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지난달 말에 있었던 대대적인 작업입니다만, 포스팅이 밀리고 밀려 이제 하게 되는군요.

 

겨울을 맞이하여 엔진오일을 교체하고 월동준비를 감행했습니다. 본래 12월 초에 하려고 했습니다만, 또 퍼지탱크가 터져서 에어가 새더군요. 쇳덩어리 에어탱크가 1년짜리 소모품도 아니고 계속 용접부위가 터지고 있습니다. 이번 퍼지탱크는 1년도 채 버티지 못하고 용접부위에 금이 가서 에어가 새더군요.

 

 

타타대우 프리마 퍼지탱크 교체 + 화물차 펑크 수리

12월의 마지막 평일이던 지난 29일. 새벽에 주유를 하다 보니 뒤에서 바람이 빠지는 소리가 납니다. 또 펑크인가 하고 봤더니 펑크도 났고 예전에 교체했던 퍼지탱크의 용접부위에 균열이 생겨

www.tisdory.com

 

작년 12월 29일에 교체했었는데 11개월 정도 타고 또 터졌습니다.

 

주행거리 확인

 

교체 당시 주행거리 250,318km.

 

3년간의 일반보증도 끝났고, 앞으로 또 얼마나 큰돈이 들어갈지 걱정입니다. 불과 며칠 전만 하더라도 보증이 있어 사소한 문제라도 마음껏 정비소를 드나들었지만, 이젠 제 돈이 들어가야 하는 상황이라 걱정되기만 합니다.

 

또 터진 퍼지탱크

 

문제의 퍼지탱크입니다.

 

예전부터 퍼지탱크의 용접부가 터져 에어가 새는 문제로 매년 보증수리를 받았었는데, 분명 타타대우에서도 이 부품의 문제에 대해 인식하고 있을 겁니다. 다만 개선품을 개발할 여력이 없는 것인지, 가격이 얼마 나가지 않는 부속이라 크게 신경 쓰지 않는 것인지는 모르겠네요.

 

정비고 입고

 

일단 퍼지탱크 교체 먼저 진행합니다.

 

엔진오일의 경우 대기하는 차가 많아 한참 기다려야 한다고 하더군요. 일단 간단히 교체할 수 있는 퍼지탱크 먼저 교체한 뒤 엔진오일과 기타 잡다한 소모품들을 교체해 주기로 합니다.

 

상대적으로 간단한 퍼지탱크 교체

 

퍼지탱크 교체작업은 상대적으로 간단합니다.

 

부속값도 그리 비싸지 않고요. 퍼지탱크 역시 상대적으로 접근하기 쉬운 곳에 장착되어 있어 탈부착도 어렵지 않습니다. 애초에 타타대우 정비소도 가깝고 이전부터 용접부위가 갈라지며 에어가 누기 되기 시작하는 순간에 와서 교체했던지라 퍼지탱크가 마치 박 터트리기의 박처럼 두 동강 난 모습은 본 적이 없지만, 다른 차들은 사실상 에어가 차지 않는 수준까지 가서 정비소에 들어오는 경우도 왕왕 있다고 그러더군요.

 

점심 먹고

 

비싼 돈 쓰고 가는데 밥이라도 먹고 가야 억울하지 않죠.

 

퍼지탱크 교체작업은 금방 끝났습니다만, 엔진오일 대기가 길어지니 식권을 달라고 한 뒤 식권으로 밥을 먹고 왔습니다. 밥을 거의 다 먹고 나니 1번 도크로 입고하라고 연락이 오더군요. 차량이 많아 꿀 같은 점심시간의 휴식까지도 아껴가며 작업을 진행하는 고대모터스 직원분들이십니다.

 

 

작업 시작

 

일단 엔진오일부터 내려줍니다.

언제 교체했나? 봤더니 올해 3월에 교체했었네요.

 

 

타타대우 프리마 요소수 필터+CCV 필터+엔진오일 교체

지난 3월 초에 억까나 당하고 짜증나서 세차 후 엔진오일을 교체했습니다. 20만km 가까이 탔는데 겸사겸사 블로바이가스(라마가스) 필터라 부르는 CCV 필터와 요소수 메인필터도 교체했습니다. 요

www.tisdory.com

 

한 4.5만km 탔나? 생각했더니 5.4만 km를 탔네요. 4~5만 km 주기로 교체하려 합니다만 이렇게 정확한 교체 시기를 까먹고 좀 더 타고 오는 경우가 많습니다. 상용 엔진 특성상 승용차와 달리 사용하는 RPM이 낮아 교체주기가 긴 편이긴 합니다만, 그래도 일찍 교체해 주면 좋긴 좋겠죠.

