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항선 직선화'에 해당되는 글 8건

반응형


지난 4월 30일을 마지막으로 우리가 알고있는 새마을호인 장대형 새마을호가 역사속으로 사라졌고, 그 자리에는 5월 1일부터 무궁화호 객차를 개조하여 리미트객차 승격형 새마을호가 대신하고 있습니다. 



2000년대 초반 도입된 리미트디자인(해태중공업) 생산 무궁화호 객차에 전동열차인 ITX-새마을과 같은 도색만 입혀놓았을 뿐, 그냥 신형 무궁화호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닌 열차더군요. 그래서 '새궁화' '짭마을' '잉마을' '리마을'같은 별칭으로도 불리고 있다고 하는군요. 운행 약 28일만에 처음으로 타 보게 되었습니다.


아무래도 이 짝퉁 새마을호 열차의 유효기간은 장항선 전구간 전철화 직전까지 약 15년정도가 아닐까 생각되네요. 장항선의 전철화 공사가 모두 끝난다면 경부선에서 굴릴대로 굴린 ITX-새마을 열차가 투입되겠지요.



말이 신형 새마을이지 객차를 견인하는 기관차는 7100번대 디젤동차입니다.



발전차도 좀 같이 도색을 하던지 랩핑을 하던지 하지.. 발전차는 다 갈라진 랩핑 그대로입니다.


발전차도 근 20년동안 신조차 출고가 없었고 세월이 흐르고 흘러 다수가 차적에서 제외되었습니다. 물론 새마을호 전용 발전차도 그렇게 사망하셔서 장대형 새마을호 말년에도 이 빨간 발전차와 연결해서 다녔었지요. 



무궁화호에 도색을 입히면 새마을호로 변하는 기적!


그렇습니다. 빠데질이라도 잘 하고 칠을 하던지, 어떤 객차는 구 한국철도 스티커 자리가 그대로 남아있는 상태에서 칠이 올라가있고, 어떤 객차는 살짝 찌그러진 상태에서 칠만 번지르르하게 입혀놓기도 했더군요. 칠 상태도 그리 좋지만은 않습니다.


기존 새마을호가 카페객차를 포함하여 7량으로 운행했습니다만, 카페객차는 아직 준비중인지 6량으로 운행을 하고 있습니다. 



객차 안으로 들어갑니다.


무궁화호와의 차이점을 몇가지 찾아보자면, 안내방송을 위한 액정이 설치되었고, 조명 뒤로 와이파이 공유기가 숨어있습니다. 그리고 케케묵은 커텐 대신에 유리창에는 누리로와 ITX 열차에 설치되는것과 비슷한 차양막이 설치되었네요.



시트는 무궁화호의 그것과 동일합니다. 다만 커버만 ITX-새마을과 같은 문양으로 씌워놓았네요.


같은 시트로 새마을호 운임을 받아먹기엔 양심이 찔렸는지 시트 커버가 변경되었고, 무궁화호에는 없었던 개인용 소형 테이블이 생겨났습니다. 물론 이걸 제외하고 나머지 팔걸이나 발판은 기존 무궁화호 시트의 것을 그대로 사용합니다.


착석감도 뭐 그냥 무궁화호...인데 새마을호 운임 내는 기분.....



일체형 차양막.


차라리 반을 나누어 독립사용이 가능하게 만들어 주지 않을거면 커튼이 낫지 않을까 싶네요.



대충 피스 박고, 대충 실리콘으로 마감한 흔적들.


무궁화호 몰딩에 이따위로 차양막 박아놓고 새마을호 운임을 받고있습니다. 그마저도 마감이 깔끔하거나 일체감이 있는것도 아닙니다.



창 상단으로는 마감이 개판이여도 신경을 썼다지만..


무궁화호로 약 16년 넘는 세월을 살아온 이 열차의 역사를 함께한 이 피스와 기스좀 가려줬으면 좋지 않겠습니까. 그동안 새마을호가 가졌던 장점도 다 가져다 버렸고, 품격마저도 사라졌는데 말이죠.



일부 무궁화호도, 구형 새마을호도 LED 독서등이 들어가는 마당에...


나름 신형 새마을호 객차라는게 백열전등이 달려있습니다. 세세한 부분으로는 부족하고 아쉬운 부분이 정말 많이 보이는군요.



객실 출입구도 변경사항 전무.


다만 디지털 호차번호등이 도입되었고, 차량번호 역시 11400호대로 새로 부여되었습니다.



그동안 밝은톤이였던 내장재 역시 진회색으로 깔끔하게 도색을 해 놓았으나.........


운행개시 28일만에 벌써 칠이 벗겨진 자리가 보이네요. 



바닥재 역시 진회색 톤으로 새로 깔았습니다만, 일부입니다.


