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담'에 해당되는 글 1734건

반응형

앞으로 제가 티스토리에 정착을 하게 해준데다가 지금의 티스도리닷컴을 만들 수 있도록 해준 가장 큰 요인이였던 레이서즈클럽(www.racers.co.kr)이라는 몰락해버린 커뮤니티사이트에서 인터넷 독재세력에 맞서 항거하다가 쓰러진 비주류 회원이 회고하는 이야기를 다룬 "나의 레이서즈클럽 회고록"이 연재 될 예정입니다.


레이서즈 클럽은 국내 최초의 레이싱게임 관련 커뮤니티로써 2000년 중순 한 채팅사이트의 니드포스피드-포르쉐 언리쉬드 멀티플레이방에 모여있던 사람들이 만든 커뮤니티 사이트입니다.

지금은 심스포츠 디시인사이드 레이싱게임 갤러리버스갤러리 그리고 보배드림미드타운마스터등으로 대다수가 옮겨가 이빨빠진 호랑이가 되어버린게 사실이지만 이 사이트가 최고의 전성기를 누리던 2000년대 초반만해도 콘솔보다는 PC위주의 레이싱게임이 성행하던 시절 이름만 들어도 다 아는 세계적인 게임업체 EA에서 "니드 포 스피드 - 핫 퍼슈트2"의 감수를 맏기며 TV에도 게임잡지에도 여러번 출연하는등 한 시대를 풍미했었습니다.

하지만, 2004년을 기점으로 "미드타운 매드니스2(Midtown Maddness 2)[각주:1]"를 통해 유입된 저연령층버스매니아. 그리고 소수의 철도매니아항공매니아. "하드트럭[각주:2]"시리즈를 통해 유입된 트럭매니아까지 섞이게 되고. 레이싱게임이라 부르기도 애매모호한 "GTA"시리즈까지 끼면서 점점 사이트는 혼란속으로 빠져들기 시작합니다. 미드타운 매드니스의 추가차량과 추가 맵을 받으러 온 초등학생 수요가 대다수를 차지하면서 그들만의 문화가 생성되기 시작했고. "가상회사"라는 가상의 운송업체를 통해 자신들의 회사가 게임속에 나오는 건물을 소유했고, 심지어 항공기 시뮬레이터게임인 "플라이트 시뮬레이터"까지 진출하여 건물의 소유권을 다투는등의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그러던 어느 순간부터 정통 레이싱게임 매니아들이 빠져나가고 운영진마저 생업때문에 소홀해진 사이 이곳은 초창기 멤버들이 아닌 새로운 회원들로 세대교체가 되었습니다. 비록 제가 처음 그곳에서 활동을 시작했던게 한창 부흥기에서 쇠퇴기로 진입하던 시절이였지만 이때가 한창 이곳이 시끄러웠던 시기였기에 그곳에서의  "현피미수사건"을 비롯한 중대한 사건을 바라보고, 2009년 7월까지 활동하면서 겪어왔던 일들에 대해 적어보려 합니다. -매주 수요일에 "기획연재"란에 연재될 예정입니다!-

참고 및 자문자료.

구글 블로그 "봉고차의 멀티기지"- 나의 레이서즈클럽 회고록(1),(2)
엔하위키미러 "레이서즈 클럽"문서




  1. 본래 게임의 목적은 차로 도시를 누비며 기물을 파손하고 제목처럼 미치광이같이 도시를 누비는 게임이다.굉장히 자유도가 높은탓에, 대한민국과 홍콩에서는 버스게임으로 변질되었고, 현재도 신차 애드온과 한국형 맵이 사용자들에 의해 패치되고 있다. 참고로 2000년 마이크로소프트 발매작.매우 쉽고 자유로운 애드온 및 도색수정때문에 저작권시비등의 분쟁이 자주 일어남. [본문으로]
  2. 말 그대로 하드트럭이라는 이름을 가진 게임과, 미국 바울소프트의 트레일러 자영업자 게임 18Wheels시리즈. 그리고 최신작인 유럽을 배경으로 한 ETS시리즈와 2011년 발매된 독일을 배경으로 한 GTS시리즈가 이 범주에 속한다.사실상 이도 트럭으로 짐을 나르고 돈을 버는 게임이다보니 정통 레이싱게임으로 모여든 회원들이 보기에는 버스게임으로 변질된 미드타운 매드니스와 마찬가지로 진골로 인정해줄 수 없는 게임중 하나이다. [본문으로]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어제 약 1년여만에 산이라는 곳을 다녀왔습니다.

