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18년의 마지막 날이던 2018년 12월 31일. 스파크는 먼 길을 떠났습니다.




2톤짜리 마이티QT에 실려 저 멀리 대구로 간 스파크의 마지막 이야기입니다.


살려서 타겠다는 이야기와 함께 폐차비의 두배 수준인 차값과 여러 부대비용을 들여 대구 현풍의 한 농산물 저장창고로 가지고 가셨습니다. 미리 주말에 올라오셔서 구비해둔 이전서류를 건내주고 이전도 당일날 진행되었지요.


그렇게 그곳에서 약 일주일정도 세워져 있다가 차량을 차고지인 창녕으로 이동했다고 합니다.



대구 달성군 현풍읍에서 창녕군 창녕읍의 한 아파트까지 보험사 긴급출동 서비스로 이동하였다고 합니다.


50km 수준으로 견인특약을 넣어놓았으면 따로 추가요금을 내지 않아도 되는 수준의 멀지 않은 거리라 하더군요. 올해로 초기형 마티즈 크리에이티브가 10년차를 맞이하는지라 아직까지는 사고가 아닌 노후화되어 차량을 폐차하는 경우는 거의 없는지라 폐차장에서 흔히 구할 수 있는 차는 아니지요. 물론 사고로 폐차장에 들어와도 대부분 앞빵을 먹은 차라 떼어서 이식 할 수 있는 부품이 없고요. 


여러모로 앞이 성한 올바디 차량을 구하는 일은 꽤나 장기전이 될 것 같아 거주중인 아파트로 차량을 옮긴다는 이야기였습니다. 더불어 멀쩡한 스파크를 하나 사서 이식을 하는 방법도 생각을 했으나, 멀쩡하고 주행거리 많은 차량도 얼추 200만원대에 거래되고 있는 상황이라 여의치 않다더군요.



창녕읍의 한 아파트 지상주차장 구석에 자리를 잡았답니다.


아직 유리창에 제 번호가 붙어있어 아파트 관리사무소에서 사고차 치우라고 전화가 오곤 했는데 결국 커버를 덮어놓았다고 하더군요. 개인적인 자금사정이 좋지 못하신것도 있었고, 마땅한 사고차도 나오지 않아 커버를 쓴 상태로 계속 저 자리에 세어져 있었다 합니다.



뭐 그렇게 아파트의 명당자리를 차지하고 있다가, 결국 폐차장으로 보냈다 하더군요.


시트와 배기만 탈거하고 결국 기약없는 기다림에 지쳐 폐차장으로 보냈다고 합니다. 혹시나 해서 등록원부를 확인해 보았더니 4월 4일자로 말소 된 상태임을 알 수 있었네요.



그렇습니다. 


폐차장에서 말소 당시 주행거리를 임의대로 적어놓은듯 합니다만, 지난해 사고 이후로 단 한발짝도 자력으로 움직이지 못했던 차량입니다. 이럴 줄 알았더라면 그냥 제 손으로 말소하여 번호라도 살려서 썼으면 어땠을까 싶은데 말이죠. 나름 살아날 수 있다는 희망을 가지고 보냈지만, 결국은 폐차장으로 가는 시기의 차이만 있었지 폐차장에서 짧지만 굵은 차생을 마감하였습니다.


다음 차생에는 부디 고급차로 태어나서 돈 많은 주인님한테 관리받고 살아가길.....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오늘(토요일) 업무차 호남고속도로의 여산휴게소에 들어갔는데, 귀한 버스가 한 대 있었습니다.



보기 힘든 레어템입니다. 선롱버스보다 먼저 국내에 상륙했었던 비운의 중국제 고급버스.

2000년대 후반에서 2010년대 초반 잠깐 국내에 수입되었던 중국제 버스입니다.


독일 MAN의 자회사 네오플란(NEOPLAN)과 중국 저장성 진화시(金华市)에 소재한 청년기차(青年汽车)그룹이 합작으로 세운 중국 현지 법인에서 생산하여 영맨오토모빌코리아라는 업체를 통해 국내에 수입되었던 버스입니다. 당시 국내 수입 가격은 약 3억. 국산 고급 하이데커급 버스의 두 배 수준이던 가격이였습니다.