객실 내 통로를 제외한 좌석 아랫부분과 화장실은 옛 바닥재를 그대로 사용합니다. 그러니까 눈에 잘 띄는 부분만 번지르르 하게 만들어 놓고, 눈에 잘 띄지 않는 공간과 자잘한 부분으로는 기존 무궁화호 영업 당시의 흔적이 그대로 남아 있습니다.


최악입니다. 안락했던 시트와 넓은 공간을 잃은만큼 열차가 더 빨라진것도 아니고, 그저 무궁화호 객차에 도색만 새로 올리고 시트 커버만 바꾸었을 뿐인데 새마을호 운임을 내고 타야 할 이유가 도대체 무엇인지 모르겠습니다. 앞으로 10년은 이 객차가 새마을호 행사를 하며 장항선을 누비겠죠.


여튼 그렇습니다. 새로운 새마을호는 영 아닙니다 여러분.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29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장항선 직선화 1단계 공사 완공 10주년 기념.

올해가 가기 전까지 직선화로 인해 사라진 옛 역과 철로의 흔적을 찾아나서기로 합니다.


폐가 폐교 폐역 똥차 전문 탐방 블로거



오가역은 예산군 오가면 역탑리에 소재했던 간이역입니다. 


1923년 11월 장항선 개통과 함께 문을 열었던 이 역은 한국전쟁 이후 잠시 폐쇄되었다가 1967년에 다시 문을 열었습니다. 그 이후 2004년 7월 16일 모든 여객열차가 통과하게 되었고, 직선화 공사로 장항선 역시 선로가 옮겨감에 따라 2008년 12월에 공식적으로 폐역되었습니다.


여튼 선로가 있었던 자리는 사실상 농로로 이용되고 있고, 지도에서 표기하는 주소에 의지하여 오가역을 찾아갔습니다.



철길의 흔적. 

이게 어딜 봐서 철도냐고 싶을지 모르겠지만, 자갈까지 모두 걷어낸 옛 철로입니다. 


현재는 농로로 활용되고 있는 길과 그 옆에 버려진 땅이 철로가 있던 자리입니다. 간간히 잡초로 무성해져서 길이 끊기거나 다른 시설로 활용되는 경우도 있긴 합니다만 그래도 철로가 있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게 해주는 주변의 도랑과 같은 시설물들을 자세히 본다면 찾을 수 있습니다.



간이역의 조립식 대합실.


현재는 농자재 창고로 이용중입니다. 이 옆으로 폐가가 있었으나 현재는 철거되었고, 도로 부근으로 지어진지 몇년 지나지 않은 농가주택과 축사가 존재합니다.



굳게 잠긴 대합실 안.


딱히 뭐 중요한게 들어있진 않았습니다. 다 쓴 사료포대와 공사자재들 말고 특별히 귀중하거나 자주 사용한다 싶은 물건은 들어있지 않았네요. 게다가 어디선가 물이 새는지 바닥에도 물이 고여 있었습니다.



그냥 평범한 농업용 창고로만 느낄 수 있는 이 조립식 건물이 간이역이였다는 증거.


높은 전봇대 위에 조명이 달려있습니다. 물론 이 조명에 전기가 들어오지 않은지도 얼추 10년 이상 지났겠지요. 그럼에도 비교적 온전히 남아있습니다.



열차가 지나가던 철로에는 물웅덩이와 함께 짖어대는 동네 개와 농자재 말곤 없습니다.


http://naksoo.tistory.com/641 2007년 12월에 이 역을 방문했던 블로거가 작성했던 글입니다. 당시에 멋드러지게 지나가던 유선형 새마을호 역시 퇴역한지 약 열흘정도 지났구요. 멋드러지게 휘어져가던 그 자리를 기억하는 이들도 그리 많지 않으리라 생각됩니다.



버려진 폐 농자재들과 개집. 그리고 폐 비닐하우스.



한때 대합실 안에 있었던 구형 무궁화호 좌석도 대합실 주변에 버려져 있습니다.



여기도 버려진 좌석이 있네요.


박물관에나 가야 볼법한 나름 귀중한 물건인데 약 10년간 방치되어있는 모습입니다.



대합실 뒤로 돌아가보면 상태는 훨씬 더 처참합니다.


이미 전선이니 뭐니 다 걷어가고 누군가가 떼어간 두꺼비집. 멋대로 버려진 폐자재들과 무성하게 자란 잡초들. 화려하진 않았지만 기차가 지나가고 관리를 받았던 시절과 비교하자면 처참한 수준입니다. 차라리 철거를 해서 이런 꼴을 보이지 않게 만드는건 어땠을까 하는 생각도 들고 말이죠.


여튼 오가역은 사라졌습니다만, 옛 대합실과 그 흔적은 아직까지도 남아있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29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