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탁송'에 해당되는 글 59건

반응형


지난주 강남구 역삼동의 한 아파트 지하주차장에서 문경 점촌까지 탁송을 갔던 차량입니다. 소문난 올드카 애호가로 이름나신 형님께서 베스타를 사셨다고 제 편으로 탁송을 부탁하셨기에 수원에서 분당선 열차를 타고 역삼동까지 직접 올라갔습니다.


베스타는 기아자동차에서 1986년부터 1997년까지 생산되었던 원박스형 승합차입니다. 


마쯔다의 3세대 봉고 모델을 기반으로 9인승과 12인승 모델이 존재했었고 15인승 모델은 아시아자동차의 토픽이라는 이름으로 판매되었습니다. 물론 86년식과 97년식은 이게 같은 차량인지 싶을정도로 디자인에서의 많은 변화가 있었습니다만, 86년식이고 97년식이고 폐차와 수출로 인해 사실상 도로 위에서 목격하기 매우 힘든 차량 중 하나입니다.



그럼에도 지난해에만 두어번 봤던 기록이 블로그에 남아있네요. 우연의 일치입니다만, 지난해 1월 송도유원지에서 봤었던 베스타와 번호판은 달랐지만 동일한 차량이였습니다.



91년식 뉴-베스타입니다만, 전면부는 하이베스타로 개조되어 있습니다.


전반적으로 깔끔한 상태입니다. 물론 칠을 새로 했던 차량인지라 출고 당시 붙어있던 데칼과 엠블렘은 붙어있지 않았네요. 올드카 복원 및 수집이라는 분야에서도 트럭과 승합차는 항상 뒷전이였기에 존재 자체만으로도 그 가치가 빛나는 차량입니다.


지난해 1월, 송도에서 보았을 때 초기형 하이베스타라 적어놓았었는데 하이베스타로 개조된 뉴베스타입니다. 당시 댓글을 인용하자면, 2016년에 오토마트 공매에 출품되었던 차량이라고 하는데 당시 공매 관련 사진이 남은 블로그가 있어 들어가 확인해보니 이 차량이 맞네요.


http://exceltrx.blog.me/220783322741


공매에 올라온 차량을 수출업자가 매입했으나 외국인 바이어들이 매입하지 않아 다시금 국내에서 풀리게 된 상황이 아닌가 싶습니다.



매우 깔끔합니다.


27년의 세월을 버텨온 베스타 치고는 매우 깔끔합니다. 물론 칠을 새로 올린 차량이라 깔끔한건 당연하겠지요. 다만, 잘 보이지 않습니다만 여기저기 부풀어 올라오는 부분들이 좀 있네요.



신형 기아엠블렘이 붙어있습니다만, 후미등은 뉴-베스타의 그것을 그대로 지니고 있습니다.


하이베스타와 뉴베스타 후미등은 배치가 조금 다릅니다. 하얀색 후진등이 상단에 배치된 차량은 뉴베스타. 하이베스타의 경우 하단에 배치되어 있습니다. 정말 자세히 놓고 봐야 구분이 가능합니다만, 구형과 신형 두대를 동시에 세워놓고 보면 쉽게 차이점을 알 수 있답니다. 



트렁크는 부식이 조금 심하게 올라오네요.


그 존재 자체만으로도 귀한 대접을 받아야 마땅한 차량이기에 부식은 문제되지 않습니다. 



슬라이딩 도어를 열어봅니다.


운전석과 보조석을 포함하여 총 4열로 구성되어 있는 12인승 차량입니다. 18년 전 학원차 생각도 나구요. 시트에 담배빵도 보입니다만 심한 수준은 아니고 복원으로 해결이 가능하리라 보니 큰 문제는 없을듯 합니다.



시동을 걸어봅니다.


오래 세워두었는지 조금 부조를 했습니다만, 금새 안정된 리듬으로 바뀝니다. 2.2 로나엔진이 탑재되어 나왔던 차량입니다만, 공매 당시 엔진룸을 촬영해놓았던 사진을 보니 오래전에 J2엔진을 스왑해놓지 않았나 싶습니다. 원체 문제가 많던 로나엔진인지라 20년 넘게 가지고 계시던 초대 차주분께서 큰 돈을 들여 엔진을 바꾸지 않았나 싶네요.



수동썬루프가 달려있습니다.


당시 순정 썬루프가 있었던걸로 기억해서 순정으로 알고 있었는데, 천장 사진을 보니 사제가 맞습니다. 바킹이 수명을 다해서 물이 새는지, 비가 와도 실내에는 큰 영향이 없는지는 모르겠습니다.



출발합니다. 천천히 나아갑니다.


주행거리는 13만5천km. 그냥 세워놨다고 봐야 맞을 주행거리입니다. 공매 당시에도 비슷한 주행거리였다는 기록이 있으니 그 이후에도 최소한의 거리만을 움직였으리라 예측해 봅니다. 


어두컴컴하고 억대를 호가하는 차량들이 주차된 지하주차장을 지나 서울에서도 가장 부유하다고 알려진 강남 한복판을 뚫고 나옵니다. 지나가는 사람들이 쳐다봅니다. 옆으로 페라리 F430이 지나갑니다만, 페라리고 나발이고 백대를 가져다 놔도 부럽지 않았습니다. RPM이 생각보다 높네요. 바늘은 80km/h에 3000을 가리킵니다.



순정 데크 대신에 쎄라토의 카세트 데크가 장착되어 있습니다.


