V가 스테이츠맨과 마주보고 세워져 있었습니다.


멀리서 문득 보면 NF쏘나타와 비슷한 분위기로 보이기도 하고 2000년대 초중반 출시되었던 일본차 느낌도 풍겨오곤 합니다. 번호판은 녹색 전국번호판. 인천에서 발급된 27머 6천번대였습니다. 예전에 집에 있었던 코란도가 2005년 5월 즈음에 번호판이 변경되어 27머 5천번대의 번호가 부착되어 있었는데, 대략 그 즈음 신차를 출고하여 지금껏 타고 있다는 이야기겠죠. 


그릴에 도색을 하거나 아예 뚫어버리고 망그릴을 이식하는 경우는 많이 보았지만, 이렇게 타 차량의 라디에이터 그릴을 이식하는 경우는 드레스업을 목적으로 작업하는 경우를 제외하면 거의 없을겁니다. 그럼에도 고급차량에 타 회사의 중형 승용차의 그릴을 이식하는 경우는 처음 보았습니다.


그릴이 망가졌는데 호주에서 건너온 수입차인지라 그릴값이 대략 50만원을 상회하는 가격이라 신품을 사다 끼우기에는 부담스럽고 어디서 SM5의 그릴을 주워다가 끼웠을 확률이 가장 높다고 추정됩니다. 여튼 그럼에도 생각보다 위화감 없고 사이즈도 큰 가공 없이 맞는 모습을 보니 신기하기만 하네요.


그릴 하나로 GM대우에서 르노삼성으로 메이커가 바뀌어버린 스테이츠맨. 


조금은 이상한 모습이지만 그 모습 그대로 차생을 마감하는 그날까지 잘 달려주었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