물론 오리지날 진퉁 독일제 네오플란의 시티라이너와 약간은 다른 중국형으로 개량된 모델인지라 중국제임을 알면서도 독일제 네오플란(네오플랜) 버스라 얘기를 하곤 합니다. 독일의 기술력을 바탕으로 중국에서 생산한 차량이지만, 엔진은 한국형 모델 한정으로 두산인프라코어에서 생산한 430마력의 DV11과 ZF사의 6단 수동변속기가 적용되었습니다. 국산 엔진으로 유지비 부담을 덜었다고 홍보하던 내용이 아직도 생생히 기억납니다.


2000년대 후반 국내시장 출시 당시만 하더라도 3.7m라는 최고의 전고와 12.4m라는 최장의 전장으로 주목을 받았던 차량이지만 일부 기록은 국산 버스에 의해 깨지게 되었고 그동안 스포일러를 비롯한 악세사리로 몸집을 키워 온 국산 버스 대비 종전만큼 위압감을 주지 못하고 있습니다. 



정식 모델명은 JNP6126KE 스타라이너 유로. 진화청년자동차의 엠블렘과 영맨 레터링이 붙어있습니다.

지금은 사실상 기본사양에 해당하는 ASR과 ABS가 장착된 차량이라고 자랑스레 붙어있네요.


이 차량의 제원표상 전폭은 2,500mm로 2,490mm의 대우 하이데커와 기아 그랜버드. 2,495mm의 현대 유니버스보다 체감하기 힘들 수준으로 경미하게 넓습니다만, 디자인 탓인지 상대적으로 좁게 보여집니다. 높이 역시 출시 당시만 하더라도 대우의 하이데커를 제외하곤 어지간한 버스들보다 훨씬 크고 웅장해 보였지만, 2020년대를 바라보는 2019년 4월에 분주히 돌아다니는 버스들과 비교하니 스포일러로 전고를 뻥튀기 한 국산 버스들과 큰 차이는 없더군요.



약 10여년 가까운 세월을 버텨온 후미등은 이미 바랠대로 바랜 상태입니다.


본래 하단의 방향지시등과 후진등을 제외하고 미등과 제동등 자리는 빨갛게 코팅이 되어 있었습니다만, 이미 색은 다 바래버린 상태입니다. 중국제의 한계일까요. 내구년한을 약 2년정도 남겨둔 이 버스에서도 일부 외판의 부식과 단차가 맞지 않는 부분을 볼 수 있었습니다.



이 버스만의 특장점. 더블액슬타입의 후축입니다.


알코아 알루미늄휠이 적용된 두개의 후축은 안정적인 승차감을 제공합니다. 종전에는 외국이나 나가야 볼 수 있었지만, 근래에는 수도권을 중심으로 광역급행버스에 더블데커 차량이 다수 도입되어 흔히 볼 수 있게 되었지요. 2축은 복륜, 3축은 단륜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타이어 역시 중국제 타이어가 장착되어 있었고요.



그렇게 독일의 기술을 받아 중국에서 한국제 엔진을 사용하여 생산한 이 버스는 먼저 갈 길을 떠났습니다.


2010년 4월 이맘때 즈음 최초등록된 차량으로 차주가 바뀌지 않고 소속된 회사에 약 9년째 운행중인 차량이더군요. 등록원부를 보아하니 아직까지 검사를 받거나 차령연장을 했다는 내용이 적혀있지 않은걸로 보아 느지막에 차령연장을 받거나 그리 머지 않은 시일 내에 사라질 운명으로 보입니다. 


그리 많이 팔리지도 않았고 최근 5년간의 목격담이 인터넷에 올라온 일은 거의 없는지라 사실상 전멸이라 봐도 되겠습니다만, 전국 어딘가에는 영업용 번호판을 달고 남아있는 차량이 있겠지요. 부디 얼마 남지 않은 기간만이라도 잘 달려주었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