 

점도 다 죽음

 

떨어지는 엔진오일을 보니 점도가 다 죽어버렸네요.

 

적당히 잘 타고 왔다고 합니다. 오일값도 주입되는 오일의 양이 많다보니 부담이라면 부담이지요. 그래도 엔진오일이 지난번에 교체했던 미션오일보다는 저렴합니다.

 

앨리먼트

 

흔히 에어크리너라고도 얘기하는 앨리먼트도 탈거해 줍니다.

 

옆에 다른 차에서 탈거한 앨리먼트보다 제 차에서 탈거한 앨리먼트가 좀 더 더럽습니다. 먼지가 많은 곳을 자주 다니기에 당연한 결과가 아닐까 생각되네요. 새로 장착한 순백색의 앨리먼트 역시 다음에 꺼내면 이렇게 더러운 모습을 보여줄 겁니다.

 

캐빈필터

 

흔히 말하는 에어컨필터. 캐빈필터 역시 교체합니다.

 

이것 역시 지난 3월 엔진오일과 함께 교체해 줬던 필터입니다. 남들은 1~2만 km 주기로 교체하고 먼지가 많은 현장을 다니는 덤프들은 그보다 더 자주 교체하곤 한다는데 저는 이것도 귀찮아서 엔진오일 교체시에나 함께 교체하고 맙니다. 잘 갈아야 1년에 두 번 수준이라는 이야기겠죠.

 

새로 교체될 소모품들

 

새로 교체될 소모품들입니다.

 

앨리먼트와 1차 2차 연료필터 그리고 에어드라이 필터와 CCV 필터입니다. 꽤나 비싼 가격을 자랑하던 CCV 필터는 지난번 엔진오일 교체주기에 교체했었습니다만, 다른 월동준비용 필터들과 주기를 맞추기 위해 조금 일찍 꺼내줬습니다.

 

 

타타대우 프리마 연료필터,에어드라이 + 냉각수(부동액) 교체

지난해에도 이맘때쯤 월동준비를 했었죠. 올해도 어김없이 1년 주기로 교체하는 연료필터 및 에어드라이필터와 함께 냉각수를 교체해 줬습니다. 프리마 25톤 카고 연료필터+에어드라이 필터 교

www.tisdory.com

 

지난해에는 냉각수도 함께 교체했었네요. 내년에 냉각수도 같이 내려주면 되겠습니다.

 

에어드라이 필터 교체

 

올해 교체한 에어드라이 필터는 흰색입니다.

 

이전에는 검은 필터만 사용했었는데 순백색의 필터가 장착되었습니다.

 

오일필터 교체중

 

잡다한 필터를 교체하며 엔진오일 배출이 끝났고 오일필터 역시 교체해 줍니다.

 

오일필터 카트리지를 꺼낸 뒤 새 카트리지와 오링을 끼워주면 되겠습니다. 오일필터 드레인 코크가 잘 부러지는데 여기서 제작한 신주 재질의 코크가 있다기에 코크 역시 바꿔줬습니다.

 

2차 연료필터

 

연료필터는 1년에 한 번 교체하는지라 1차와 2차 모두 한꺼번에 교체해 줍니다.

 

연료탱크 옆에 있고 육안상으로도 쉽게 확인이 가능한 1차 필터와는 달리 2차 필터는 엔진 옆에 붙어있고 이베코 마크가 찍혀 나오는지라 1차 대비 상당히 비쌉니다.

 

탈거된 필터들

 

탈거된 필터들의 모습입니다.

 

좌측에 보이는 것이 오일필터 좌측 위에 CCV 필터 그리고 흰색 깡통이 직전에 사용되었던 1차 연료필터입니다. 약 1년간 고생 많았던 필터들입니다.

 

새 연료필터

 

1차 연료필터의 모습입니다.

 

계속 이 검은색 필터를 사용하다 작년에만 흰색 필터가 끼워졌었는데, 다시 검정색 필터를 끼워줬습니다. 딱히 유수분리장치에 수분이 모이는 모습을 보지 못했던지라 하우징은 지금껏 교체 없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2차 연료필터

 

엔진 옆에 붙은 2차 연료필터도 탈거해 줍니다.

 

확실히 경유는 더러운 연료입니다. 분명 필터 하나를 거쳐왔음에도 흰색 카트리지 필터가 검게 변했으니 말이죠.

