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갈라파고스화의 전형적인 예시로 손에 꼽는 IE 환경에 기반한 ActiveX. 그리고 NPAPI 이야기입니다. 


한참 규제철폐니 어쩌고 얘기가 나오던 시절에 비한다면 몇몇 은행에서 오픈뱅킹 서비스를 도입하는 등 종전에 비해 접근성은 많이 좋아졌지만, 농협 웹뱅킹 사이트에겐 아직까지 먼나라 이야기로 보이는군요.


올해 초에 리뉴얼된 삼성카드 홈페이지는 그 어떠한 프로그램 설치 없이 어느 브라우저에서 접속해도 거의 모든 서비스의 이용이 가능합니다. 공공기관이나 금융사의 홈페이지가 이런식으로 쾌적해지는건 어디까지나 희망사항에 불과하고, 그동안 ActiveX로 설치하던 보안프로그램들은 그저 설치 방식만 바꿔서 .exe 확장자의 실행파일로 내려받아 수동설치를 하고 있을 뿐입니다.



뭐 이러한 헬조선만의 프로그램의 설치까진 기분 드러워도 이해를 합니다. 


다만 농협 인터넷뱅킹 사이트를 크롬 브라우저로 접속했다면, 이 프로그램의 설치만으로 모든 작업이 끝난게 아니랍니다. 이러한 프로그램의 설치 이후, 반 강제적인 팝업창이 하나 더 뜹니다.


지난해 업데이트된 45버젼의 크롬부터 사실상 액티브X와 비슷한 일을 하던 NPAPI 지원을 중단해서 더이상 기존의 방법으론 먹히지 않으니, 크롬 확장프로그램을 설치하란 이야기입니다.



골때립니다. 하나은행 기업은행 신한은행 다 돌아다녀도 확장프로그램 설치하란 꼴은 못봤는데..


설치할 프로그램은 두가지. 인증서 모듈 확장 프로그램과 키보드 보안 확장 프로그램입니다. 그냥 무시하고 넘어가려 해도 넘어가질 않습니다. 의무적으로 크롬 웹스토어에 가서 이 프로그램을 설치해야만 합니다.


첫번째. 인중서 모듈 확장 프로그램입니다.



INISAFE CrossWeb EX


어디서 많이 보던 이름일겁니다. 논 액티브액스, 논 플러그인은 맞죠. 다만 번거롭게 설치를 해야한단 사실은 변함이 없습니다.



237명의 다운로더가 별점 1개를 줬고, 리뷰 역시 욕설이 난무합니다.


이딴거 깔아봐야 털리는건 니들인데 뭐 어쩔거냐는 원색적인 비난이나 푸념이 대부분이긴 합니다만, 확장프로그램 설치 없이도 공인인증서 활용이 가능한 타 금융기관과 비교하는 댓글도 종종 보였습니다.


설치는 그래도 금방 끝납니다. 그리고 두번째 프로그램은 키보드 보안 확장 프로그램이라 하네요.



똥컴에겐 자살충동을, 성능좋은 컴퓨터도 똥컴으로 만들어 준다는 그 프로그램.


말이 키보드 보안이지, 보안이고 나발이고 정말 키보드를 던져서 부셔버리고 싶게 만드는 'TouchEn Key' 계열의 프로그램을 크롬 환경에서 이용하도록 해주는 플러그인이라 합니다.



뭐 종전부터 악명높던 프로그램이라 968명의 다운로더가 최악의 평점 별 하나를 주었습니다.


단순한 비난을 넘어선 f를 치는데 a가 쳐진다는 이야기에 기계식 키보드는 인식조차 안된단 리뷰까지 여기저기서 쏟아지고 있습니다. 즉, 설치를 해도 별 의미가 없는 프로그램이라는 원성이 여기저기서 쏟아나온지가 벌써 수개월 전인데.. 개발자들은 그 어떠한 해명과 개선의 여지도 보이지 않고 있습니다.


NPAPI를 활용하던 시절엔 답없던 IE보다 더 답이 없었습니다만, 그래도 확장프로그램을 사용하는 방식으로 바뀐 뒤론 종전보단 숨통이 트이는 분위기입니다. 물론 쓰레기같은 프로그램의 아이콘을 항상 보고싶진 않으니, 숨겨놓거나 설치가 그리 오래 걸리진 않으니 사용시마다 설치를 하는 방법을 활용해야겠습니다.


일단 가장 먼저 해야할 일은.. 다른 주 거래 은행을 알아보는게 아닐까 싶네요.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제목 그대로입니다. 



좌측 테일램프에 살짝 금이 가 있었는데, 이전에 준비해둔 신품으로 교환하도록 합니다.


후미등 전구가 나가는 경우는 흔하기에 요즘 차량들은 트렁크 속에 커버를 만들어 전구만 쉽게 교체할 수 있도록 만들곤 합니다만, 이시절엔 그딴건 없었습니다. 그럼에도 고정볼트 하나만 풀어주면 따로 공구를 쓸 일은 없네요. 범퍼 밑에 작은 구멍에 마치 플러그를 꼽듯이 고정되어 있습니다.



세월의 흔적. 더럽습니다...


일단 전구가 나가거나 그러진 않았으니 그대로 테일램프 커버만 탈거해서 교체해 줍니다. LED 전구를 구매해뒀으면 교환하는데, 탈거작업이 그리 어려운것도 아니니 나중에 기회가 된다면 LED 전구로 모두 교체하도록 합시다.



이왕 탈거한거 그냥 덮어놔도 상관은 없다만, 물티슈로 깔끔하게 닦아줍니다.


방향지시등과 미등 겸 제동등의 전구를 잘 끼워주고, 탈거의 역순으로 잘 꽂아서 장착해 줍니다.



장착완료.


간단합니다. 그 어떤 차량보다 쉽습니다. 초등학생도 혼자 할 수 있는 수준의 난이도입니다.



다음은 슈퍼(SX)트림에만 적용되던 테이프꽂이입니다.


그냥 단순하게 장착만 하면 될 줄 알았더니만, 브라켓부터가 다르다고 하더군요. 재떨이를 들어내고 그 속에 있는 브라켓부터 테이프꽂이를 고정 할 수 있는 물건으로 교체를 해 줘야 합니다.


음성 금왕에 사는 지인분께 얻었습니다.



먼저 재떨이를 탈거해 줍니다.



눈에 보이는 피스 세개를 모두 풀어준 뒤, 탈거가 가능합니다.


탈거 후 교체할 브라켓을 그 자리에 똑같이 달아주면 됩니다.



탈거하다보니 배선이 하나 나오더군요. T5(6.5) 규격의 좁쌀만한 전구가 박혀있었습니다.


나름대로 무드등이라고 달아둔건데.. 전구의 수명이 다 하여 불이 들어오지 않더랍니다. 혹시나 배선은 이상이 없는지 테스터기로 단자에 대어봤는데 전원은 잘 들어오더군요. 고로 일단 전구만 탈거합니다.



브라켓에 재떨이 무드등 단자를 꼽을 수 있도록 되어있습니다.


잘 꼽아주고 분해 과정과 동일하게 나사를 잘 조여줍니다. 종전의 브라켓과는 달리 밑에 피스구멍 두개가 더 달린 이 브라켓과 테이프 꽂이의 위치를 잘 맞춰줍니다. 



피스 두개만 더 박아주면 끝.


비록 구형 차량에서 탈거된 물건이라 색상은 검정색이지만, 수납공간이 하나 더 늘어났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