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17년 7월 28일 오전 05시 19분 즈음.


비도 내리고 아직 잠에서 깬 사람도 별로 없는 이 시간대에 있었던 일입니다. 잠을 설치고 일을 한 뒤 복귀하는 시점인지라 제정신이 아닌 상황에서 열차가 도로 위를 달리는 모습이 보여 제대로 미쳤나 싶었습니다만, 평판 트레일러 위에 실린 적재물은 바로 상아색과 녹색 도색이 어우러진 서울지하철 2호선 전동차 한량이였습니다.


당진시 신평면 도성리 국도 제 34호선 신당교차로. 서울 순환선인 2호선 전철이 다니는 구간도 아니고, 차량기지와도 상당히 떨어져 있었습니다. 비록 유리가 깨지고 빗물이 유입되는 상황이긴 했습니다만, 실내 좌석이나 손잡이는 온전히 보전되어 있는 모습으로 보이네요.



저 녹색 전동차. 서울 시내를 돌고 또 돌던 그 2호선 전동차가 맞습니다.


다만 한편성 열차 전체를 나란히 운반하는 것도 아니고 한량의 열차만 이리 운반되는지 자세한 속사정은 모르겠네요. 혹시 신차의 시범운행 영상이 여기저기 퍼졌던 신 206편성이 본격적인 운행에 나서고 대차를 앞두고 있던 1989년식 쵸퍼저항 206편성(2906)의 일부가 아닌가 싶어 찾아봤더니만, 해당 차량은 7월 29일 현재까지는 잘 달리고 있다고 하더군요.



일부 창문은 아예 창틀만 남아있거나, 유리가 깨진 상태로 보였습니다.


지금은 서울교통공사로 합병되어 이름을 바꾼 서울메트로의 로고도 붙어있습니다. 마침 신호에 걸려 나름 세세히 여기저기 살펴보고 있었습니다만, 곧 신호가 바뀌더군요. 고철로 용광로에 들어 갈 운명은 아닌걸로 보이고 아마 전시 목적으로 누군가가 매입하지 않았을까 싶습니다. 문이야 없으면 만들어 달면 되는 일이니 말이죠.


그렇게 서울과는 멀리 떨어진 지방을 달리던 전동차와 멀어졌습니다. 어디로 가던간에 부디 오래오래 그 모습 유지하면서 잘 보존되었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여기저기 건너고 또 건너 올라가니 낡은 여객기가 보입니다.


보잉727-200. 마치 대한항공의 하늘색 도색과 비슷해서 대한항공에서 이용하다 퇴역한 기체로 보일 수 있습니다만, 대한항공은 해당 기종을 90년대 말에 모두 처분했습니다. 지역신문을 보아하니 2005년에 보잉社에서 1억 2000만원을 주고 사 온 기체라 하는군요.





기사에 따르면 2005년 당시 폐기된지 1개월뿐이 지나지 않은 최신 기종이라 하는걸로 보아서도

대한항공에서 사용하던 기체는 확실히 아닌걸로 판단됩니다.


10여년 전 컨테이너 25개에 나뉘어 전라남도 강진군 성전면에 소재한 성화대학에 자리를 잡은 이 비행기도 약 5~6년동안만 학생들의 주요 실습 기자재로 활용되었지 현재는 고철덩어리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닙니다.



여객기 치곤 작은 사이즈긴 합니다만, 그래도 흔히 볼 수 있는 스케일은 아니니 신기하기만 합니다.



현재 골프스포렉스(골프연습장)으로 쓰이는 건물에서 이 여객기까지 이어주는 통로가 있네요.


골프장 내부에 들어가보지 않아 모르겠습니다만, 바깥에서 확인한 바 통로로 가는 입구 근처에 화분을 놓아둔걸로 보이네요. 결론은 저 건물에서도 이 여객기로 접근 할 수 없습니다.



번들번들한 타이어 역시 모진 풍파를 맞으며 이 학교의 새 주인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비상탈출구와 골프장 건물과 연결된 통로 말고도 지상에서 직접 올라가는 계단이 있습니다.


다만 다 녹슬어버린 계단 앞으로 떡하니 나무가 자라 막고있네요. 



종전에 기사의 링크를 걸었다시피 조각조각 내어 컨테이너에 담겨 온 이상 용접으로 이어 붙였겠죠.


용접을 했던 자리는 녹이 슬어 녹물이 흘러내리고 있습니다.



골프장 건물과 이어진 비상탈출구는 계속 열려있는 상태입니다.



뒷편으로는 관리용 계단을 만들어 두었고, 에어컨 실외기를 빼 두었네요.



엔진도 아무것도 없는 깡통입니다.



마치 돌고래의 꼬리처럼 생긴 날개 역시 우뚝 솟아있습니다.



골프스포렉스라 불리고 현재 이 학교에서 유일하게 활용중인 요 건물로 올라가는 길이 없네요.


주차장은 있습니다만, 본관과 골프스포렉스로 접근하기 위해서는 돌아서 올라가야만 합니다.



보잉727 여객기 앞에서 본 월출산 국립공원



성화대학의 본관격인 세림관 건물은 나름 2층규모의 웅장한 로비를 자랑합니다.


이 학교 퇴직 교직원들이 세림관 건물에 사회적기업을 열었다는 기사를 종전에 본 적이 있었습니다만, 근황과 관련된 이야기도 없고. 문이 굳게 잠겨있습니다.



그나마 사람들이 모이는건 골프연습장 뿐.


간간히 고급차들도 들어오고, 연습장 밑으로 그늘진 지하주차장까지 마련되어 있습니다.



골프스포렉스 입구 앞.


지역 유지 아저씨들의 골프 교습소로나마 활용되고있는 유일한 건물입니다. 골프를 치러 오시는 아저씨들께 이 학교의 현 상황에 대해 물어보고 싶었습니다만, 직접 마주치진 못했네요.


비리사학의 욕심에서 비롯된 폐교조치로 학생들은 꿈과 희망을 잃었고 작은 마을의 지역민들은 쇠락해가는 지역을 떠날 수 밖에 없는 상황에 놓이게 되었습니다. 최근 한중대학교와 대구외국어대학교가 폐교 절차에 돌입했다는 기사도 올라왔었고, 앞으로도 비리 사학에 대한 퇴출조치는 계속되리라 여겨지는 이 시점에서 선의의 피해자이 더이상 생기지 않았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