 

새 엔진오일 주입

 

다시 연료필터와 CCV 필터를 조립한 뒤 새 엔진오일을 주입해 줍니다.

 

새 엔진오일을 주입하고 시동을 걸고 따로 오일이 새는 부분이 없음을 확인한 뒤 차량을 출고합니다. 여기서 끝이 아니라, 보증이 끝난 바로 다음날부터 레이더 경고등이 들어오더군요. 근데 레이더는 정상 작동합니다. 경고등이 거슬리기에 이 문제를 얘기하니 스캐너를 물려보고 보정작업을 해주더군요.

 

레이더 보정

 

전방 레이더센서 보정작업입니다.

 

오전에 입고하여 정비베이만 바꿔가며 하루종일 시간을 보내다 가는군요. 보증이 있다면 크게 신경 쓰지 않을 이런 작업 역시 제 돈을 주고 해야 합니다.

 

결제

 

그렇게 하루종일 정비소에서 머무르며 1,152,030원을 쓰고 갑니다.

 

카드 실적을 채우기 위해 카드 두 개로 나눠 결제했습니다. 할부가 싫기에 모두 일시불로 끊었고요. 온갖 잡다한 필터들과 퍼지탱크 가격까지 부품대만 847,000원. 공임은 20만 원. 부가세가 포함되니 115만 원이라는 청구비용이 나타납니다. 1년에 한 번 교체하는 수준의 소모품들이 들어가서 이 비용이 발생하긴 했지만 겨우내 손가락 빨고 다녀야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지난해에도 이맘때쯤 월동준비를 했었죠.

올해도 어김없이 1년 주기로 교체하는 연료필터 및 에어드라이필터와 함께 냉각수를 교체해 줬습니다.

 

 

프리마 25톤 카고 연료필터+에어드라이 필터 교체

파업이 시작되었습니다. 그리고 파업이 시작됨과 동시에 차량을 정비소에 넣었습니다. 지난번 후방추돌 사고로 망가진 부분을 수리하고, 겸사겸사 신차 출고 이후 교체하지 않았던 연료필터와

www.tisdory.com

 

올해는 좀 빨리 했습니다. 타이어보다 먼저 교체했었는데 이제 포스팅으로 남기게 되는군요. 삼각떼를 계속 탔더라면 아마 삼각떼도 이맘때쯤 해서 연료필터를 교체해 줬을 겁니다. 그만큼 연료계통 소모품 교환은 겨울철 디젤차의 필수와도 같은 정비 중 하나입니다. 매년 겨울이 오기 전 11월을 주기로 교체하고 있는데, 그래도 신경을 쓰고 다니는지라 겨울철에 시동불능과 같은 일은 겪지 않았습니다. 다행이라면 다행이지요.

 

 

연료필터 탈착

 

정비소에 차가 별로 없는 모습을 보고 바로 들어왔습니다. 먼저 연료필터부터 교체하네요.

 

벨트렌치로 1차 연료필터를 풀어줍니다. 물론 탈착하는 과정에서 연료필터에 남아있는 연료가 떨어지니 연료를 받아줄수 있는 바가지를 바닥에 받혀놓고 작업을 진행해야 합니다.

 

연료필터 속 연료

 

연료필터 속에 들어있던 경유입니다. 생각보다 꽤 많이 떨어지네요.

 

최소 1리터 이상으로 추정됩니다. 승용차에 주유하면 못해도 15km는 탈 수 있는 양인데 안타깝지만 폐유통으로 들어갔습니다.

 

1차 필터와 2차 필터

 

연료필터는 1차와 2차 두 종류의 필터가 들어갑니다.

 

1차 필터는 프레임 옆에 붙어있고, 카트리지 형태의 2차 필터는 엔진 옆에 붙어있습니다. 1차 필터의 교환주기가 좀 더 짧고 2차 필터의 교환주기가 좀 더 길긴 합니다만, 1년에 한 번 그냥 한꺼번에 교체해버립니다.

 

교체완료

 

타타대우 로고가 찍혀있던 순정 필터는 검정색이었는데, 흰색 파커(paker)제 필터가 장착되네요.

 

부품실을 함께 운영하는 타타대우 서비스센터입니다만, 자체 로고가 찍힌 물건 대신 파커에서 받아오는 물건을 그대로 판매하는듯 합니다.

 

2차필터

 

엔진룸 옆에 있던 2차 필터 카트리지 역시 교체되었습니다.