공매 당시에도 이 데크가 달려있었네요. 아마 순정 데크가 고장이 나고 오디오집에서 저렴하게 2din 카세트 데크를 구해다 달지 않았나 추정해봅니다. 어떤 차에서 떼어온건지 싶어 찾아봤습니다만, 구형 쎄라토에 장착되는 데크라 하네요. 카팩을 먹고 내놓지를 않습니다.



작고 귀여운 기어봉. 그리고 기어간 거리가 좁은편입니다.


카와이한 기어봉을 조작합니다. 2단에서 약간의 충격이 느껴지긴 합니다만, 기어를 살살 집어넣으면 충격이 없거나 덜하더군요. 클러치 상태는 좋았습니다. 1단부터 5단. 그리고 후진기어까지. 금방 적응해서 잘 타고 왔습니다.



공장기아 엠블렘이 선명한 차키.


그렇습니다. 당시 나오던 차량들과 디자인을 공유하는 키입니다. 물론 십수년이 지난 뒤 2007년형 그랜버드까지 엠블렘만 원형으로 바뀌고 이 디자인의 키가 달려 나왔다고 하네요. 하나하나 모든것이 다 유물입니다.



30도에 육박하는 기온을 자랑하던 지난 금요일.


에어컨이 나오지 않아 땀으로 범벅이 되어 휴게소에 잠시 들렸었습니다. 비록 차들 뒤에 숨어있어서 휴게소에 들린 운전자들의 시선을 집중시키는데엔 실패했었네요.



♡ 전화데이트 ♡ ☆ 운세상담 ☆


앞유리에 붙어있던 이 스티커를 보고 작년에 목격했던 차량 그리고 공매에 나왔던 차량과 번호판은 달랐지만 동일한 차량임을 확인 할 수 있었습니다. 90년대 후반 ~ 2000년대 초반에 유행하던 ARS 유료서비스 스티커입니다. 잘 떨어지지 않는지 20년 가까운 세월을 베스타와 함께 보내고 있네요.


무사히 강남에서 점촌까지 도착했습니다. 잘 밟아야 90 수준으로 천천히 달려왔네요. 30년 가까운 세월을 버텨온 베스타와 잠시나마 함께 할 수 있어서 기뻤습니다. 지난 30여년의 세월을 뒤로하고 좋은 주인을 만났으니 앞으로도 오래오래 그 위엄을 뽐내주었으면 좋겠습니다.


로드탁송은 역시 개꿀탁송 1666-8648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


불운의 사나이. 풀리는 일이 없다. 말 그대로 밀었다.


간단히 범퍼만 깨지는 수준의 사고라면 몰라도 크게 밀었다.


SM3를 타고 올라온 200km 넘는 여정에서 목적지를 약 2km 남기고 밀었다.


프레임바디의 코란도스포츠를 박았던지라 데미지는 크다만 뒷목 좀 당기는거 말곤 멀쩡하다.


코란도스포츠는 뒷범퍼와 트렁크 그리고 머플러 손상. 비교적 경미하다.


앞으로 차량을 교체한다면 프레임 바디 차량을 진지하게 고려해봐야겠다.


변명의 여지 없는 안전거리 미확보. 앞 차가 갑자기 서니까 따라서 설 수 없었다.


쾅 할때 기억은 뭔가 밀리는 느낌 말곤 없었다. 기억하지 못하고 있겠지.



안전벨트를 매고 있어서 차량 상태 대비 큰 부상은 없었다.


비교적 차고가 높은 코란도스포츠 밑으로 들어가면서 쭉 훑어서 파손이 컸던건 아닌가 싶지만 말이다.


상대차량 및 타고 있던 차량의 보험 접수까지 마쳤다. 


자비를 들여 얼마 남지 않은 목적지까지 렉카를 띄워 들어갔다. 당연히 탁송비와 주유비는 미수.


차량은 엔진까지 먹어 폐차판정. 면책금 넣어주면 된다고 방금 연락이 왔다.


헛일했다. 올해들어 매달 쓸모없는 지출과 함께 정신적으로도 감정적으로도 데미지를 주는 일이 생긴다.


멀쩡해서 다행이라곤 하는데 멀쩡하기만 해선 뭐하나. 의무와 책임을 이행해야 하는 일이 남았는데.


다행이라는 위로만으로는 해결되지 않는 부분을 채우기 위해 당분간 조금 무리해서 일을 할테고 


알 수 없는 고통의 굴레는 그렇게 이어지다가 또 다른 악재들로 무한궤도를 그려가겠지.


세월호 참사가 있었던 4년 전 그날에도 비스토를 타고 가다 사고를 당했었던 기억이 있다.


우연의 일치인지 4년 뒤에도 사고를 당했다.


달라진 사항이라면 4년 전엔 내가 피해자였지만, 이번엔 내가 가해자.


4년 전 사고 당시엔 벨트를 착용하고 있지 않아 시트를 떼어놓은 조수석으로 고꾸라지면서 허리로 기어봉을 부러뜨려서 다쳤지만 이번엔 벨트를 착용하고 있어서 데미지가 적었다는 부분.


뭐 어째 이렇게 풀리는 일이 없나 모르겠다. 즐거울 일도 행복한 일도 없고.


편치 않은 밤. 집에 들어와서도 온갖 다른 일들이 스트레스를 가중시킨다.


지친 몸과 마음을 치유받을 무언가도 없다. 참을성 없는 나한테 참으면 복이 온다는 소리는 개소리일 뿐.


잘한건 없다지만 욕없인 살지 못할 인생이다. 대체 어디서부터 꼬인걸까. 정신과를 가야할까.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티스도리

만 31세 도태남의 처절한 삶의 기록. since 2009

,
반응형