뭐 재작년만해도 새해 첫 해를 산에서 보았을정도로 산에 꽤 많이 다녔었지만 어느순간부터 산에 가지 않게 되더군요. 정확히 언제가 가장 마지막에 등산을 다녀왔던 날인지 기억하기도 힘들지만 작년 한해동안은 산에 다녀온 기억이 전혀 없다보니 여튼 2012년이 되어서야 산에 다시 올라왔습니다.

산이란 매번 느끼지만 올라갈때는 그냥 하산하고 싶고 힘들다고 해도 정상이나 고지에 올라가서 저 멀리의 풍경을 바라볼때 언제 그랬냐는듯이 싹 사라지는 굉장한 힘을 발휘합니다.

그렇게 오랫만에 다녀온 산에서 조금 맘에드는 문구를 발견했습니다. 


"아니온듯 가소서"

어떤 산악회에서 남겨두고 간 리본입니다. 보통 산악회 리본들은 산악회 이름만이 있는게 보통인데, 아니온듯 가라는 문구가 산악회 이름과 함께 같이 새겨져있습니다. 사실 아니온듯 간다는 문장과 보라색 리본으로 남겨진 산악회의 흔적은 웬지 매치가 되지 않는듯 해보이지만, 쓰레기를 버리지 말고 가지고 내려가자는 계몽적인 문구입니다.

본질적인 의미와는 거리가 멀지만 이 문장을 보고 굳이 산에 오는 등산객이 아닌 사람이 살아가는 이 세상에 대해 잠시 생각을 해보았습니다. 인간이란 과연 흔적을 남기는것이 옳은것일까 아니라면 한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으로써 혹은 잠시 어딘가에 머무는 사람으로써 흔적없이 사라져주는것이 옳은것일까...

모두 사람에따라 행동에 따라 가치관이 틀리다보니 다른 답을 말하겠죠. 지나치면 좋지 않겠지만 세상살이는 이 두가지를 조합해서 살아가는게 아닌가 싶습니다. 흔적을 남겨야 할 때에는 흔적을 남기되, 흔적없이 아니온듯 떠나야 할때는 마음을 비우고 떠나야죠. 문득 몇년전 있었던 일이 생각납니다. 끝까지 흔적을 남기겠다고, 나의 존재를 이곳에 남기겠다고 투쟁적으로 살아왔지만.. 하루아침에 쌓아왔던 흔적에 먹칠만 한 뒤에 마지막 흔적을 남기고 왔지만 흔적없이 사라진것만도 못했던 그날의 일화. 아쉬운 마음에 많은 흔적을 남겼지만 그로인해 수반되는 분쟁과 논쟁. 그리고 혼란.

떠나야 할때. 마음을 비우고 아니온듯 가야할때가 있습니다. 나로인해 어느 누군가가 피해를 보고 상황이 악화된다면 내가 아쉽더라도 마움을 비우고 아니온듯 가야한다는 교훈을 주었던 그 일..

그 일이 문득 떠올랐습니다. 당장 블로그의 글 역시나 흔적중 하나이고 속담에도 나와있지만, 산을 위해 아니온듯 하산하듯 다른 사람을 위해 아니온듯 가야할줄도 아는 사람이 되어야겠다는 생각을 불과 며칠전만해도 원망에 가득찼던 그때 그 일과 함께 생각하며 마음속에 새겨봅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