 

경유가 생각보다 더러운 기름입니다. 그래서 분명 하얗던 새 필터가 활성탄 필터처럼 이렇게 검게 변해버립니다. 이번에 장착한 새 필터 역시 내년에 교체하게 된다면 분명 비슷한 상태일 겁니다. 연료필터와 함께 에어드라이 필터도 교체했는데 사진이 없네요. 겸사겸사 교환주기에 도래한 냉각수까지 교체작업도 진행합니다.

 

타타대우에서는 2년 혹은 16만km 주기로 냉각수 교체를 권장하고 있습니다. 교체하지 않으면 추후 엔진에 이상이 생겨 보증수리를 받아야 할 상황에서 보증수리를 해주지 않으려 한다고 합니다. 이전에 오일교체를 위해 방문했다가 바로 옆에 도태트럭커 구독자 아저씨가 33만km에 엔진 보증을 받을 일이 생겼는데 냉각수 교체 이력이 없다고 보증수리를 거부당했으나 결국 항의끝에 보증수리를 받았다고 얘기해주시네요.

 

16만km도 넘겼고, 2년도 갓 넘겼으니 냉각수도 월동준비겸 교체해주기로 합니다.

 

타타대우 순정 부동액

 

새 냉각수로 타타대우 순정 부동액 5통에 수돗물을 섞어 사용합니다.

 

4L짜리 5통이니 20L네요. 거기에 1:1 비율에 가깝게 물까지 섞으면 냉각수의 양도 40L 가까이 됩니다. 일반적인 중형차 엔진 대비 배기량만 따져도 5배나 큽니다. 당연히 그에 상응하는 냉각수가 필요하겠죠. 그리고 플라스틱 라디에이터 코크 역시 새 물건으로 준비합니다.

 

기존 냉각수 배출

 

기존 냉각수를 배출합니다.

 

녹색 냉각수인데 통이 영 깔끔하지 않은지라 색이 엄청 더러워 보입니다. 그래서 엄청 더럽겠거니 생각했지만 다 빼고 보니 그렇게까진 더럽지 않더군요. 냉각수의 양도 많다보니 배출되는 시간도 오래 걸립니다. 배출에만 20여분 가까이 걸렸네요.

 

새 냉각수

 

새 냉각수는 적색입니다.

 

신차 출고 당시 냉각수가 녹색인걸 보고 아직 타타대우는 녹색을 쓰는구나 싶었습니다만, 이제 타타대우도 빨간 냉각수를 사용합니다. 대우 승용차는 이미 오래전에 빨간색 냉각수를 사용했었고, 현대기아도 본격적으로 빨간색 냉각수를 사용한지 5년은 넘은걸로 기억하는데 타타대우는 이제 빨간색으로 넘어오네요. 

 

기존 냉각수와 새 냉각수

 

기존 냉각수의 배출이 끝나갈 무렵 새 냉각수의 주입을 준비합니다.

 

양도 많고 생각보다 냉각수 보조통 위치가 보충하기 어렵게 설계되어서 수중펌프를 사용하여 냉각수를 주입합니다. 노부스는 이렇게까지 냉각수 보조통 위치가 애매하지 않았는데 프리마부터 이렇답니다. 물론 신형 맥쎈 역시 동일한 탑에 부분변경 모델인지라 동일합니다.

 

냉각수 보조통

 

냉각수 보조통 역시 불투명한 플라스틱이라 냉각수의 양을 보기 어렵습니다.

 

어두운 밤에 핸드폰 플래시를 가까이 가져다 대는 방식으로 판단하곤 하는데 상당히 불편합니다. 막상 올라가서 눈으로 보려고 해도 본넷 커버에 머리가 닿아 쉽게 볼 수 없고요. 이런건 현대차가 더 낫습니다.

 

냉각수 주입

 

폐 냉각수를 처리한 뒤 주변을 청소하고 새 냉각수를 주입합니다.

 

펌프로 넣으니 순식간에 들어가네요. 이후 시동을 걸어 공회전을 돌린 뒤 차량을 출고합니다. 지금처럼만 탄다면 내후년 월동준비때 다시 냉각수를 교체해주면 되겠습니다.

 

454,000원 결제

 

454,000원을 결제했습니다.

 

생각보다 많은 작업을 진행했습니다만, 연료필터 교환공임이나 부동액 교환공임은 승용차와 비교해도 그렇게 비싸지 않네요. 올 겨울도 부디 무탈히 지내봅시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